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작전편(作戰篇)9) 군사에 가까운 자는 귀하게 판다. 귀하게 팔면 백성의 재정이 없어진다.原文(원문)近於師者(근어사자)는 貴賣(귀매)니 貴賣(귀매)면 則百姓(즉백성)이 財竭(재갈)이라.解說(해설)전쟁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물건은 비싸게 팔린다. 그러면 백성들의 물..
2. 작전편(作戰篇)8)전쟁 때문에 나라가 가난한 것은 물건을 멀리 보내기 때문이니 멀리 보내려면 백성이 가난한 것이다.原文(원문)國之貧於師者(국지빈어사자)는 遠輸也(원수야)라 遠輸(원수)면 卽百姓(즉백성)이 貧(빈)이니라.解說(해설)전쟁으로 인해서 나라가 빈곤에 빠..
2. 작전편(作戰篇)7) 군사를 잘 부리는 자는 전쟁을 두 번 다시 계속하지 않고 양식을 세 번 싣지 않는다. 쓰는 것은 나라에서 취하고 양식은 적에게 의지한다. 그러므로 군식은 족해진다.原文(원문)善用兵者(선용병자)는 役不再籍(역불재적)하고 糧不三載(양불삼재)라. ..
2. 작전편(作戰篇)6) 대체로 전쟁을 오래 끌면서도 나라에 이롭게 한 일은 아직 있어 본 적이 없다. 그런 까닭에 군사를 쓰는 해로움을 다 알지 못하는 자는 곧 군사를 쓰는 이로움을 다 알 수 없는 것이다.原文(원문)夫兵久而國利者 (부병구이국리자) 未之有也(미지유야..
2. 작전편(作戰篇)5) 그런 까닭에 전쟁이란 싸우는 방법이 졸렬하더라도 속히 끝내는 것이 좋다는 말은 들었어도 싸움은 교묘히 하면서도 오래 끄는 것이 좋다는 것은 보지 못했다. 原文(원문)故(고)로 兵聞拙速(병문졸속)하고 未睹巧之久也(미도교지구야)로다.解說..
2. 작전편(作戰篇)4)대체로 군사들이 둔해지고 예기(銳氣)가 꺾이어 힘이 모자라고 재정이 바닥나면 곧 제후(諸侯)들이 그 피폐(疲弊)한 틈을 타서 일어날 것이다. 그러면 비록 지혜있는 사람이 있다 하더라도 그 뒷일을 잘 처리하지 못하는 것이다.原文(원문)夫鈍兵挫銳(부..
2. 작전편(作戰篇)3)성을 공격하면 힘이 약해지고 오랫동안 군대를 전쟁터에 나가 있게 하면 나라의 재정이 부족해 진다.原文(원문)攻城(공성)이면 則力屈(즉역굴)이요 久暴(구폭)이면 則國用(즉국용)이 不足(부족)이니라.解說(해설)군사들을 가지고 적의 성곽을 공격하면 사..
2. 작전편(作戰篇)2) 싸움을 함에 있어서는 승리가 중요하다. 싸움이 오래 걸리면 병기(兵器)는 무디어지고 군대는 예기(銳氣)가 꺾인다.原文(원문)其用戰也(기용전야)는 貴勝(귀승)이니 久則鈍兵挫銳(구즉둔병좌예)니라.解說(해설)전쟁은 하루빨리 끝내야 한다. 아무리 의..
2. 작전편(作戰篇)작전(作戰)이란 전쟁의 발동(發動)이다. 이 편(篇)에서는 전쟁을 하는데는 막대한 소비가 따른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것을 감당할 수 있는 경제적 능력이 있어야 전쟁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쟁은 단기전이어야 한다. 전쟁을 오래 끌면 희생이 크고 ..
시계편(始計篇) 29) 대체로 싸우기도 전에 묘산(廟算)하여 승리를 거두는 것은 전략이 훌륭했기 때문이다. 아직 싸우기도 전에 묘산하여 승리하지 못하는 것은 전략이 졸렬했기 때문이다. 전략이 훌륭하면 승리하고 전략이 졸렬하면 승리하지 못하는데 하물며 전략이 ..
시계편(始計篇)28) 이는 병가(兵家)가 승리를 얻는 방법이니 이것이 먼저 적에게 전해져서는 안된다.原文(원문)此(차)는 兵家之勝(병가지승)이니 不可先傳也(불가선전야)니라.解說(해설)이상에 말한 14가지 항목이 전쟁을 함에 있어 사용해야 할 ‘속이는 수단(詭道)’인 것..
1. 시계편(始計篇)27) 적이 방비가 없을 때 공격하고 그 불의(不意)에 쳐야 한다.原文(원문)攻其無備(공기무비)하고 出其不意(출기불의)니라.解說(해설)무방비한 적을 공격한다는 것은 승리의 비결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적에 대한 공격은 불의의 방법을 써야 한다. 뜻하..
1. 시계편(始計篇)26) 친밀한 사이거든 이간(離間)시킨다.原文(원문)親而離之(친이리지)解說(해설)적을 이간시킨다는 것은 적의 전투력을 반감시키거나 적을 고립(孤立)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국제간(國際間)의 모략에 잘 쓰이는 이간전법(離間戰法)이다.상대방의 조직..
1. 시계편(始計篇)25) 편안히 있으면서 적을 수고롭게 만든다.原文(원문)佚而勞之(일이노지)니라.解說(해설)자기편은 되도록 편안히 지내면서 적군만 수고를 하도록 만들면 적군이 지쳐서 쉽게 쳐부술 수가 있다. 평범한 말 같으나 깊이 음미해 보면 깊은 뜻이 있는 말이다..
1. 시계편(始計篇)24) 비굴(卑屈)하게 행동하여 적을 교만하게 만든다.原文(원문)卑而驕之(비이교지)니라.解說(해설)적 앞에서 약간 비굴하게 행동함으로써 적을 교만하게 만든다. 이쪽에서 저자세로 나가면 적은 반드시 실제보다 허세(虛勢)를 보여 교만해지기 쉽다. 일반..
1. 시계편(始計篇)23)성나게 하여 어지럽게 만든다.原文(원문)怒而撓之(노이요지)니라.解說(해설)상대방을 자극해서 화나게 하여 판단이나 행동에 과오를 유발시킨다. 분격해 버리면 덮어놓고 덤벼들어 전후의 판단을 잃기 쉬운 법이다. 상대가 평정을 잃고 있는 상태에서 이쪽..
시계편(始計篇)22) 적이 강하면 이를 파한다.原文(원문)强而避之(강이피지)니라.解說(해설)적을 공격하다가 강한 적과 맞부딪치게 되면 무모하게 싸울 것이 아니라 이들을 일단 피해야 한다. 강하니 약하니 하는 것은 서로의 힘을 비교하여 상대가 자기측보다 우세하다고 판단..
시계편(始計篇)21) 적이 실(實)하면 대비한다.原文(원문)實而備之(실이비지)니라.解說(해설)착실한 병력(兵力)과 군비(軍備)를 갖춘 적을 함부로 맞아 싸울 것이 아니라 유리한 지형이나 성벽을 이용하여 이들을 방비해야 한다. 이 구절은 ‘적이 실하면 방비한다’라고 풀기..
1. 시계편(始計篇)20) 혼란시켜 가지고 취한다原文(원문)亂而取之(난이취지)니라.解說(해설)적이 혼란한 상태면 공격하여 점령해도 되지만 적이 유리한 상태면 그들이 불리해지도록 사태를 유도하거나 그들의 위치를 유인하여야 한다. 즉 상대방의 약점을 노려 배후에서 교란의..
1. 시계편(始計篇)19)이롭게 해서 유인한다.原文(원문)利而誘之(이이유지)니라.解說(해설)작은 이익을 주어 적을 유혹한다. 이는 전체적인 이익을 내가 차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어느 정도의 이익을 미끼로 쓰는 것이다. 적의 상황을 판단하여 이에 대처하는 방법을 설명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