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군은 군대해산 이후 덕유산을 근거지로 광범위한 지역에서 의병을 일으켜 일본군에 대항하여 대활약을 펼치다 순국한 의병대장 문태서 장군의 숭고한 호국정신과 용맹한 기상을 기리기 위해 매년 4월 문태서 의병장 추모사당에서 추모제향을 봉행하고 있다. 이와 관련 주간함양은 전진석 3·1운동 함양기념사업회 사무국장의 <‘덕유산 호랑이’ 문태서 장군 부활을 꿈꾸며>를 30회에 걸쳐 연재하고자 한다. 문태서 의병대장의 숭고한 애국정신과 고귀한 희생정신의 뜻을 되새기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편집자 주>. 문태서 의병부대에 참여하고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해당 지역 농민들이었다. 낫을 잡으면 농민이요, 총을 잡으면 의병이 되었던 것이다. 이런 까닭에 문태서 의병부대에 참가하는 백성들의 규모를 파악한다는 것은 애초부터 무리일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아있는 기록과 정부문서를 참고하면 문태서 의병부대에서 활동한 사람들의 일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참여한 사람들의 역할과 활동내용을 알 수 있다.¹) 다양한 자료를 참고하여 문태서 의병부대에서 활동한 백성들과 그 흔적을 찾아보고자 한다.1. 강이봉과 길창서의 심문조서에 나타난 문태서 의병부대원들일본군경은 ‘경부선 이원역 습격 및 방화’의 주역인 문태서를 체포하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수집에 총력을 기울였다. 1910년 2월에 들어서야 문태서에 대한 기본 정보를 어느 정도 수집했다. 그 대표적인 것이 강이봉과 길창서의 심문조서이다.²) 이 자료는 강이봉과 길창서가 체포된 뒤 진술한 내용을 토대로 1910년 2월 9일 작성된 것으로, 길창서가 문태수의 핵심 부장이었다는 점에서 더욱 중요성을 갖는다. 이 문서에 나타난 문태서 의병부대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밝혀진 인물 외에도 밝혀지지 않은 더 많은 사람들이 있다는 내용도 덧붙여 있다.   2. 문태서 의병부대 참가로 인해 재판을 받은 사람들문태서 의병부대에 참가했거나 관련된 활동으로 체포되어 처벌을 받은 기록이 남아있어서 문태서 의병부대 참가자들의 역할들을 자세하게 일 수 있다.³) 대구고등법원의 재판기록은 6.25때 불타서 경상도지역의 자료를 확인하지 못함이 안타까울 뿐이다.   3. 문태서 의병부대 관련 독립유공자들국가보훈부 공훈전자사료관에서 문태서, 문태수라는 검색어로 독립유공자 정보를 검색하면 다음과 같은 인물들을 찾을 수 있다. 문태서 의병부대에 참가했거나 관련된 활동으로 체포되어 처벌을 받은 기록이 남아 있어서 이들이 독립유공자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 대구고등법원의 재판기록은 6.25때 불타서 거창, 함양, 김천 등 경상도 지역 출신 의병들이 대거 빠져있음을 한탄할 수 밖에 없다.   1) 이용철, 「의병장 문태수의 의진 운영과 성격」, 2002.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81집. 독립기념관2)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독립운동사자료 17 의병편Ⅹ (二) 二月, 忠淸道, 6. 憲機 第四五四號 賊魁 文泰西에 對한 檢擧計劃에 關한 件3) 한국사데이터베이스, 독립운동사자료 별집1, 의병항쟁재판기록 /전라남북도 2.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