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집(後集)17장부귀를 뜬구름처럼 보는 기풍이 있다해서 반드시 바위굴에서 살 필요는 없고 자연을 사랑하는 버릇이 고질(痼疾)됨은 없다해도 언제나 스스로 술에 취하고 시에 탐닉해야 하리라. <원문原文>有浮雲富貴之風(유부운부귀지풍)이라도 而不必巖棲穴處(이불필엄서혈처)하고 無膏肓泉石之癖(무고황천석지벽)이라도 而常自醉酒耽詩(이상자취주탐시)니라. <해의解義> 부귀공명을 뜬구름처럼 본다고 하여 반드시 심산유곡에 숨어서 속세와 등지고 살아가라는 말은 아니다. 속세에 어울려 살면서도 지조만 변하지 않으면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자연을 사랑하는 버릇이 고질병처럼 되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항상 얼마만큼은 술을 즐기고 시를 읊조리는 한가로운 멋을 지니고 있어야 할 것이다. <주註> 風(풍) : 기풍. 이라도 巖棲穴處(암서혈처) : 바위틈에서 살고 굴에서 거처하는 것, 곧 속세를 떠나서 숨어사는 것. 膏肓泉石(고황천석) : 膏(고)는 가슴 밑의 엷은 기름. 肓(황)은 명치끝. 이곳에 병이 들면 절대로 나을 수가 없다고 하는데서 고질병을 말함. 泉石(천석)은 곧 자연,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이 고질병처럼 되는 것. 癖(벽) : 성벽, 버릇. 耽詩(탐시) : 시를 탐닉함.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