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와 인구 절벽으로 인한 사회 전반적 위기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극복할 하나의 방안으로 교육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지역 양극화에 노출되어 있는 지방 시·군에게 교육 생태계 조성은 저출산, 균형 발전, 지역 경제 활성화 문제 등이 결부돼 있다는 점에서 더욱 절실한 상황이다. 하지만 학교 교육에만 의존해 지역 교육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이러한 점을 인식해 경기도는 2011년부터 학교와 지역사회가 소통하고 협력해 공교육을 혁신하고 지역교육공동체를 구축하는 ‘혁신교육지구’ 사업을 시작하면서 교육 다양화에 앞장서고 있다. 교육청과 기초지방자치단체의 협력으로 운영되는 혁신교육지구 사업은 현재 국내 226개 지자체 중 150개의 지자체가 참여 중에 있다. 경남에서는 ‘행복교육지구’라는 명칭을 사용해 2017년 김해를 시작으로 밀양, 양산, 남해, 진주, 사천, 고성, 하동, 합천 등 총 9개의 시·군 단체가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창원, 거제, 산청은 내년 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행복교육지구는 더 확대될 전망이다.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속담처럼 시대의 방향과 지역교육공동체 흐름에 있어 함양군에도 사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이에 경남에서 가장 먼저 시작한 김해행복교육지구센터와 후발 주자로서 적극적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고성군 및 고성교육청 방문을 통해 함양교육 방향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 함양교육청 관계자와 인터뷰를 진행해 함양교육 진단과 함께 행복교육지구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한다. 편집자주 <글 싣는 순서>① 나누며 함께하는 김해행복교육지구② 고성의 교육은 고성군이 책임진다③ 함양교육 현주소 “행복교육지구 늦어질수록 함양교육 뒤처질 것” 젊은 인구의 수도권 집중 유입으로 인한 지방 도시의 인구 유출 현상은 함양은 물론 수도권을 제외한 모든 지역들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 중 하나다. 입시 위주 교육으로 자리 잡은 현재 교육체계는 이러한 현상을 해소하기보다 오히려 더 증폭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곧 지역을 떠나는 성적 상위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지원은 활발한 반면 지역에 정착해 활동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나머지 학생들은 도외시되고 있다. 이에 학생들 간의 지원 격차를 좁히기 위해 지역 교육계는 여러 방안을 모색했다. 그 방안 중 하나인 행복교육지구 사업은 교육계로부터 지방 균형 발전 목적에 가장 부합하다고 평가받고 있어 지자체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행복교육지구는 천편일률적인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마을교육공동체의 이름으로 학생들에 다양한 교육 환경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즉 지역이 제대로 된 교육 역할을 하는 것과 동시에 기회를 함께 만들어감으로써 젊은 층들의 인구 유출 또한 줄일 수 있다. 함양도 행복학교, 행복맞이학교 등을 운영하며 교육 활성화에 힘쓰고 있지만 다른 도내 지자체와의 교육 구조를 비교했을 때 아직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다. 특히 교육 인프라가 잘 조성된 인근 거창군과의 경쟁 차원에서도 행복교육지구 지정이 필요하다고 교육 관계자들은 말한다. 함양교육지원청 이영애 장학사는 “행복교육지구 지정이 늦어질수록 함양지역은 모든 면에서 그만큼 뒤처질 것”이라며 “지역에 사람들이 배움만 얻고 계속 밖으로 나가느냐 아니면 그 자원을 안고 함양에 지속적으로 머무느냐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지역과 함께 호흡하는 교육 교육청 관계자들은 함양에 행복교육지구 사업이 필요한 이유로 먼저 ‘미래교육역량을 가진 인재 양성’을 꼽았다. 4차 산업혁명을 앞두고 미래교육 역량이 창의성에 좌우되는 만큼 교육을 학교에만 국한시키는 것이 아닌 학교 밖으로 영역을 넒혀 다양한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창의성의 원천은 다양성을 존중하고 서로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자신의 문제로 받아들일 수 있는 공감 능력이다. 따라서 마을 속에서 자기 삶에 처한 문제를 인식하고 자신만의 해법을 친구들과 도모해 낼 수 있는 미래역량을 가진 청소년을 육성하기 위해 마을교육공동체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 장학사는 “단순히 경쟁에서 살아남는 것이 아닌 협력할 줄 아는 건강한 시민으로 키우는 교육이 필요하다”며 “마을이 키워준 아이들이 마을에 필요한 인재로 자리매김하고 마을에 기여하는 마을공동체가 형성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자신들이 원하는 꿈을 실현해 볼 수 있도록 자치 환경을 조성해 진로탐색을 돕는 ‘청소년 자치 프로그램’, 배우고 싶은 프로그램을 통해 마을교사와 호흡하는 ‘마을학교 활성화’ 등으로 지역이 배움의 중심이 되고 학교와 지역사회 간의 지속적인 소통 창구가 만들어진다는 측면에서 행복교육지구 사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교육청은 행복교육지구가 지정되면 일자리 창출 및 교육하기에 좋은 함양, 살기 좋은 함양이 됨으로써 인구 늘리기 및 함양 살리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함양교육지원청 노정우 장학사는 “노인 복지도 중요하지만 아이가 안전한 곳, 아이 키우기 좋은 곳 등의 슬로건을 내건 지역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며 “귀농귀촌 인구도 필요하지만 실질적으로 아이들이 들어오면 한 가정이 통째로 들어오게 된다. 그런 점에 있어 아이들을 데리고 들어올 수 있을만한 그런 환경들을 만들어 줘야한다”고 주장했다. 함양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 교육청 관계자들은 함양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학생들의 입시 경쟁력 강화가 아닌 공감과 소통이 주가 되는 더불어 행복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함양교육지원청 정병주 과장은 “진로 결과에 있어서 성적 상위 등급 소수의 학생들과 그 외 나머지 학생들이 처한 상황은 매우 상이하다. 행복교육지구 사업으로 마을교육공동체가 활성화되면 학교에서 배울 수 없는 함양 지역의 다양한 배움터를 직접 접할 수 있기 때문에 진로 선택의 폭이 넓어질 것”이라며 “이러한 마을교육공동체가 고착화된다면 함양을 떠나는 인구도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함양교육청은 향후 행복교육지구를 통해 추진할 프로그램으로 청소년 자치 프로그램, 마을학교, 마을교육과정 운영, 마을공동체 운영, 마을협동조합, 공동 육아, 공동 부엌 등을 계획하고 있다.이영애 장학사는 “아이를 키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다수의 공동체 공간이 많이 형성된다면 그 속에 다양한 동아리들이 만들어지고 그것이 그 마을의 문화콘텐츠가 된다”며 “문화콘텐츠가 확산되면 자연스레 아이들에게 혜택이 간다”고 말했다. 이어 “배움 중심의 새로운 교육으로 나아가 소통과 공감의 교육공동체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행복교육지구 사업은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연재끝>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