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군은 군대해산 이후 덕유산을 근거지로 광범위한 지역에서 의병을 일으켜 일본군에 대항하여 대활약을 펼치다 순국한 의병대장 문태서 장군의 숭고한 호국정신과 용맹한 기상을 기리기 위해 매년 4월 문태서 의병장 추모사당에서 추모제향을 봉행하고 있다. 이와 관련 주간함양은 전진석 3·1운동 함양기념사업회 사무국장의 <‘덕유산 호랑이’ 문태서 장군 부활을 꿈꾸며>를 30회에 걸쳐 연재하고자 한다. 문태서 의병대장의 숭고한 애국정신과 고귀한 희생정신의 뜻을 되새기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편집자 주>   많은 사학자들은 김동신이 본격적인 의병전쟁을 시작한 사건을 1907년 9월 10일 순창읍 우편취급소 및 분파소 공격으로 보고 있다.1) 김동신이 최초로 벌인 의병전투인 이 전투에는 김동신 의병부대 약 80여명이 참가하였다. 앞에서 기록한 내용 ‘일본군경 7~8명에게 수백명의 의병이 혼비백산하여 도망쳤으며, 중군장, 선봉장 등 주요 직책을 가진 자들조차도 싸우기를 두려워하고 도망쳤거나 도망칠 궁리를 하고 있었다2)’는 기록과 비교해 보면 엄청난 차이다. 80여명의 의병으로 순창군의 중심지인 순창읍의 행정기관과 치안기관을 습격했다는 것은 실로 놀라운 사건이다. 의병들의 전투력이 엄청나게 향상되었으며, 일본군경과의 전투에 대한 자신감도 가지고 있었다는 뜻이다. 이날 전투와 이어진 의병이동에 대한 당시의 신문기사 내용은 아래와 같다.                   신문기사에 따르면 순창군 우편취급소와 헌병분파소를 공격한 김동신 의병부대는 곧바로 경남 안의군(현 경남 함양군 안의면)로 향했다.3) 아마 김동신은 순창에서 남원을 거쳐 남원시 번암면-남원시 아영면 - 함양군 백전면-함양군 서하면-함양군 서상면-본거지인 장수군 계남면과 무주군 안성면으로 향했을 것이다. 이 노선은 그 당시 군소재지에 배치되어 있던 치안조직인 일본군 수비대, 헌병분파소, 경찰서를 피할 수 있는 최단거리이기 때문이다. 순창읍 우편취급소와 헌병분파소를 습격한 이후 김동신의 행방을 뒤쫓던 일분군경은 12월에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중략) ‘또 도망친 일도 있다 하므로 분파소를 공격한 폭도는 김동신 의병부대에 소속된 무리일 것’이라고 하였다. 처음부터 이러한 자의 말은 믿기가 어렵지만 내용을 따져보면 충분한 근거가 있었다. 심문을 하여 추가로 조사한 결과 김동신은 처가는 원래 평양이지만 최근 장수군 계남면으로 옮겨와서 살고 있다는 소문이 있기 때문에, 김동신이 이곳을 드나들고 있는지 비밀리에 알아보고 있는 중이다.4) 일본군경들은 김동신의 활동 근거지로 장수군 계남면을 지목하고 있으며, 그 근거로 김동신의 처가가 해당지역으로 이주했기 때문이라고 했으며, 해당 지역의 상황을 주의깊게 보고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김동신도 그의 문집에서 처 박씨는 안의에 살고 있으며, 소실 전씨는 장수에 거주하고 있다고 적고 있다.5) 순창에서 일본군경과 최초의 전투를 벌인 김동신이 안의군(현 함양군 서상면)으로 향하고 있다는 다양한 기록을 근거로 우리는 김동신과 해당지역 출신이자 가족이 그 곳에 살고 있던 문태서를 연결시키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해석이다.6) 일본군경 토벌대들은 김동신을 추격하는 과정에서 1908년 1월 5일 전후로 벌어진 일에 대하여 더 자세한 기록을 남기고 있다. (중략) 그리고 1907년 12월 28일 남비발 제104호의 2(南秘發 第一○四號의 二)로 보고한 마지막 항에 있는 전라남북도에서 의병전투를 벌이고 있는 수괴 김동신은 처가 식구들이 살고 있는 장수군 계동면 지보(전 보고에서는 계남면 평촌이라 하였으나 잘못이다) 전옥문 댁에 잠복하고 있지 않나하여 일찍이 장수분파소 순사에 지시하여 비밀리에 조사하고 있었으나 그 곳은 장수읍에서 2킬로미터나 떨어진 벽지여서 우리가 활동할 수 있는 지역이 아니기 때문에 자세히 알 수 없었다. 하지만 김동신은 자주 그 곳에 머무르고 있다는 소식을 확인하였으므로 일본군인과 경찰 등으로 구성된 토벌대가 1월 5일 오후 10시에 해당 지역에 도착하여 정찰하였더니 엊그제 머물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즉시 전옥문의 집을 포위하고 수색하였지만 김동신은 1월 3일 1명의 부하를 동반하고 전옥문 댁에 들른 후 그날 즉시 어디론지 사라지고 난 후였다. 그런데 이번 토벌대 일행이 장수군에 도착하여 폭도의 행방을 조사하면서 그 지역 수비대장이 미리 함양수비대와 합동으로 공격할 준비를 해 두었으므로 함양수비대는 5일 서상-장계간 도로인 육십령을 경계하고 있었는데 과연 김동신 일행 30명이 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사격을 가하였으나 그들은 재빨리 가파른 고갯길을 이용해 도주하였으므로 피해를 입히지 못하고 겨우 도망길에서 핏자국이 흥건한 흔적을 발견한 것 외에는 아무른 성과를 얻지 못했다.7)김동신의 처가를 중심으로 하는 김동신의 활동근거지를 파악한 토벌대들은 체포를 위해 현장에 출동하였지만 김동신은 토벌대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부하 1명과 함께 피신한 뒤였다. 여기서 중요한 것이 김동신이 데리고 다니는 부하 1명의 정체이다. 아직까지도 문태서의 이름이 알려지기 전이기 때문에 당연히 신분이 노출되지 않고 있다. 김동신은 당시 호남지역에서 활동하는 의병장들과 긴밀하게 연락하고 있었고 그 연락을 책임지는 자가 문태서임을 ‘매천야록’의 기록에서 추측할 수 있다. 그리고 위 기록을 근거로 하면 일본군경 토벌대는 김동신의 이동경로를 미리 예상하고 있었다. 김동신 의병전투의 주력부대가 전투를 벌인 후 본거지로 돌아와 휴식을 취하고자 장수군 계남면과 무주군 안성면으로 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한 상태였다. 토벌대가 함양수비대와 함께 벌인 합동작전을 무사히 피한 의병부대는 육십령을 넘어 본거지로 귀환하고 있다. 여러 가지 기록에 의하면 김동신은 지리산과 덕유산을 근거지로 하여 양쪽을 이동하면서 일본군경과 싸우고 있었다. 1098년 1월 24일 순천경찰서장이 내무부에 보고한 자료에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중략) 전라남북도에서 의병의 집합지와 의병장의 성명, 의병대원 수 등에 관한 사항 지금 전라도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의병장은 김동신이며, 경상남도 함양군 전라북도 남원군 순창군 정읍군 및 전라남도 곡성군 장성군 구례군을 근거로 하고 그 주력은 지리산 산 각 사찰에 머무르고 있으며, 김동신의 부하는 현재 80여명이며 모두 흑색 한복을 착용하고 있어서 그 부대의 표시로 삼고 있다고 들었다.8) (중략)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김동신은 지리산과 덕유산을 잇는 백두대간을 근거지로 하여 전라남북도, 경상남도 3도에 걸쳐 있는 해당지역을 의병들의 세력권으로 두고 활발하게 의병전투를 벌이고 있었다. 1907년 8월에 호남의병의 기치를 높이 들었던 김동신은 이러한 활발한 의병전투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삼남의병도대장(三南義兵都大將)’이라는 호칭을 사용할 수 있었다.9) 김동신과 관련된 기록에서는 호칭이 ‘삼남창의소도원수(三南倡義所 都元帥)10),11).’, ‘삼남의병대장(三南義兵大將)’12)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이후에 문태서가 ‘13도 의병 서울진공작전’에 참가하면서 ‘호남창의대장 문태수’가 되는 기초가 된다고 추측할 수 있다.   1) 홍영기, 『구한말 김동신 의병에 대한 일고찰』, 한국학보56, 일지사, 1989. p 116 공훈전자사료관, 2022년 12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등 2) 김동신, 『김동신문집』, 1906.06 ~ 1912.12 일기체, p17~19.3) 대한매일신보, 1907. 09. 13. 2면 『의도 순창군 우편취급소 습격』 외 2건4)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8 : 의병편Ⅰ 十二月, 全羅道, 南秘發 第一○四號의 二5) 김동신, 『김동신문집』, 1906.06 ~ 1912.12 일기체, p10~116) 김성진, 『항일의병대장 문태서 연구』, 함양문화원,1997. p 79 함양군 서상면 상남리 장구지에서 살던 가족이 이주했다고 적고 있으나 구체적인 이주 시기는 밝히지 않고 있다. 여러 가지 기록과 후손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문태서가 의병전쟁을 위해 당시 자신들의 세력권인 장계-안성지방으로 이주한 것은 확실하다. 7)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8 의병편Ⅰ (一) 一月, 全羅道 8. 南秘發 第九號8)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8 의병편Ⅰ (一) 一月, 全羅道 63. 順警秘發 第八號 9) 김동신, 『김동신문집』, 1906.06 ~ 1912.12 일기체, p22710)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의병편Ⅶ (一) 四月, 忠淸道 高秘收 第二○三四號의 一11)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의병편Ⅶ (一) 四月, 忠淸道 忠南警收 第三三一號12)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의병편Ⅳ (二) 六月, 忠淸道 警秘收 第五二四七號의 一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