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1월18일 정책브리핑을 통해 교육·청년·일자리 분야 주요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최근 학령인구의 감소와 청년인구의 수도권 유출로 지방대학은 신입생 미충원 위기에 직면하고 있고, 지역 기업도 구인난이 심각한 상황이다. 청년층의 유출 원인은 교육과 일자리로, 경남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의 우수 인재를 양성하고 지방대학의 혁신을 통한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특히 산업 수요에 맞는 인력 지원으로 산업을 고도화해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 이에 경남도는 올해 교육청년국을 신설하고, 과감한 대학혁신으로 지역별 특화된 산업의 맞춤형 인재 양성으로 지역산업을 고도화해 청년의 정착과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선순환 체계를 갖춰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교육청년국은 △도내 대학 신입생 충원율 92% △글로컬 대학 지정 3곳 △청년인구 순유출 1만명 이하 △15세~64세 도내 고용률 70% △외국인 인력 확대 6만명 등을 올해 목표로 정했다. 이를 위한 7대 핵심전략으로 △대학혁신을 통한 지역별 산업특화 강소대학 육성 및 전문인력 양성 △글로컬대학·교육발전특구 지정 확대를 통한 맞춤형 인재 양성 △청년지원사업 융복합화를 통한 청년지원시스템 재편 △경남 청년엑스포 개최 및 청년거점 활동공간 확대 △중고등학생을 비롯한 청년층의 경남 자긍심 고취를 위한 ‘경남사랑캠페인’ 추진 △일자리사업 성과분석을 통한 맞춤형 지원 △외국인 인력확대 및 통합지원 플랫폼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경남도 관계자는 “우리 지역의 인재가 도내에서 성장하고 정착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지역 수요에 맞는 인재양성으로 청년의 정착과 일자리를 창출하여 대학과 기업의 경쟁력, 더 나아가 경남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전 행정력을 집중하겠다”라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