8. 구변편(九變篇)6) 그런 까닭에 군사를 쓰는 법은 그가 오지 않는 것을 믿지 말고 내가 기다림이 있는 것을 믿는다. 그가 공격하지 않는 것을 믿지 말고 내게 공격하지 못하는 점이 있는 것을 믿는다.原文(원문)故(고)로 用兵之法(용병지법)은 無恃其不來(무시기불래)하고 恃吾有以待之(시오유이대지)라. 無恃其不攻(무시기불공)하고 恃吾有所不可攻也(시오유소불가공야)解說(해설)이 글의 전반(前半)은 <손자병법> 중에서도 많은 사람들의 입에 회자(膾炙)되는 것이다 적은 아무래도 오지 않을 것이라는 희망적인 생각을 믿지 말고 언제 공격해 와도 좋다는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을 믿어야 한다. 이와 같이 지자(智者)의 하는 방식은 어떠한 형식으로 나타날지 전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한나라의 병비(兵備)는 적이 오지 않는 것을 믿는 것’이 아니라 이쪽이 언제 어떠한 경우에도 적을 기다려 싸울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는 것을 의지로 삼아야 할 것이다. 또 적이 공격해 오지 않는 것을 믿고만 있을 것이 아니라 이쪽에 적이 공격할 수 없는 것에 있다고 믿고 그것에 의지해야만 하는 것이다. 말하자면 나의 준비가 단단히 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註(주)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