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작전편(作戰篇)작전(作戰)이란 전쟁의 발동(發動)이다. 이 편(篇)에서는 전쟁을 하는데는 막대한 소비가 따른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것을 감당할 수 있는 경제적 능력이 있어야 전쟁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쟁은 단기전이어야 한다. 전쟁을 오래 끌면 희생이 크고 경제적 손실이 막대하다. 이것은 필연적으로 국가의 쇠퇴가 따른다. 제3국이 틈을 노려 침략해 올 우려마저 있다. 그러니 전쟁은 빈틈없는 전략으로 오래 끌기보다는 다소 졸렬한데가 있더라도 빠른 것이 좋다. 즉 졸속(拙速)이 좋다는 것, 군량이나 군수품은 적의 것을 배앗아 해야 한다는 것 등을 강조하고 있다.1) 손자(孫子)는 말했다. 대체로 군사를 쓰는 방법을 치거(馳車)천사(千駟)와 혁거(革車)천승(千乘)과 갑옷입은 군사 10만에 천리에 식량을 수송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려면 나라 안팎에 쓰이는 비용과 빈객(賓客)에 쓰이는 것, 교칠(膠漆)의 재료, 수레오ㅘ 갑옷에 드는 비용이 하루에 천금(千金)을 써야 한다. 그런 뒤에야 10만의 군사를 일으킬 수가 있다.原文(원문)孫子曰(손자왈) 凡用兵之法(범용병지법)은 馳車千駟(치거천사)와 革車千乘(혁거천승)과 帶甲十萬(대갑십만)으로 千里饋糧(천리궤량)이면 則內外之費(즉내외지비)와 賓客之用(빈객지용)과 膠漆之材(교칠지재)와 車甲之奉(거갑지봉)이 日費千金(일비천금)하리니 然後(연후)에라야 千萬之師(천만지사)를 車矣(거의)니라. 解說(해설)전쟁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전쟁의 준비가 충분히 되어 있어야 한다. 전쟁을 하려면 한 나라에 적어도 공격용전차(戰車) 천대와 수비용 천대의 10만 정도의 무장한 병력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먼 거리에 있는 병사들에게 무기나 식량을 보급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그러한 재력이 없으면 전쟁을 지탱해 나가지 못할 것이다. 또 전쟁이 일어나면 이와 관련하여 국내에서 전지(戰地)에서, 그리고 제3국에 대하여 막대한 비용이 강요된다. 외교비, 접대비, 기계수리에 필요한 자재의 비용, 군수품의 조달비 등 매일같이 천금의 거액을 소모해야만 한다. 이러한 비용을 감당해 낼 능력이 있는 뒤에라야 10만의 군사를 동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자신이 없으면 아예 전쟁을 시작해서는 안된다는 얘기다.註(주)馳車(치거) : 네 마리의 말이 끄는 빠른 전차(戰車)千駟(천사) : 사(駟)는 네 마리의 말, 한 대의 수례를 네 마리의 말이 끌기 때문에 수레의 대수를 세는데 쓰는 양사(量詞)로 쓴 것임革車(혁거) : 수레에 소가죽을 댄 장갑차(裝甲車), 이것은 치거보다 빠르지 못해서 주로 방위용으로 쓰였다.千乘(천승) : 乘(승)은 수레의 대수.賓客(빈객) : 나라를 찾아오는 유세가(遊說家)나 외교사절膠漆(교칠) : 아교와 옻칠, 이것은 활이나 화살 또는 갑옷과 투구를 만드는데 쓰이는 재료의 일부임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