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가 한참 진행된 시골은 시설, 사업, 복지 등이 전부 중장년, 노년층에 맞춰져 있다. 지방소멸과 청년인구 유출의 문제, 출산율, 이주정착과 귀농귀촌 등 인구문제를 해결하려는 방법의 중심에는 청년이 있다. 실제로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통계청이 발표한 귀농어·귀촌인 통계를 보면 매년 꾸준히 귀농·귀촌인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국의 지방자치단체가 인구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기본만 해서는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최고의 선택을 해도 성과로 이어지기 어려울 수 있는 상황 속에서 함양군은 어떤 청년공간 만들게 될까? 함양군과 인구규모가 비슷한 다른 지방자치단체는 공간을 어떻게 만들고 운영하는지 살펴보고 공간이 갖는 힘과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확인한다. <편집자주><글 싣는 순서>1. 함양군이 처한 청년공간 부족의 문제2. 청년의 놀이터를 만들다. 거창 ‘청춘창고’3. 생활이 되는 공간으로 산청 ‘청소년 공간 명왕성’4. 청년을 위한 네트워킹과 축제 ‘부안청년 UP센터’ 5. 청년들이 원하는 매력적인 공간 ‘삼척청년센터’6. 청년공간, 청년이주정착의 발판으로! ‘완주의 다섯곳 청년공간’     이주청년들의 휴식처 씨앗로컬베이스캠프 청년들의 지자체 유입에 있어 대표적인 예로 귀촌 및 귀농이 있다. 농업에 관심 있는 일부 청년들이 도심 속 경쟁을 벗어나 여유 있는 삶을 그리며 귀농·귀촌을 선택하는 반면, 농업에 대한 관심이 없는 청년들에게 지방은 그저 낙후된 곳이다. 특히 인프라 구축이 극히 제한적인 곳이라면 청년유입은 더욱이 까다롭다. 많은 언론 매체에서 “지방소멸”이라는 용어를 언급하며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지만 당장 체감하기 어렵고, 그렇다고 딱히 해결방안 또한 찾지 못하고 있다. 지역 입장에서 청년들이 필요한 것은 알겠다. 그렇다면 반대로 청년들 입장에서 지역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과연 도시를 떠나 새로운 터전을 꿈꿔볼 만큼 매력적인 공간인지 먼저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군 단위 작은 지역으로 이주를 고려하는 청년들은 이주 준비과정에서 어려움이 많다. 지역에 대한 정보 부족뿐만 아니라 지자체별로 다른 정책들이 이 어려움을 더욱 가중시켰다. 또한 직업, 주거환경 등 이주에 필수적인 요소들에 대한 고민도 포함이다. 이러한 청년들의 이주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도움을 주는 곳이 있는데, 완주군 청년마을 다음타운이 그 중 하나이다. 전라북도 완주군은 기타 지자체와 달리 이례적으로 청년들을 위한 공간이 네 곳이나 마련되어 있다. 공간 활용 중심의 삼례읍, 고산면, 이서면을 비롯해 행정안전부 사업 일환인 청년마을까지 지방 지자체치고는 청년관련 사업이 왕성하다. 그중, 청년마을 다음타운은 청년 공간 활용을 넘어 외부 청년 유치까지 완주군 청년유입에 톡톡한 효자노릇을 담당한다. 2021년 행정안전부 청년마을 사업에 선정된 완주군 청년마을 다음타운은 지금까지 2년간 운영되고 있다. 고산면 송학길 씨앗로컬베이스캠프를 거점으로 청년들의 이주를 돕는 이곳은 이주를 생각하는 청년들의 휴식처와 같다. 이름 자체에서 느껴지듯 베이스캠프는 완주군 이주를 고려하는 청년들이 잠시 머무르며 완주군을 경험하고 탐색도 해보는 맛보기 체험을 제공한다. 4개의 공간(다음스테이, 모여라땡땡땡, 고래당1~2호)으로 구성된 이곳은 이주 청년들의 필수적으로 필요한 부분을 채운다. 먼저 지역을 탐색하고 여행하는 청년들이 머무를 수 있는 공간 다음스테이는 게스트하우스식으로 운영되며 객실 하나당 3~4명이 머무를 수 있는 복층형 공간으로 설계돼 깔끔한 인테리어가 장점이다. 또 모여라땡땡땡(현재 양조장으로 사용)은 지역주민, 귀농·귀촌인 그리고 청년들이 함께 운영하는 커뮤니티 식당이다. 이곳에는 문화기획자, 농부, 편집자, 일러스트레이터 등 다양한 경력을 가진 사람들이 참여하여 매번 손님들에게 색다른 메뉴의 음식을 제공한다. 채식 위주의 요리, 일회용품 최소화, 일과 놀이터 균형, 지역사회와의 연대 등을 원칙으로 운영한다. 다음 고래당1호는(커넥터스랩)는 컨테이너 하우스 형식으로 구성된 다음타운 사무국 겸 코워킹스페이스로 기획자, 연구자, 디지털 노마드 등을 위한 사무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고래당2호(메이커스랩)도 고래당 1호와 마찬가지 컨테이너 하우스 방식으로 조성된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되며 창작, 전시, 모임 등에 사용되고 있다. 씨앗 로컬베이스 캠프 이선영 대표는 “저희가 활동할 당시 10년 전만해도 지역으로 이주하는 사람들은 귀촌·귀농 혹은 은퇴자가 아닌 이상 상상하기 힘들었고, 젊은 친구들이 지역으로 이주하려고 할 때 정보를 얻기도 힘들었던 시기였다. 그러다보니 문득 청년들이 지역으로 오고 싶을 때는 어떻게 정보를 얻어야할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해서 우리가 이주청년들과 지역을 이어주는 다리가 되어주자는 생각으로 청년캠프 등을 개최하며 활동을 이어나갔다”고 설명했다.로컬베이스캠프는 지역자산화라는 이름으로 비슷한 뜻을 가진 단체가 함께 모여 만들어진 공간이다. 5개 협동조합(고산다움협동조합)이 함께 있으며 각 단체별 구현하고 싶은 사업들이 다양하다.(교육, 컨설팅, 청년지원 정책 등) 이선영 대표는 “협동조합은 딱 청년들을 위해 만들어졌다고 생각하기보단 청년을 포함해 귀촌한 사람들을 위해 만들어졌다고 생각하면 된다. 저희 교육장 같은 경우 지역 주민들이 활동을 하려고 할 때면 대관 사업도 진행하며 주민들과 함께 호흡한다”라고 말하며 로컬베이스 공간에 대해 “이곳은 청년들이 쉬면서 활동하는 공간이다. 지역적으로 외진 곳이 있다 보니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미소시장에 비빌언덕연결사무소를 운영하며 청년들이 로컬베이스캠프로 유입되도록 유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청년마을사업은 청년들이 지역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정보와 지역탐구를 중점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운영되고 있다. 특히 시골 한 달 살이, 지역 축제 등을 운영하며 이주청년들에게 지역 특색을 홍보 중이다. 이 과정에서 다음타운과 완주군청의 청년 정책 시너지효과는 좋은 편이다. 씨앗로컬베이스가 청년들의 초기 진입을 돕는 곳이라면 이와 더불어 완주군에서는 청년쉐어하우스를 운영하여 많은 청년들이 완주군에 편하게 머무르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완주군 청년쉐어하우스 관계자는 “청년마을이 생기기 이전부터 완주군은 청년들을 위한 사업 일환으로 청년쉐어하우스를 진행해왔다. 그러다 2021년 청년마을이 생기며 더욱 좋은 효과를 누리게 됐다”며 “원래 청년쉐어하우스는 장기적으로 완주군에 머무는 청년들이 이용했던 곳이지만 청년마을이 생기며 단기적으로 주거 공간이 필요한 청년들도 함께 이용이 가능하게 됐다. 청년마을을 통해 완주군을 접한 청년들은 당초 단기 주거를 신청하고 차후 중장기 쉐어하우스를 신청하는 분들도 꽤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관계자는 “이 밖에도 중소기업에 취직한 청년들에게 지낼 공간을 제공하며 많은 청년들이 완주군에서 편안한 삶을 영유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현재 쉐어하우스 수용 인원 42명 중 30여명이 이용하며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어쨌든 청년 공간도 중요하지만 주민들과 소통도 중요하다. 타지역 청년마을 중 주민들과 화합되지 못해 불편함을 겪는 상황도 있다. 그러나 완주군 청년마을은 주민들과 함께 소통하며 긍정적인 효과를 누린다. 이선영 대표는 “처음 이곳에 들어올 당시 마을 주민들 대부분이 반기는 분위기였다. 젊은 사람들이 갑작스레 어떤 사업을 하겠다고 찾아오면 어색하고 낯설 법도 할 텐데 고산면 주민들은 모두 환대했다. 특히 건물 건축 공사로 불편함이 많았지만 주민들 도움으로 잘 마무리 됐으며 이후 인근 주민과 청년들이 함께 진행하는 프로그램 또한 잘 운영됐다”며 “저희는 꼭 이주를 고민하는 청년들에게 우리와 함께 할 것을 강요하지 않는다. 모든 청년들이 그렇듯 한 개의 색을 가진 청년들은 없다. 자기 특색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고 그 부분에서 저희는 원하는 방향을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지역에서 살고 싶은 청년들을 위해 지원하는 곳이라고 여기면 좋겠다. 청년들이 많은 곳을 둘러보고 그에 맞는 좋은 곳을 선택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연재끝>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