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이 0.75명을 기록하며 9년 만에 반등했다. 그러나 함양군은 0.58명으로 경남 18개 시·군 중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하며 인구정책의 시급성이 대두되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출생·사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합계출산율은 0.75명으로 전년(0.72명)보다 0.03명 증가했다. 경남도 역시 0.82명으로 전년 대비 0.02명 증가했지만, 함양군은 오히려 0.72명에서 0.58명으로 하락하며 경남에서 유일하게 0.5명대를 기록했다.   서부경남 지역에서는 거창군이 1.20명으로 경남 1위를 기록하며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거창군은 2023년 1.02명에서 2024년 1.20명으로 0.18명 증가하며 2년 연속 경남에서 가장 높은 출산율을 유지했다. 합천군도 0.64명에서 0.88명으로 상승했으며, 산청군은 0.73명으로 전년(0.77명)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함양군의 낮은 출산율은 출생아 수 감소로도 확인된다. 지난해 함양군을 포함한 경남 9개(의령, 함안, 창녕, 고성, 남해, 하동, 산청, 합천) 군 지역에서 출생아 수가 100명 이하로 집계됐다. 이는 경북과 더불어 전국 최다이다. 함양군은 66명으로 전년(78명) 대비 12명 감소했다.    한편, 전국적으로 출산율 반등을 견인한 주요 연령층은 30대 여성으로 나타났다. 30~34세 연령대의 출생률이 가장 높았으며, 모(母)의 평균 출산 연령은 33.7세로 전년보다 0.1세 상승했다. 그러나 현재 20대 여성 인구가 30대보다 적어 2031년부터는 30대 여성 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돼 출산율 하락이 다시 가속화될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이번 출산율 반등을 다양한 저출산 정책과 출산장려금 지원, 기업의 노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평가했다. 하지만 여전히 OECD 회원국 38개국 중 합계출산율이 1을 넘지 못하는 유일한 국가로, 지방의 인구 감소 문제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지난달 부산에서 ‘제3회 지역 소멸 대응 포럼’을 열고 경남, 부산, 울산 지역의 인구 감소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위원회는 2052년까지 경남의 생산연령인구(15~64세) 감소율이 47.8%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며, 특히 중소기업의 인력 부족이 심각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함양군이 인구 감소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지원책을 강화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