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집(後集)128장한 가지 이로운 일이 일어나면 곧 한 가지 해로운 일이 생긴다. 그러므로 천하는 언제나 무사한 것으로 복을 삼는다. 옛사람의 시를 읽어보니 이르기를 “그대에게 권하노니 제후에 봉해지는 일을 이야기하지 말라. 한 장수가 공을 이룸에는 만 사람의 하기만 하다면 칼은 천년을 갑 속에서 썩어도 아깝지 않으리‘라고 하였다. 비록 웅장한 마음과 용맹한 기상이 있을지라도 모르는 사이에 얼음과 눈이 되어 사라지리라.<원문原文>一事起(일사기)하면 則一害生(즉일해생)하나니 故(고)로 天下(천하)는 常以無事(상이무사)로 爲福(위복)이니라. 讀前人詩(독전인시)에 云(운)하되 勸君莫話封侯事(권군막화봉후사)하라. 一將功成萬骨枯(일장공성만골고)니라 하고 又云(우운)하되 天下常令萬事平(천하상영만사평) 이면 匣中不惜千年死(갑중불석천년사)라 하니 雖有雄心猛氣(수유웅심맹기)나 不覺化爲氷霰矣(불각화위빙산의)니라. <해의解義>하나의 행복에는 반드시 하나의 불행이 따라붙는 것이 세상사이므로 일이 없는것보다 더 큰 행복은 없다. 부탈한 일상이 행복인 것이다. 당나라의 시인 조송은 ’한 장수가 공을 세우려면 수만 장병이 죽어야 하니 아예 공을 세워 제후가 될 생각은 하지 말라‘고 읊었고 또 어떤이는 ’천하가 태평무사 하다면 비록 명검이 천년동안 갑 속에서 썩은들 그것이 무어그리 애석한 일이냐‘고 하였다. 그러니 아무리 용맹한 기상을 지닌 영웅일지라도 이런 시구를 읽으면 문득 그 기상이 봄눈 녹듯 사라짐을 느끼게 될 것이다.<주註>전인(前) : 당나라 시인 조송(曹松)을 가리킴, 그의 시 기해세(己亥歲)에 나오는 구절이다. 莫(막) : ~하지 말라, 금지사. 又云(우운) : 작자미상. 영(令) : ~로 하여금 !하게 한다. 匣(갑) : 칼집. 化爲(화위) : 변하여 ~이 되다. 氷霰(빙산) : 얼음과 싸락눈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