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모공편(謀攻篇)>6) 그런 까닭에 용병(用兵)의 법은 열 명일 때에는 포위하고, 다섯 명일 때는 공격하고, 갑절 일때는 적을 나누고, 서로 같으면 능히 싸우고, 수가 적으면 도망치고, 적 만 못하면 이를 피한다. 그러므로 소적(小敵)이 견고하면 대적(大敵)이 사로잡힌다. 原文(원문): 故(고)로 用兵之法(용병지법)은 十則圍之(십즉위지)요, 五則攻之(오즉공지)며, 倍則分之(배즉분지)요, 敵則能戰之(적즉능전지)며 少則能逃之(소즉능도지)요, 不若則能避之(불약즉능피지)니 小必敵之堅(소필적지견)이면 大敵之擒也(대적지금야)니라.解說(해설): 모공의 실제를 설명한 말이다. 따라서 이제 어쩔 수 없이 적과 상대(相對)했을 경우에는 앞과 같은 원리와 정신에 의해서 공수(攻守)의 준비를 하는데 그 방법의 원칙은 이러하다.첫째: 열이면 포위한다(十則圍之).적의 10배의 군사를 가졌을 때는 포위해서 적을 굴복시키거나 또는 자멸(自滅)하기를 기다린다. 이런 경우 승패의 수는 싸우지 않아도 명백한 때문이요. 무리한 싸움을 공연히 해서 이쪽의 군사를 손해볼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둘째: 다섯이면 공격한다(五則攻之).5배의 군사를 가지고 적에 대항할 경우에는 포위의 작전을 취하기는 부족하지만 그러나 그 절대적 세력을 이용해서 단숨에 적을 부셔야 한다.셋째: 적보다 갑절이면 이를 나눈다(倍則分之).두배의 군사를 가지고 적을 대할 때에는 이쪽의 군사를 둘로 나누어 협격(挾擊)의 작전을 편다.넷째: 적과의 숫자가 비슷하면 능히 적과 싸운다. 서로의 병력(兵力)이 대등(對等)할 때에는 적과 잘 싸울 것이다.다섯째: 수가 적으면 도망친다(少則能逃之).이쪽의 숫자가 부족해서 중과부적(衆寡不敵)일 경우에는 잠시 그 예봉(銳鋒)을 되하여 일부러 무리한 싸움을 하지 않고 일시 후퇴한다.여섯째: 숫자가 적만 못하면 되한다(不若則能避文). 적에 비하여 군사의 수만이 아니라 병기(兵器)의 우멸, 지세의 이불리(利不利)등 여러 조건에 현저하게 적에게 떨어질 때는 처음부터 이를 피하고 적과 싸우지 말아야 한다. 힘도 없다면서 또 모든 형편이 적만 못한 것을 잘 알면서 공연히 무익(無益)한 싸움을 하는 자를 경계한 대목이다.일곱째: 그러므로 소적의 견고함은 대적의 사로잡음이다(小敵之堅大敵之擒也). 이것은 앞의 다섯째와 여섯째의 두가지를 결론지은 말이다. 요컨대 작은적이 공연히 견고한 척하면 큰 적에게 사로잡히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가당치 않는 용맹을 믿는 어리석음은 절대 금물이라는 것이다.·註(주)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