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집(後集)47장글자 하나 모를지라도 시적 정서를 지닌 사람은 시인의 참된 멋을 터득하고 게송(偈頌) 한 구절 외우지 못하더라도 선(禪)의 묘미를 지닌 사람은 선교(禪敎)의 오묘한 이치를 깨닫는다.<원문原文>)一字不識(일자불식)이라도 而有詩意者(이유시의자)는 得詩家眞趣(득시가진취)하고 一偈不參(일게불참)이라도 而有禪味者(이유선미자)는 悟禪敎玄機(오선교현기)니라.<해의解義>그럴듯한 어휘만 늘어놓는다고 하여 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일자무식이라도 시적 정서를 지니고 있으면 그는 시의 참멋을 알고 있는 사람이다. 마찬가지로 입으로 게송만 외운다고 선의 경지를 깨닫게 되는 것은 아니다. 게송 한 구절 모를지라도 선의 참맛을 알고 있으면 그는 선교의 오묘한 진리를 깨닫고 있는 것이다.<주註>詩意(시의) : 시적 정서. 詩家(시가) : 시인. 眞趣(진취) : 참다운 멋. 偈(게) : 불가의 묘지(妙旨)를 읊은 운문형의 글. 參(참) : 가르침을 받아서 익히는 것. 禪味(선미) : 선의 오묘한 뜻. 玄機(현기) : 현묘한 기미, 깊은 의미.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