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군은 군대해산 이후 덕유산을 근거지로 광범위한 지역에서 의병을 일으켜 일본군에 대항하여 대활약을 펼치다 순국한 의병대장 문태서 장군의 숭고한 호국정신과 용맹한 기상을 기리기 위해 매년 4월 문태서 의병장 추모사당에서 추모제향을 봉행하고 있다. 이와 관련 주간함양은 전진석 3·1운동 함양기념사업회 사무국장의 <‘덕유산 호랑이’ 문태서 장군 부활을 꿈꾸며>를 30회에 걸쳐 연재하고자 한다. 문태서 의병대장의 숭고한 애국정신과 고귀한 희생정신의 뜻을 되새기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편집자 주>
대한제국 말기에 벌어진 의병전쟁에서 이름을 떨친 의병장들은 수도 없이 많다. 그 많은 의병장들 중에서 빼어난 성과를 거둔 분들을 의병대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 당시 언론에서는 문태서를 의병대장이라고 불렀다.1)2) 여러 언론에서 언급한 문태서의 활동 보도횟수는 다른 유명 의병지도자들보다 훨씬 많고 다양하다. 일본군경이 기록한 문서에서도 문태서와 그 의병부대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많이 찾아볼 수 있다. 문태서 의병대장에 대한 백성들의 평가도 매우 긍정적이었다는 기록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문태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다양한 기록들을 살펴보면서 ‘이야기속의 문태서’가 아닌 역사기록에 남아 있는 ‘자랑스런 문태서 의병대장’로 인식전환을 도모하고자 한다. 1. 일본군경이 기록한 문태서와 그 의병부대들에 대한 긍정평가
일본군경들은 의병들을 폭도, 비적, 화적 등으로 불렀으며, 지역주민들과 격리시키기 위해 많은 일진회 등을 동원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태서와 그 의병부대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여러 기록을 남겼다. 그 기록을 통해 의병부대의 군기, 주민들을 대하는 태도,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 등에 관해 언급하고 있다. ☞ 일본 경찰기록 1.(중략)그 곳 주민들에게서 들은 내용은 ‘2월 2일 오후 8시경 안성 이안면 시장에 40명 되는 무리와 30명 되는 무리가 잇달아 와서 주민들에게 술과 식사를 제공하기를 부탁하고 먹고 마신 뒤 돈도 주지 않고 일안면 방면으로 갔는데 그 우두머리는 문태수와 김동신이었다. 화승총 50여정과 신식총 10여정을 소지하고 있었으며, 지역주민들에게 일본인들이 이곳에 들르는지 물었다. 정찰대가 추적하였으나 덕유산을 넘어 안의지방으로 이동한 것 같다. 지역주민에게 별다른 패해를 끼친 모양은 없다.3)4)(중략)☞ 일본군 헌병 기록 1.전북 금산군 부근에서 벌어지고 있는 의병들의 상황전라북도 금산 무주 용담 부근은 문태서가 인솔하는 수십명이 배회한다. 문태서는 자기가 인솔하는 의병부대에 대하여 엄정하게 단속하고 있기 때문에 약탈행위 등이 적어서 지역민들이 그 뜻에 함께 하고 있다.5)6)☞ 일본군 헌병 기록 2.충청북도 황간 및 전북 무주 등에서 의병들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음. 근래 충청북도 황간군 부근에서 출몰하고 있는 의병부대들은 우두머리가 유종한이며 30~40명의 무리를 데리고 항상 황간군 및 전라북도 무주군 부근에서 활동하고 있다. 또 다른 의병부대 우두머리 문태서는 현재 경남 안의군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유종한이 부하를 거느리고 백성들에게서 금품을 약탈하고 있음에 분개하고, 만일 만나게 되면 유종한을 살해하겠다고 말하고 다닌다고 한다.7)8)2. 당시 신문이 기록한 문태서와 그 의병부대들에 대한 긍정평가
대한매일신보를 비롯한 많은 민족주의 언론들은 고정적으로 의병소식란을 만들어 각지의 의병활동을 보도하고 있었다. 보도는 대체적으로 의병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나, 문태서와 그 의병부대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까지 더해서 보도한 경우가 많았다.
금산군에서 활동하고 있는 의병대장 문태수는 부하 단속을 엄정히 하여 주변의 민간인들이 머리는 단발로 하고 검은 옷을 입고 의병처럼 다니는 것은 허용하고 있으며, 그 지역에서 의병이라고 칭하면서 주민들에게 민폐를 끼치는 도적들은 보이는 대로 총살한다고 전하고 있다.9)충청남도 금산, 전북 무주와 용담에서 활동하고 있는 의병부대들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으며, 지역 주민들에게는 조그마한 민폐도 끼치지 않고 활동하고 있다고 보도하고 있다. 의병부대를 이끄는 지도자를 밝히지 않았지만 해당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의병부대는 문태서 의병부대임을 여러 기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10)3. 백성들이 바라본 문태서와 의병부대들문태서가 활동하던 지역의 주민들은 일본군경과 일진회 등의 약탈에 대해 의병부대들의 보호를 받고 있었다는 기록을 많이 찾을 수 있으며, 의병을 빙자한 무리들의 약탈에 대해 직접 처단에 나섰다. 이러한 활동에 대해 주민들은 문태서의 의병활동 보호 및 지원, 문태서 송덕비 건립으로 보답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문태서를 신격화시켜서 모시는 부락도 있었다는 기록도 남아있다. ☞ 대한제국 전라도 관찰사 기록 1.전라도 관내 금산과 남원 경찰서가 의병과 관련하여 보고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무주군 안성 이안면 죽장리 및 갈마리에 지난 해 의병부대를 일으켰던 의병장 문태서를 칭송한 송덕비를 세웠음을 발견하고 즉시 제거하였으며, 송덕비를 제작한 자를 추궁하여. 주모자를 찾고자 하였으나, 해당 지역 주민들이 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주모자를 찾지 못하였다. 송덕비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11) 12)충성으로 나라를 지키시고 성심으로 백성을 살피시니(진충보국 하제만민 竭忠輔國 下濟萬民) 그 이름 온 누리에 떨치시고 그 높은 덕 닳음이 없네.(명진사해 난진기덕名振四海 難盡其德) 위국의병대장 문태서를 위한 비(爲國義兵大將 文泰瑞 之碑) 1908년 (戊申 四月 日)(이하생략)☞ 충북지역 의병장 한봉수 사면 요청 기록 1.의병장 한봉수는 사면을 위해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본인은 사면을 받으면 문태서가 활동고 있는 곳과 머무르는 곳을 알려주어 사면에 보답하고자 하겠다고 하였다. 이 자를 이용하면 문태서 체포에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한다. (가운데 줄임)8. 순종 2년(1908) 9월에서 10월 경 충북 보은군 속리산 법주사(원문 大寺가 있다)에 간 일이 있다. 뒷산에서 문태수가 부하 40명(모두 총기 휴대, 지도자 지휘용 검 휴대)를 데리고 와서 서로 만났다. 문태수는 나에게 양민들에게서 돈을 빼앗지 말라, 백성들에게 억지로 노역을 시키지 말라, 식사를 제공받는 것은 관여하지 않겠다 등과 같은 건방진 말을 하였다.13)(아래 줄임)☞ 체포된 문태서 부하 신란파 심문 내용 1.신란파(申蘭波) 나이는 알 수 없음.(늙은이라 한다)문태수의 부장이라고 하면서 개령군(현 김천시 일대)과 선산군에서 활동하면서 의병을 모집하고 자금을 모아 문태수의 허락하에 자금관리를 하고 있음을 탐지하여 조사하였다. (가운데 줄임)또 문태수에 대하여 정보를 수집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운데 줄임)2. 또 토벌대가 문태수를 잡기 위해 해당 지역에 도착하자 문태수는 토벌대 중에서 자기를 알아보는 자가 없음을 알고 과감하게 토벌대에게 접근하여 지역주민으로 가장하고 토벌대에게 식사와 잠자리를 제공하는 노력을 태연하게 실행하였으며, 토벌대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두었다가 부하들을 해당 지역에 매복시켜 토벌대에게 공격을 가하였으며, 토벌 활동을 저지하는 일이 많았다.전라북도 무주 지방 어느 마을에서는 문태수를 신과 같이 추앙하고 여자들이 부엌에서 밥을 지어 상을 차릴 때 먼저 문태수를 위한 밥상을 차려 문태수의 성공을 기원하고 있다고 한다.14)(이하 줄임)
1) 대한한국 신문아카이브, 대한매일신보 1909. 01.17 2) 대한한국 신문아카이브, 대한매일신보 1909. 01.30 3)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독립운동사자료 9 의병편Ⅱ (一) 一月, 全羅道. 錦警發 第四○號4) 덕유산 줄기를 사이에 둔 전북 장수 안성과 경남 안의 월성을 자연스럽게 넘나들고 있었으며, 보고에서는 음식값을 지불하지 않았다고 하였지만 이후의 보고내용을 참고하면, 약속된 식사제공이었음을 할 수 있으며, 행군함에 있어서 민폐를 끼치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독립운동사자료 12 의병편Ⅴ (四) 十二月, 全國, 韓憲警 乙 第一三八一號6) 문태서 의병부대의 엄정한 규율은 일본헌병대에서도 인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7) 한국사데이터베이스, 統監府文書 6권 一. 憲兵隊機密報告, 憲機第七九四號8) 거창지역에서 독립적으로 활동하고 있던 유종한 부대가 근거지를 옮겨서 충북과 전북 경계지역에서 지역민들에게 민폐를 끼치고 있음을 확인한 문태서는 유종한을 군율로 다스리겠다고 공언하고 있는 부문이다.9) 대한한국 신문아카이브, 대한매일신보 1909. 01.30 10) 대한한국 신문아카이브, 대한매일신보 1909. 03. 30. 11)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독립운동사자료 13 의병편Ⅵ (三) 三月, 全羅道 高秘收 第三三四號12) 문태서는 지역과 주민에 기반을 둔 철저한 부대운영원칙을 견지하고 있었으며, 이런 까닭에 의병들이 지역민들에게 민폐를 끼치는 일은 결코 일어날 수 없었다. 오히려 문태서 의병부대 세력권에 있는 지역들은 일제와 친일분자들의 수탈로부터 보호받고 있었다. 이러한 증거가 문태서 송덕비 건립이다. 만약 안성면 일대가 일본의 세력권이었다면 송덕비 건립은 절대 할 수 없은 일이다. 무주 안성, 장수 장계, 함양 서상, 거창 월성은 의병전쟁기간 동안 의병들이 만든 해방구였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13)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17 의병편Ⅹ (三) 三月, 忠淸道, 高秘收 第一八一七號의 關係14)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독립운동사자료 17 의병편Ⅹ (一) 一月, 慶尙道 憲機 第一 ○六號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