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과 쇼핑 라이브 방송을 하는데 하루는 스토어에 방문객이 평소 열배 많은 수 천 명이 들어왔습니다. 방송하는 법을 배운 지 얼마 되지도 않았고 기껏 열 번 쯤 했나 싶은데 갑자기 방문객이 수천 명이 유입되니 도대체 이게 무슨 일인가 싶었네요. 어쩌면 플랫폼에서 신규 판매자를 지원하기 위해 방송 열 번째에는 방문객 유입을 지원해주는 알고리즘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퍼뜩 들어서 아들에게 이 놀라운 숫자의 비밀에 대해 뭔가 좀 아는 체하며 “알고리즘 어쩌구 저쩌구...” 했더니 아들의 생각은 다르네요. 그날 그냥 아다리가 맞아서 그럴 뿐이지 네이버에 그런 알고리즘은 없다는 겁니다. 컴퓨터와 친한 아들이 단호하게 말하니 그런가 하고 말았네요. 나도 알고 말한 것은 아니고 혼자 생각일 뿐이었으니까요. 어쨌든 “수천 명을 대상으로 방송을 한 그날은 방문객 유입 숫자에 비례해서 주문도 열배 많이 들어와서 정말 즐거웠습니다~” 라고 말할 수 있다면 더 없이 좋을 텐데 유감스럽게도 그날 주문은 그냥 평범한 수준이었습니다. 해서 방문객 수는 그냥 숫자일 뿐이라며 유쾌하게 웃고 말았답니다. 쇼핑 라이브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방송이다 보니 요일과 시간대가 중요합니다. 판매하는 상품이 곶감이라 곶감을 장바구니에 담을만한 고객이 많이 유입되는 요일과 시간대를 특정할 수만 있다면 같은 노력으로 더 큰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단지 방문객 숫자만 많은 것이 아니라 곶감을 장바구니에 담을만한 사람의 숫자가 많이 유입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직 데이터가 많지 않아 좀 더 지켜봐야겠지만 대체로 주말 그리고 낮 시간대가 효율적인 것 같습니다. 낮 시간엔 직장이나 가정에서 일을 하느라 바쁘겠기에 일이 다 끝난 밤 시간대가 좋겠다는 생각에 밤 8시와 밤 9시에 방송을 해봤는데 유입이 생각보다 적어서 다시 낮 시간대로 돌렸습니다. 평일보다 주말에 매출이 확실히 많습니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매출이 특별히 많이 오른 날이 하루 있었는데 그날은 또 평일이었답니다. 이것도 아들은 그날이 평일이지만 아다리가 맞았다고 합니다. 내 생각에 그 날은 아들이 먹방을 아주 잘해서 매출이 특별히 많이 올랐던 것 같은데 말입니다. 어쨌든 그날은 먹방 덕분인지 아들말대로 아다리가 맞았던지 흐뭇한 하루였습니다. 방송은 길게 하지도 않습니다. 30~40분 정도 가볍게 하는데 식품 박람회 같은 곳에서 며칠 수고해야 모이는 매출이 생기니 이렇게 재밌는 걸 왜 진작 하지 않았을까 싶네요. 사실 나처럼 라방 교육을 받은 농부들이 배우고 나서도 선뜻 덤비지 못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여러 차례 배워 이제 상품 소개는 청산유수처럼 잘 하게 되었는데 정작 스마트 폰을 혼자 조작해가며 방송을 진행하는 걸 배우지 못했던 겁니다. 이런 건 너무나 쉬운 것이기 때문에 굳이 설명하고 실습하지 않아도 다 할 수 있을 거라고 믿었겠지만 막상 혼자 하려고 하면 참 막막해지는 게 현실입니다. 방법은 있지요. 스스로 스마트 폰과 친해지든지 아님 스마트 폰과 친한 아들이나 딸의 도움을 받는 건데 나는 아다리가 맞아 후자를 택했답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