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광주 서구 주상복합 외벽 붕괴사고는 총체적인 부 실시공 우려와 인적물적 재해로 우리사회에 던져주는 많은 교훈을 주고 있다. 재해란 안전사고의 결과 발생한 인명 또는 재산상 손실을 말하며, 중대재해란 산업재재 중 사망 등 재해의 정도가 심한 것을 말한다. 재해발생은 인간적요인(man), 설비적요인(machine), 작업적요인(media), 관리적요인(management)등 4M에 의한 재해발생 연쇄관계로 이어지며 불완전한 상태, 불안전한 행동에 의해 사고 재해로 이어진다. 중대재해는 긴급처리, 재해조사, 원인강구, 대책수립, 대책실시계획, 실시, 평가 순으로 조치한다.사고원인을 현재 조사 중에 있지만 우리는 부실시공과 재해의 연관성을 배제할 수없다, 즉 투입되는 재료 및 공법에 따른 품질관리를 철저히 하였는지도 관찰하여야 할것으로 본다. 공사의 품질관리는 공사의 품질확보, 경제적시공유도, 표준화 및 하자방지, 문제점의 조기발견 및 그 원인 규제 공사의 적정 추진 유도하는데 있다, 즉 관리사이클 4단계로 plan(계획)-Do(실시)-Check(검토)-action(수정) 순으로 관리하여 목표를 향해 진보, 개선, 유지해 나가는 절차를 따라야 한다. 나아가, 재료의 품질시험, 즉 레미콘의 압축강도, 슬럼프, 염화물함유량, 공기량 등을 시험하여 체크하여야 하며, 더나아가 골재, 시멘트 등 재료 선정시험과 배합설계 등을 총체적으로 살펴보아야 하고 필요시 래미콘 현장 타설 공법 적합여부 등도 체크 하여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재해의 원인을 현장 조사단을 꾸러 원인규명을 하고 있지만 몇 가지 일어날 수 있는 우려사항에 대하여 점검이 필요할 것이다. 첫 번째, 레미콘에 투입되는 재료시험, 현장레미콘의 가수현상, 다짐방법, 시공공법 등 품질관리계획이 현장과 부합한지, 두 번째, 급속공정에 따른 외기온도 강도 발현 부족이 발생하였는지, 세 번째, 옹벽과 슬라브 철근연결이 제대로 되었는지, 네 번째, 양생(보양)이 제대로 되었는지, 다섯 번째, 레미콘 타설에 따른 시공에 맞는 공법이 적정하게 적용되었는지, 여섯째, 하중을 견딜수 있는 갱폼 등이 안전성, 작업성(시공성), 경제성 감안 적정 구조로 설계 시공되었는지, 그리고 현장 안전관리가 제대로 이행되었는지, 마지막으로 산업안전보건관리비 및 품질관리시험비 등이 반영되어 현장에 적용하고 있는지, 건설기술진흥법 및 산업안전보건법 등 관련법령에서 정한 품질관리자 및 안전관리자 등이 현장에 배치되었는지 등 정밀한 체크가 요구된다. 우리 도(함양군)에서도 이번 광주 서구 주상복합 외벽 붕괴사고를 계기로 도내 건설 중인 민관 공사현장에 대하여 품질관리 이행 여부와 재해 안전관리 이행 여부 등을 점검하여 미비한 곳은 대책을 강구하여 조치함으로 견실하고 안전한 공사를 하도록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 서만훈공학박사/토목시공기술사,토목품질기술사,건설안전기술사(전) 고성군 부군수, 한국건설시험연구소 회장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