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교육부가 발표한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의 피해 유형별 비중에서 언어폭력이 41.8%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모든 학교급에서 언어폭력이 가장 높은 수치를 차지한 것입니다. 학생들의 거친 언어 사용은 스트레스 호르몬을 증가시켜 두뇌나 신체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합니다. 특히 오랜 기간 반복되는 심한 욕설은 물리적 폭력 못지않게 정신적 공황과 심리적 불안을 초래한다고 합니다. 한편 언어폭력을 일삼는 가해 학생도 뇌 발달이 느리게 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즉, 언어폭력은 가해자도 피해자도 결국 모두가 피해자가 되는 꼴입니다. 요즘 청소년들은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모든 단어 앞에 ‘개(개웃긴다, 개피곤하다)’를, 비하와 경멸하는 의미로 단어 뒤에 ‘충(급식충, 맘충)’을 붙이고 초성(ㅋㅋ, ㅠㅠ)만으로 표현하는 등 기존의 언어를 축약하거나 변형시키기도 합니다. 마구 쏟아지는 나쁜 정보를 걸러내지 못하는 청소년들에게 이 단어는 그저 또래 친구들이 쓰는 유행어 또는 강조하는 말 같은 존재로 여기고 있었습니다. 비속어나 욕설이 섞인 신조어도 있습니다. 학생들이 많이 쓰는 비속어 중 하나인 ‘존나, 졸라(좆나의 변형된 단어로 남성의 성기가 튀어나올 정도라는 의미의 욕설)’는 그 어떤 말보다 쉽게 들을 수 있습니다. 어느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존나, 졸라’가 욕인지와 그 의미를 알고 있는지 물어보았습니다. 방송에 참여했던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게 욕입니까?’라고 응답했고, 의미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거나 무언가를 강조할 때 쓰는 부사 매우·정말 뜻 정도가 아니냐고 되물었습니다. ‘존나 고마워, 존나 짜증나, 졸라 예쁘네, 졸라 열받네, 존버’ 등등 이렇게 낯 뜨겁고 황당한 욕을 수치심 없이 말하는 이유가 어디에 있을까요? 예전에는 좀 노는 학생들의 전유물이었던 반면 요즘은 그저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상언어가 되어버렸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이렇게 의미도 제대로 모르는 단어들이 일상생활 언어가 되어버리니 학생들은 비속어의 어감에 대해 점차 무감각해지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입에 담기 거북하고 글로 쓰기 민망한 은어·비속어를 쓰는 학생들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이 같은 언어 표현 습관은 청소년의 공격성이나 우울 등 정서에 부정적 영향을 줄 우려가 매우 높습니다. 청소년의 비속어 사용 실태가 사회 문제로 대두되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 그들이 사용하는 말과 듣는 말은 알게 모르게 자아를 형성하는 데 많은 영향을 주게 됩니다. 또한 언어폭력은 그 자체로 학교폭력의 시발점이 되기 때문에 우리가 더 관심을 가져야 하는 부분입니다. 많은 시간을 학생들의 선생으로 살아온 저는 비속어는 나쁜 말이니까 교양 있는 우리가 써서는 안 되는 말이라고 가르쳤습니다. 그 옛날 부모님과 선생님들이 말했던 그대로 학생 언어 순화 지도를 한 것입니다. 그러나 교양 있는 사람의 기준도 모호하거니와 교양이 있고 없느냐에 따라 비속어를 사용하면 되고 안 된다는 것 또한 논리상으로 맞지 않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학교에서 언어 순화 교육 방법과 대책으로는 뭔가 부족하고 힘이 실리지 않았습니다. 최소한 사용하는 그 단어의 뜻이 뭔지, 왜 사용하면 안 되는지를 정확히 설명해 줄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에 이르렀습니다. 그리하여 비속어는 쓰면 안 된다고 단정할 것이 아니라, 그 속뜻을 제대로 알고 나면 쉽게 쓰지 못할 거라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좋은 밥 묵고 쌍욕하면 쓰나?’ 유년기 다볕골 학마을 어른들이 입버릇처럼 늘 하던 말씀입니다. 바르고 고운 말을 사용하여 밥값을 하고 덤으로 밝은 웃음소리가 넘치는 그런 우리 사회가 되었으면 참 좋겠습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