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이었던 7월2일은 2019년 우리나라의 일본 상품 불매운동이 시작된 날짜이다.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의 한국 수출 규제에서 비롯된 한국 측의 반발이 실체화된 것인 이 불매운동은, 20세기를 넘어선 21세기에도 한일관계는 살얼음 위에서 지팡이를 찍어가며 나아가는 것이라는 사실을 한층 더 일상적인 측면에서 깨닫게 해주었다. 불매운동이 시작되자, 대중매체를 중심으로 적극적인 불매운동 열풍이 불었으며, 일본제품을 쓰거나 일본관광을 가는 사람들에 대해 불편한 기색을 드러내는 사회적 시선들이 늘어났다. ‘이 시국에?’이라는 용어의 엄청난 대중화를 이끌어냈으며, 많은 이들이 원래부터 충분히 가지고 있었던 반일감정을 더욱 키우게 되었다. 이는 아베 신조 내각의 지속적인 반한 노선이 한국 국민들에게 결코 용납될 수 없음을 세계에 알리는 성과가 있었다. 일본은 이 상황에 대해 ‘그래봤자 별 효과도 없을 텐데’라는 입장이 전반적이었다. 정부가 행정적으로 외교에 대해 엄중한 조치를 취해 나는 효과와, 사회 전반의 불매 열풍만으로 이루어지는 미시적이고 사사로운 불매 운동의 효과는 비교할 수 없다는 입장도 고수했다. 실제로 불매운동 시작 후 3년이 지난 지금, 일본과 관련된 경제적 자유 활동에 대해 제재를 시도하거나 거부감을 표하는 사람은 보이지 않는다. 이 불매운동이 시사하는 바는-위에서 언급한 살얼음 같은 한일관계의 현재 상태 파악도 있겠지만-바로 한국과 일본의 외교는 결코 한쪽만의 이익을 내는 결과가 발생할 수 없다는 것이다. 과거사 문제만 봐도,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분명하고 진심어린 사과가 필요하다’라는 한국과 ‘이미 국가 간 협약으로 여러 번 보상을 했고 도덕적 윤리 그런 걸 외교 정치에 끌고 오는 것 자체가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다.’ 라는 입장의 일본이 그 견해 차이가 매우 심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양국 간의 최대한의 건전한 외교를 위해 서로가 추구해야 할 기본자세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상대의 이익을 내 이익과 최대한 충돌하지 않도록 하며, 동시에 실현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이 문제에 관해서는 저쪽의 잘못이 명백하다.’ ‘이 분쟁은 결코 물러날 수 없다.’는 식의 대응은 그 당시에는 소신 있고 지조 있는 행동으로 비춰질지 모르나, 어쨌거나 앞으로 아주 긴 시간을 우방국으로 지내야 하며, 또 그래야만 양국의 이익이 최대화하는 한일관계에서는 그야말로 최악의 대응이라 할 수 있다. ‘외교란 상대국의 이익과 자국의 이익을 합치시키는 것이다.‘ 라는 격언이 있다. 물러날 수 없는 것은 없다는 생각으로, 하지만 지켜야 할 최소한의 것은 어떻게든 지키며, 그에 따른 어느 정도의 양보도 필요하다는 생각으로 한일 간 외교를 펼친다면, 진정 감정이 아닌 이성에 따라 장기적으로 적절한 미래를 수립하는 이상적인 국력 신장과 관계 개선이 이루어질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