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은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 첫날을 맞이하는 명절이다. 날짜는 음력 정월 초하루이다.  이 날을 왜 설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는지 여러 가지 유래가 있다. 첫째, 설이 삼간다라는 뜻에서 와 새해의 첫날 일년간 무탈히 지내길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있다는 이야기. 둘째, 설다, 낯설다의 의미로 해가 바뀌어 어색하다는 데서 유래되었다는 이야기. 셋째, 17세기 문헌에 따라 설을 나이, 해를 뜻하는 말로 해석해 나이를 한 살 더 먹는 날의 뜻으로 생각했다는 해석이다. 넷째, `설날`의 `설`이란 말이 먼저 `섧다`, 곧 한 해가 지남으로써 점차 늙어가는 처지를 서글퍼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설은 새해라는 정신적, 문화적 낯섦의 의미로 `낯 설은 날`로 생각되었고, `설은 날`이 `설날`로 바뀌었다는 말이다.  어느 말에서 왔는지 정확히는 알 수 없지만 `조심하고 삼가며 낯선 일을 다루듯 조심조심 맞이하는 것`을 설의 뜻으로 봐도 될 것 같다.  대표적인 설 풍습으로는 아침에 일어나 설빔을 입는 것이 있다. 설빔은 세장이라고도 한다. 새해 아침 묵은 것들을 버리고 새 출발을 한다는 의미에서 새 옷으로 갈아 입는 풍습이다. 또한 차례를 지내고 나면 아이들이 가족이나 친지들에게 세배를 하고 인사를 하며 덕담을 나누는 풍습으로 이어진다.  설날을 맞아 집에 방문하는 손님들에게 대접하는 음식과 술은 세찬이라고 부른다. 지금은 사라졌지만, 조선시대에는 세화라는 그림을 그리는 설 풍습도 있었다고 한다. 액운을 막아준다는 닭, 호랑이, 개, 사자 등의 동물 그림을 그려 대문에 붙여놓았다고 한다.  지역별 설 음식는 강원도는 떡국 대신 떡만둣국을 즐겨 먹었다고 한다. 산이 많은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벼농사가 힘들었기 때문이다. 강원도의 특산물인 감자, 고구마, 송이버섯과 함께 각종 산나물들도 상에 올라간다고 한다. 경상도는 바다와 가까운 경상도는 해산물이 풍부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떡국을 만들 때도 굴이나 매생이를 넣어 시원한 맛을 냈다고 한다. 국물 역시 사골 대신 멸치로 육수를 내고, 조기와 민어, 가자미 등 차례상에는 다양한 생선이 올라간다고 한다. 서울, 경기지역에서는 떡국에 가래떡을 썰어 넣는다고 한다. 이는 가래떡처럼 길게 장수하라는 의미와 가래떡을 썬 모양이 엽전을 닮았다고 하여 부자가 되라는 의미를 담았다고 한다. 상에는 명태전, 녹두전 등을 올리고 내륙지방이라 해산물 종류는 적은 편이라고 한다. 전라도에서는 원래 떡국에 꿩고기를 넣은 꿩 떡국을 만들어 먹었다고 한다. 하지만 지금은 꿩이 귀해져서 닭을 이용한 닭장 떡국을 만드는데 꿩 대신 닭이라는 속담도 여기서 나왔다고 한다. 제주도는 모자반을 넣은 몸 떡국을 해 먹는다. 몸은 모자반의 제주 사투리인데, 해초의 한 종류이다. 육수는 돼지 등뼈로 우리고, 쌀이 귀한 탓에 차례상에는 떡 대신 보리빵을 쓰기도 한다. 충청도는 미역생떡국이 대표적인데 여기에 들어가는 떡은 일반떡이 아닌 생떡이다. 생떡은 맵쌀가루를 끓는 물로 익반죽해 만든 떡인데 여기에 미역이나 다슬기, 들깨즙을 넣어 떡국을 만들어 먹었다고 한다.  독일의 지도자 이런 정치인이 우리에게도 있었으며 한다. 메르켈 총리이다. 그녀는18년 동안 능력, 수완, 헌신 및 성실함으로 8천만 독일인들은 물론, 4억 5천만 EU국의 실질적인 리더였다. 독일에서 18년을 통치하는 동안 어떤 위반과 비리도 없었으며 그녀는 어떤 친척도 지도부에 임명하지 않았다. 그녀는 패션의 유혹에 넘어가지 않고 부동산, 자동차, 요트나 개인 제트기를 사지도 않은 정치인으로 이제 평범한 가정주부로 돌아갔다. 그녀는 "나는 옷을 손보고, 남편이 세탁기를 돌리고 대부분 이 일은 무료 전기가 있는 밤에 한다고 한다. 메르켈은 다른 시민들처럼 평범한 아파트에 살고 있다. 그녀는 독일 총리로 선출되기 전에도 이 아파트에 살았고, 그 후에도 여기를 떠나지 않았으며, 별장도 하인도 수영장도 정원도 없다. 우리가 부러워하는 이 여인이 유럽 최대 경제 대국인 독일의 메르켈 총리이다.  이번 대통령은 우리에게도 이러한 지도자가 한 분 정도 나왔으면 얼마나 좋을까?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