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집(後集)54장새벽 창가에서 주역(周易)을 읽다가 소나무 이슬로 붉은 먹을 갈며 한낮 책상 앞에서 불경(佛經)을 담론하다가 대숲 다람결에 경쇠를 울리노라.<원문原文>讀易曉窓(독역효창)에 丹砂(단사)를 硏松間之露(연송간지로)하고, 談經午案(담경오안)에 寶磬(보경)을 宣竹下之風(선죽하지풍)이니라.<해의解義>새벽녘 동틀 무렵에 일어나 앉아 맑은 성신으로 주역을 읽다가 솔숲에 내린 이슬로 주묵을 갈아 구두점을 찍고 주석을 단다. 한낮에는 책상에 앉아 불경을 담론하다가 이따금 불어오는 대숲 바람결에 경쇠를 울려 그 맑은 음향을 실어 보낸다. 요즘 같은 세태에서는 상상도 못할 유한하고 초월적인 경지가 이닐 수 없다.<주註>易(역) : 역경, 주역. 丹砂(단사) : 주묵(朱墨), 붉은 먹, 이것으로 구두점을 쩍거나 주석(註釋)을 달았다. 硏(연) : 갈다. 談(담) : 담론. 寶磬(보경) : 절에서 사용하는 돌라 만든 타악기. 宣(선) : 베풀다, 올리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