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배움터’에서 생태적 삶을 지향하는 ‘온배움과정’ 학생을 모집한다. ‘온배움터’는 실상사 도법스님과 서울대 장회익 교수, 한살림의 박세일 이사장과 ‘꼬방동네 사람들’의 주인공인 허병섭목사 등 33인이 모여 설립한 대학과정이다. 2003년 개교 당시에는 ‘녹색대학교’로 개교를 하였는데 중간에 그 이름을 바꿔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학제는 기본 교양과정에 해당하는 ‘온배움과정’ 1년이 있고, 나머지 3년은 전공과정으로 생태농업과 생태건축 그리고 자연의학 과정 등으로 나뉘어 운영된다. 전문과정의 주말반도 운영 계획이다. ‘온배움과정’은 북유럽의 폴케호이스꼴레(folkehøjskole)와 비슷한 시민대학으로 기후변화시대에 필요한 생태적 삶의 양식을 배우고 익힌다. 고등학교 중퇴 이상의 학력이면 누구나 입학이 가능한데 특히 퇴직자들에게도 인생 재설계를 모색하는 기간으로 활용 가능하다. 올해 21년 교과군의 배치는, 이러한 취지에 맞게 ‘온배움과정’의 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먼저 의식주 3과에 해당하는, 생태농업과 생태건축 그리고 슬로패션 학습을 통해 인간의 기본적 삶의 자립기술을 익힌다. 기본적인 건강을 지키기 위한 `자연치유개론`도 배치하였다. 또한 ‘생태학 입문’ 교과 설치로 생태적 삶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넓힌다. 고전강독과 영성철학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고 자신을 찾아가는 길을 안내하기 위한 교과다. 새들의 사생활, 생태미학, 약초기행도 빼놓을 수 없는 교과다. 온~배움을 위한 강사진은 우리나라의 민주화나 시민운동에 인생을 걸고 자기 분야에 일가를 이룬 분들이나 학문적 성취가 분명한 분들로 구성하였다. 강사진의 남녀 성비가 치우친 점이 아쉽다. 가을학기를 기대해 본다. 함양 시골에서 먹고 자는 생활은 어찌해야 할까? 남녀기숙사가 따로 있고, 넓은 주방시설이 있는 `생활관`도 있다. 여기서 기숙사에 거주하는 상주자들끼리 의논하여 직접 밥을 해결해야 한다. 자취와 자치를 익혀야만 하는 교육적 의도가 다분하다. 학교운동장을 개간한 텃밭에서 자라는 푸성귀들은 맘껏 활용이 가능하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온배움터(010-3064-0986)로 문의하면 된다. 온배움터 주소(경남 함양군 백전면 구산대안로 10-2).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