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전후, 수많은 민간인들은 누가 적인지 알 수 없는 소용돌이에 휘말려 국가로부터 보호받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무참히 희생됐다. 함양군은 지리산과 덕유산을 잇는 지리적 여건으로 빨치산이 활동하는 본거지가 되었다. 1948년 10월 여순사건 이후 공비토벌작전 중 빨치산을 도왔다는 명분으로 함양에서는 민간인 학살사건이 자행되었다. 함양군 읍면 민간인 80여명을 포함해 보도연맹, 연고지가 밝혀지지 않은 이들까지 포함하면 무고한 희생자가 300여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들 중 함양민간인 희생사건 86명, 강정금 상해사건 1명, 부산형무소 사건 16명, 국민보도연맹사건 29명, 적대세력사건 29명, 전주형무소사건 2명, 산청·거창 등 민간인희생사건 2명, 서부경남민간인 희생사건 15명, 전북지역민간인 희생사건 1명 총 181명은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의 진실규명으로 명예를 회복한다. 하지만 70여년 아픈 기억을 안고 살아 온 유족들의 설움은 아직도 깊기만 하다. 희생자 유족들의 가슴에 응어리진 그날의 진실이 모두 밝혀지는 날까지 우리는 그들의 기억을 붙잡아 둘 의무를 갖게 됐다. 그들의 증언을 기록하는 것은 이르다하기엔 너무 늦었고 늦었다고 하기 보단 다행이었다. 아픈 기억을 들추어내야 했던 힘든 작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증언해 준 유족분들에게 다시한번 감사함을 전한다.   수동면 치라골 양민학살 사건<1949년 음력 윤7월28일>   수동면 치라골은 지리산과 덕유산, 감악산 등으로 빨치산들이 근거지를 옮겨 다니는 경로와 접해있는 작은 농촌마을이다. 빨치산들은 지나다니며 총칼로 주민들을 위협해 가축과 곡식을 약탈해갔다. 그즈음 경찰은 빨치산이 마을에 들어오면 지서에 신고하라고 했으나 경찰서와 멀리 떨어져 있던 치라골 사람들은 치안혜택을 받지 못한 채 괴롭힘을 당하고 있었다. 수동면 죽산리 주민 전재윤은 1949년 9월9일쯤 마을에 나타난 빨치산에게 밥을 해준 일로 수동지서에 끌려가 취조를 당했다. 취조과정에서 경찰이 마을 거주자 20세 이상 남자이름을 적을 것을 요구해 전재윤씨는 이름을 적어주고 풀려났다. 그 후 9월19일 새벽 수동지서 주임 최홍식과 경찰, 청년단원들은 수동면 죽산리 치라골에 들이닥쳐 18명의 마을주민을 호명하여 수동지서로 끌고 갔다. 연행된 마을주민들은 함양경찰서로 넘겨진 뒤 취조를 당했으며 이후 국군에게 인계되어 9월21일경 이은리 당그래산에서 사살 당했다. 연행된 18명은 주로 20~30대 남성이었으며 남편의 부재로 대신 잡혀간 여성 1명이 포함돼 있었다. 죽산리에서 연행된 주민 18명 중 임기택씨를 제외한 17명이 총살당했다. 임기택씨는 당그래산 현장에서 구덩이를 파다가 어느 군인이 이름을 불러 살아 남았다. 임기택씨 어머니의 젖을 함게 먹고 자란 함양경찰서 사찰계 형사 부인이던 이정자씨는 남편에게 부탁하여 당그래산에서 총살직전 이름을 불려 화를 면했다. 사건이 발생한 후 유족들은 희생자들의 시신을 찾기 위해 희생현장을 찾아 갔으나 경찰의 제지로 현장에 접근하지 못했다. 또한 경찰은 사건이 발생하자마자 바로 마을을 비우라고 해서 주민들은 아랫마을로 이주했다가 이듬해 봄에 마을로 돌아왔다.     죄라면 밥 해 준 것이 죄야 “다 기억나. 11살 먹었을 때니 훤히 다 기억나, 잡혀가는 거 다 봤는데” 1949년 음력 7월27일 아침 임이택씨는 여느 날처럼 소를 먹이고 돌아와 밥을 먹으러 집으로 오는 길이었다. 그는 동네 앞 널따란 곳에 마을 사람들이 모여 있는 것을 보았다. 경찰이 한명씩 호명을 하며 18명을 손을 묶어 매질을 하며 끌고 갔다. “잡아 간 이유가 빨갱이들 밥해줬다, 양식 줬다 그거야” 밥을 해 주었다는 이유로 끌려가 희생된 주민들 속에는 임이택씨의 형도 포함돼 있었다. 형님은 아내와 뱃속에 있는 아이를 두고 허무하게 삶을 마감했다. 형이 죽은 이듬해 유복자로 태어난 조카도 얼마 되지 않아 목숨을 잃었다. “사람들 죽고 나서 이삼일 만에 집을 비우라 했어. 자식이 죽었는데 무슨 정신이 있나, 어쩔 수 없이 큰 동네로 갔어. 큰 동네서 잠자고 여기로 농사지으러 와야 돼. 그때가 가을철인데 쌀랑하다 말이지. 애 볼 사람이 있나 포대기 펴놓고 일 하는기라. 그리 죽었어” 치라골 사람들은 가족이 죽었어도 당시 빨갱이로 몰렸던 터라 어디 가서 죽었다는 말도 할 수 없었다고 했다. 재판 한번 받지 못하고 죽어야 했던 형님의 억울함을 어디에도 하소연 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 당시 치라골이 30호 정도 살았는데 열여덟이 끌려갔어. 그중에 잡혀갔다 살아 온 사람이 한 명 있었어. 임기택 이라고... 기택이가 젖을 얻어먹고 남매처럼 자란 여자가 있는데 그 남편이 함양에 형사대장인기라. 군인 차를 타고 당그래산에 가서 임기택 찾아 손 들어 보라니까 죽일라고 쭉 앉혀놨는데 거기서 손을 들더라 케, 그래서 거기서 끄집어 낸기라. 그 순간, 조금만 넘었으면 죽는기라” 산골짜기 사람들은 죽지 못해 살았다며 한숨 섞인 증언을 내뱉던 임이택씨는 정부에 대한 원망을 쏟아냈다. “양민을 죽였으면 정부에서 보상을 해 줘야지, 전부 해달라는 게 아니라 가족은 위로해 줘야지. 사람을 그리 죽였으니 역사에 묻어놓지 못할 끼다. 근데 아직 대한민국에서 묻어놓고 있다 말이지. 세상이 밝을 대로 밝아도 밝은 게 아니고 양심을 묻어놓고 사는 세상이라” 임이택씨에게는 형이지만 자식을 잃은 부모의 심정은 전부 헤아리기도 힘들었다. 그에게 형의 기억은 희미하지만 자식 잃은 부모님은 살아도 사는 게 아닌 삶이었다. 그런 세월을 흘려보내고 그리 살다 생을 마감했다. “우리는 어렸지만 부모도 자식이 죽었어도 시신을 파 오지도 못했어. 빨갱이로 죽었다 했으니 그냥 겁이 나서. 그 세상은 그냥 죽이는 세상이야. 무서워서 못 가. 노 대통령 때 무덤 파러 찾아가 보니 못 찾았어. 군인들이 죽이고 나서 개울이 둘러 퍼진데 스실하게 묻어놨어. 2,3년 후인가 8월 추석인가 비가 많이 와서 산사태가 나서 물이 많이 내려왔어. 썩어서 뼈 뿐이라 말이지, 막 떠내려 왔어, 그때는 옥매리, 그 유림 앞에 함양 물 내려가는데 뼈가 여러 수십구 개울물로 떠내려간 것도 있고 강가로 밀려간 거 이런 거는 비가 그치고 나면 전부 다 드러나거든. 여러 수십구가 개울에 널브러져 있었다 케, 그러니 가 봐야 못 찾지 떠내려갔으니. 그런 세월을 지났어. 우리는 어려서 아심아심 하지만 부모 되는 분들은 사는 것도 아니고 그리 살다 다 죽었어” 유족들은 이제 칠팔십 대를 훌쩍 넘겼다. “나중에 역사에 이 일을 어찌 기록할라고 이러는지 몰라. 젊은 사람은 이걸 알지도 못하고 그 내용을 잘 몰라. 도북에서 제 지내는 것도 한 십년 있으면 있을랑가 없을랑가. 우리들은 나이가 많아서 좀 있으면 죽을 것인데...” 이 기사는 증언자의 구술을 그대로 살리고자 방언을 사용하였습니다. 구술 내용 중 날짜, 나이, 숫자 등에는 구술자의 기억의 외곡이 있을 수 있으며 전체 내용 또한 증언자의 기억을 바탕으로 기록됐습니다.   임이택 유족 ■ 이름 : 임이택■ 희생자와의 관계 : 희생자의 동생■ 생년월일 : 1938년 9월15일 / 만 85세■ 성별 : 남■ 주소 : 경남 함양군 수동면 치라골길 35-1■ 직업 / 경력 : 농업   함양양민희생자 치라골사건희생자 정보■ 이름 : 임한택■ 생년월일 : 모름■ 사망일시 : 당시 22세 ■ 성별 : 남■ 결혼여부 : 기혼■ 주소 : 경남 함양군 수동면 치라골 97■ 직업 / 경력 : 농업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