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들은 아침에 일어나면 피곤함을 많이 느끼시는 편인가요? 저의 경우 간혹 아침에 너무 피곤해서 학교에 늦게 되는 일도 겪곤 합니다.
제가 이처럼 피곤함을 느끼는 것은 단순하게 저녁에 잠을 충분히 자지 않아서인데, 저는 하나 궁금한 것이 생겼습니다. 잠을 충분히 자지 못했더라도 일단 잠을 잤으면 잠을 자기 전보다 피로가 풀려야 하는 것 아닐까요? 지금부터 이 주제를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통 사람의 권장 수면 시간은 7~9시간인데 잠을 충분히 자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3~4시간은 잠을 잡니다. 그런데 잠에서 일어난 직후가 잠을 자기 전보다 더 피곤하다는 것은 무언가 이상합니다. 더불어 외부에서 너무 졸려 잠시 졸아본 경험이 있는 분들이 많을텐데 이와 같은 경우는 10~20분밖에 눈을 못 붙였음에도 개운한 경험을 받기도 합니다. 이런 신기한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선 수면의 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수면에는 5단계가 있는데 1~4단계를 비렘수면이라고 부르고 5단계를 렘수면이라고 부릅니다. 이런 수면의 5단계를 완주하기 위해선 약 120분의 시간이 소요되는데 따라서 우리가 8시간 정도를 잔다면 약 4번 정도 수면의 단계를 완주할 수 있습니다. 근데 이런 수면의 단계는 우리가 일어날 시간에 맞춰 유동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3~4단계의 수면상태에서 알람이 울려 깰 수도 있는 것인데 잠에서 깨기 힘든 수면상태에서 억지로 잠을 깨면 극심한 피로를 느끼게 됩니다.
따라서 저희는 수면 1~2단계에서 잠을 깨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수면 1~2단계에서 잠을 깰 수 있을까요? 웹사이트에 일어날 시간을 입력하면 몇 시에 자면 되는지 쉽게 알려주는 사이트가 많으니 이것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아 물론 1~2단계의 수면만 하시면 안됩니다. 충분한 렘수면을 위해서 7~9시간의 잠을 자야하고 렘수면이 부족하면 잠을 잤어도 몸이 피곤하고 렘수면이 너무 많아도 맥박과 호흡 혈압 체온 등이 올라갔다 내려갔다를 반복하며 피곤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말한 10~20분만 자도 개운한 이유는 숙면의 상태로 진입하기 전 잠에서 깼기 때문입니다. 만약 충분한 숙면 없이 10~20분 낮잠을 자고 일어났다면 여전히 피곤했을 것입니다. 기사를 통해 궁금증이 해결되었길 바랍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