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군형편(軍形篇)4) 이길 수 없는 것은 지키는 것이요, 이길 수 있는 것은 공격이다. 지키는 것은 부족한 때문이요, 공격하는 것은 여유가 있기 때문이다.原文(원문)不可勝者(불가승자)는 守也(수야)요, 可勝者(가승자)는 攻也(공야)라. 守則不足(수즉부족)이요 攻則有餘(공즉유여)라. 解說(해설)이쪽의 힘이 아직도 적을 이길 수 없을 때에는 물러나서 수세를 취하고 반대로 나아가서 적을 이길 자신이 있을 때에는 기회를 잃지 않고 공격을 취한다. 이것이 승리(勝利)를 목표로 하는 정석(定石)의 하나이다. 원래 수세란 것은 공세(攻勢)로 나아가는 힘이 부족할 경우이고 반대로 공세라는 것은 적에 대해서 스스로 여력(餘力)이 남아돈다고 인정될 때이다. 바로 그런 때에 가긱 타당한 태세를 결정해야 하는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