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서는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각 부문별로 다양한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기후문제는 우리나라만의 문제도 아니고 전 세계가 협력하지 않으면 그 성과를 거두기가 힘든 상황이다. 탄소중립이란 탄소발생을 줄이거나 흡수해 실제 탄소발생량을 ‘0’으로 만드는 활동으로 현재 70여개국이 탄소중립을 선언한 상황이며 스웨덴, 영국, 프랑스 등 유럽 일부국가는 이미 탄소중립을 법제화한 상황이다. 우리 정부 역시 2021년 10월 G20 정상회의에서 2050년까지 탄소중립계획을 선언한바 있다. 국가 간 무역에 있어서도 탄소발생량이 많은 물품에 대해서 탄소세를 부과하고 있어 앞으로 탄소문제는 세계무역의 흐름을 바꿀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기후문제가 전 세계적인 이슈로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와 같이 계속해서 탄소배출을 해 나간다면 7년 뒤에는 지구온도를 1.5도까지 올라가게 되고 이 온도는 인류생존의 마지노선이라고 한다. 2050년에 지구 평균온도가 3℃정도 올라갈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그렇게 되면 북극 빙하가 전부 녹아 해수면의 상승으로 해발이 낮은 섬이나 해안 도시들의 상당수가 물에 잠기고 아마존 숲이 사막화되어 전세계적으로 기후급변으로 농작물들의 생육환경의 악화와 작물별 재배한계선의 변화 등이 예상되고 식량부족사태로 인해 기근으로 많은 사람들이 사망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 이 같은 재난을 막기 위한 우리 일상생활 속 탄소배출을 줄이는 일들은 무엇일까. 자동차 타는 것을 줄이고 걷기, 에어컨·전자레인지·헤어드라이기 사용줄이기, 육류섭취 줄이기 등 매일 접하는 일들이다. 농업부문에서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한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저탄소 농업은 농작물 생장과정에서 탄소배출을 줄이는 방법과 탄소를 토양이나 농작물에 저장하는 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농업부문에서 탄소배출이 많은 것들은 농기계사용, 난방유 사용, 가축사육증가, 화학비료 사용증가, 토양 경운작업 등 여러 부문에서 발생되고 있다. 온실가스는 작물을 재배하는 과정 중 화학비료, 유기물 투입을 통해 배출된다. 논에서 벼를 재배할 때는 논에 물을 가두게 되는데 이때 짚 등 투입된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가 되면서 메탄가스를 배출하게 된다. 벼의 경우 생장기 중 물이 필요 없는 시기에 논물을 빼주기, 볏짚을 봄보다 가을에 투입하기, 작물을 재배하기 전 토양 상태를 체크하여 비료나 퇴비를 필요한 양만 공급하기 등이 있다 또한 한편 과수와 같은 다년생 작물은 탄소 흡수원의 역할을 톡톡히 하므로 재배확대가 필요하고 논밭을 가는 경운작업 최소화하기, 한 농지에서 두 종류 이상의 작물 교대로 재배하기, 바이오차(나무조각숯) 등 유기물을 토양에 첨가해주기 등으로 탄소흡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방식은 또한 토양의 비옥도를 높이고 생산량을 늘려 기후변화와 식량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제 농업도 그동안 보편적으로 해왔던 방법들의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본다. 고투입 집약 농업에서 저투입 지속농업으로의 방향전환이 필요한 때다. 그동안 당연하게 해왔던 것들, 이를테면 화학비료·유기질비료 사용, 토양경운작업, 가축사육확대 등 편리함과 효율성만 쫒아가는 방식이 아니라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농사방법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탄소중립실천에 대한 농업인들의 인식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