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은 전 민족이 봉기한 항일독립 3·1독립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이하는 뜻 깊은 해다. 대한민국의 근대사를 관통하며 오늘날 우리가 민족의 자부심을 안고 살아가는 현실적 토대를 마련해준 두 가지 역사적 사건의 흔적은 경남 함양군에서도 찾을 수 있다. 바로 ‘함양 백용성선사 화과원 유허지 (咸陽 白龍城禪師 華果院 遺墟址)’다. 진종 백용성(白龍城)대종사는 구한말의 승려이자 독립운동가로 3·1운동 때 만해 한용운과 함께 불교측 대표로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한 분이며 그가 1927년 함양군 백전면 백운산 8부 능선의 황무지와 임야를 개간하여 과수원을 조성,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자금조달을 위해 세운 국내 유일의 선승농장이 화과원이다. 함양의 역사를 넘어 대한민국의 근대사에 소중한 사료로 보존할 책임이 우리에게 있는 이유다. 본지는 ‘독립·개혁의 상징 함양 화과원의 재발견’ 기획 취재를 통해 상해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운동자금 지원과 참선하며 일하는 선농일치의 불교운동 진원지였던 화과원의 현재 모습과 위상을 고찰하고 미래의 위상을 정립해 국가사적지 지정을 위한 점검의 기회로 삼고자 한다. 아울러 화과원의 재발견을 통해 경남 함양이 독립운동의 산실이요 충절의 고장임을 밝혀 군민의 자긍심 고취와 우리 고장 함양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드높이고자 한다. / 편집자 <글 싣는 순서>1. 민족독립과 불교개혁의 진원지2. 민족과 전통불교를 지킨 백용성 3. 화과원의 중심 대각사상4. 만주 길림에서 함양 백전까지5. 함양 화과원의 2027년 함양문화유산의 미래, 화과원에서 찾다 백용성 대종사의 업적과 유훈은 그가 남긴 저술에 담겨있고, 그가 평생 실천했던 불교 대중화의 실천은 한글로 번역된 경전에 그대로 담겨 후대에 전해지고 있다. 이들 저작물은 근대 한국불교의 문화적 자산일 뿐만 아니라, 근대 한국불교의 치열한 실천의 과정을 보여주는 사료이자 철학적 흐름을 보여주는 사상사의 증표이다. 이러한 저작은 바로 그의 실천사상인 깨달음과 삶, 대각사상과 불교개혁, 선농불교, 대중불교라는 큰 실천의 터전인 화과원이 있다. 일제 강점기에 나라를 빼앗기고 우리말과 글을 금지당한 암울한 시기에 함양 화과원에서 과수원을 일구고, 독립운동 자금을 마련하고, 참선과 경전 번역을 통해 우리말과 글을 지켜낸 호국과 호법, 자비를 실천한 위대한 백용성의 삶과 업적은 이야기(story)로 확장되어 우리들의 가슴에 남아있다. 그의 삶은 화과원이라는 구체적인 공간에서 지금도 이루어지고(tell) 있다. 아울러 그의 이야기는 현재 그의 발자취가 어린 전국의 모든 곳에서 후대의 문손과 뜻있고 눈 밝은 이들 사이에서 여전히 살아서 이어지고(ing) 있다. 이재수 동국대 불교학술원 교수의 논문 <화과원의 문화관광 콘텐츠 개발과 활용 방안 모색>에 따르면 화과원 콘텐츠는 우선적으로 화과원이 지닌 가치를 발견하고 그 가치를 실현하는 입장에서 콘텐츠 개발 기획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종교적 입장에서 선농불교와 불교혁신의 실천 도량이라는 점, 역사적 맥락에서 민족독립운동의 실천 기지, 문화적 맥락에서 인문교육의 실천의 장이라는 가치 지향에 주목하고 화과원의 성격을 첫째, 그의 종교적 관점과 신념의 표현으로 선농불교(禪農佛敎)의 구현으로 정리하였다. 백용성은 선사로서 일관된 삶을 살았으며, 그의 수행자로서의 실천의 지표는 조선의 선불교 전통의 회복과 실천이었다. 그 구체적 방향이 자급자족 정신의 구현이라는 것이다.둘째, 백용성의 ‘혁신불교’의 구체적인 실천도량으로써 화과원이 있다. 즉 불교개혁의 구체적인 실천의 기반으로 대중들과 함께 자신의 실천을 통해 대각교의 종교적 실천을 이루어 대각교운동을 통한 불교개혁이라는 혁신적 지향의 터전이라고 보았다.셋째, 역사적으로 보면 화과원은 독립운동의 기반이었다. 화과원에서 생산되었던 재원이 상해 임시정부로 지원되었을 가능성은 상당히 신뢰할 만하다. 특히 만주 용정의 대각교당 및 선농당을 거쳐 임시정부와 만주 독립군에 독립자금으로 제공되었다는 많은 증언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함양 근현대사의 구심점을 만들다화과원 콘텐츠는 화과원에 담긴 의미와 가치를 되살려서 디지털화하고 재가공을 통해 매체와 플랫폼에 맞추어 활용된다면, 문화관광의 내용과 매력요소를 이끌어 참여적 몰입을 풀어가는 방향으로 이어질 것이다.특히 개발된 콘텐츠들은 일제 강점기 민족독립운동을 벌였던 화과원 중심으로 공간 스토리텔링을 통해 되살아나고, 나아가 공간에 성스러움이 발현되는 호국성지로 되살아 날 수 있다. 나아가 화과원에서 백용성의 사상과 그의 저술을 이해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그의 선농불교를 체험할 수 있는 체험프로그램, 템플스테이 등의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독립운동과 호국성지를 연계하는 ‘호국 성지순례’를 계획하거나, 백용성의 길을 따라가는 ‘백용성의 발자취를 따라 걷는 길’ 등의 다양한 길을 제안할 수 있다. 이재수 교수가 논문에서 밝힌 구체적인 제안을 살펴보면 첫째, 백용성 대종사와 화과원 관련 기록유산, 유적, 관련 자료 등 다양한 문화요소가 내포한 불교적, 문화적 맥락을 이해하고, 역사성, 종교성, 대중성 등 복합적 가치를 정립하여 문화콘텐츠 개발 기획을 수립한다. 여기에는 관련 전문가들과 협업을 통한 공동작업이 필수적이다. 기존의 연구성과의 기반위에 (재)대각회와 화과원, 화과원 국가사적지 추진위원회와 같은 단체의 적극적인 참여와 자문이 필수적이다. 둘째, 스토리텔링 기법을 통해 백용성과 화과원 관련된 생애에 문화적 맥락과 역사적 사실을 이해하고 다양한 스토리를 발굴한다. 먼저 불교학 및 사학 전공자를 중심으로 불교문화와 역사성에 근거하여 사료를 정리한다. 이어서 문학 및 스토리텔링 전문가들이 이야기를 발굴하고, 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화과원 관련 인물들의 구술 녹취를 통해 스토리를 생산한다. 여기에는 종교성과 공공성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취사선택하여 이야기 소재로 선정, 스토리 자원으로 활용해야 한다. 셋째, 함양지역의 인문지리적 특성을 함께 연계해 설화와 역사 및 유관한 함양의 전통사찰, 함양의 대표 문화자원과 연계한 지역문화콘텐츠를 만든다. 지역설화는 물론 지역 주민들의 구술을 현대적으로 풀어내는 과정도 스토리텔링이다. 이때 관련된 이야기를 통해 지역 축제나, 문화관광의 측면에서 화과원을 조망해야 한다. 2027년, 화과원 100년을 위한 준비화과원 문화콘텐츠 개발 기획의 방향의 첫 단초는 화과원의 가치를 발견하는 일로부터 출발한다. 화과원에 담긴 가치는 종교적 입장에서 선농불교와 불교혁신의 실천 도량이라는 점, 역사적 맥락에서 민족독립운동의 실천 기지, 문화적 맥락에서 인문교육의 실천의 장이라는 가치 지향에 주목해서 콘텐츠 개발과 기획을 해야 한다.다음으로 화과원 원천자료의 디지털화를 통한 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콘텐츠 개발을 위한 가치사슬을 첫째, ‘화과원 원천자료 아카이브’ 구축, 둘째, ‘화과원 복원 콘텐츠’의 개발과 셋째, 화과원의 가치를 체험하고, 교육하며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의 활용이다.아울러 향후 보다 진전된 논의를 통해 백용성과 화과원의 콘텐츠 개발로 이어져 그 토대 위에서 파생 콘텐츠와 활용 콘텐츠인 다큐멘터리, 영화, 뮤지컬, 애니메이션, 어플리케이션, 교육프로그램 등의 구체적 확산으로 이어져야 한다. 이번 취재기획을 통해 화과원 문화콘텐츠가 지역문화의 대표적 브랜드로 가치가 있으며, 복합적인 활용이 가능함을 인지했다. 백용성 대종사의 숭고한 정신과 화과원의 중요성과 의미 및 가치가 지평을 넓혀 나가기를 소망한다. <연재끝>박민국·정세윤 기자이 취재는 경상남도 지역신문발전지원사업보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