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은 전 민족이 봉기한 항일독립 3·1독립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이하는 뜻 깊은 해다. 대한민국의 근대사를 관통하며 오늘날 우리가 민족의 자부심을 안고 살아가는 현실적 토대를 마련해준 두 가지 역사적 사건의 흔적은 경남 함양군에서도 찾을 수 있다. 바로 ‘함양 백용성선사 화과원 유허지 (咸陽 白龍城禪師 華果院 遺墟址)’다. 진종 백용성(白龍城)대종사는 구한말의 승려이자 독립운동가로 3·1운동 때 만해 한용운과 함께 불교측 대표로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한 분이며 그가 1927년 함양군 백전면 백운산 8부 능선의 황무지와 임야를 개간하여 과수원을 조성,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자금조달을 위해 세운 국내 유일의 선승농장이 화과원이다. 함양의 역사를 넘어 대한민국의 근대사에 소중한 사료로 보존할 책임이 우리에게 있는 이유다. 본지는 ‘독립·개혁의 상징 함양 화과원의 재발견’ 기획 취재를 통해 상해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운동자금 지원과 참선하며 일하는 선농일치의 불교운동 진원지였던 화과원의 현재 모습과 위상을 고찰하고 미래의 위상을 정립해 국가사적지 지정을 위한 점검의 기회로 삼고자 한다. 아울러 화과원의 재발견을 통해 경남 함양이 독립운동의 산실이요 충절의 고장임을 밝혀 군민의 자긍심 고취와 우리 고장 함양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드높이고자 한다. / 편집자 <글 싣는 순서>1. 민족독립과 불교개혁의 진원지2. 민족과 전통불교를 지킨 백용성 3. 화과원의 중심 대각사상4. 만주 길림에서 함양 백전까지5. 함양 화과원의 2027년 대각교와 화과원엔 대각사상이 흐른다 대각사(大覺寺)는 서울시 종로구 창덕궁 후원 앞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재단법인 대각회(大覺會)의 사찰로서, 1911년 용성(龍城) 진종(震鍾) 대종사가 창건하였다. 창건 이후 용성 스님의 대각교는 이곳을 중심으로 교세를 확장해나가 1928년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대각일요학교가 설립되었고, 이듬해에는 선회(禪會)가 개설되기도 하였다. 또 1930년에는 대각성전(大覺聖殿)과 요사가 새로이 지어지기도 했다. 그 뒤 1939년 조선불교 선종 총림, 1944년에는 다시 경성포교당 대각선원 등으로 절 이름이 바뀌었다. 그러나 이 무렵 대각교가 대각사를 중심으로 민족자주성을 일깨운다고 판단한 일제는 본격적인 탄압을 시작하여 대각교는 억지로 그 재산을 신탁하게 되는 등 수난을 겪다가 결국 일제에 의해 폐지되었다. 하지만 폐지 이후에도 대각사와 만주 간도(間島)포교당을 중심으로 대각교운동은 꾸준히 전개되었다. 1969년 동헌(東軒) 완규(完圭) 대선사를 비롯한 용성 스님의 제자들이 스님의 대각교 창립정신을 기리고 대각사상을 널리 드러내기 위하여 재단법인 대각회를 대각사에 설립하였으며, 1986년 대각사 경내에 있던 건물을 모두 철거하고 지하1층 지상 3층 총 건축면적 1322.32m²의 신축건물을 짓는 등 면모를 일신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이수창 팔리문헌연구소장이 대각사상(大覺思想) 제28집(2017년 12월)에 기고한 ‘백용성의 사상과 화과원에서의 저술활동’ 논문에 따르면 화과원과 대각교를 연결하는 백용성의 사상은 한마디로 ‘대각사상(大覺思想)’이라 밝힌다. 그는 논문에서 용성선사는 자신이 터득한 ‘깨달음(覺)’을 세상에 널리 펼치기 위해 ‘대각교(大覺敎)’라는 새로운 교단을 창립했다. 그가 말한 ‘大覺’이란 곧 본각(本覺), 시각(始覺), 구경각(究竟覺)을 일컫는다. 본각이란 불(佛)과 조사(祖師)가 나기 전부터의 본래 깨달음 자체를 말하고, 시각이란 일체중생의 성품은 본래 깨달음임을 깨달았다는 것이며, 구경각이란 본각과 시각이 둘이 아닌 하나로 완성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것이 백용성의 대각사상(大覺思想)이다. 백용성은 자신이 터득한 이 대각사상을 전파하는데 일생을 바쳤다. 화과원은 농장이나 과수원이라기보다 수행도량, 즉 ‘수도원’이나 총림의 성격에 가깝다. 백용성이 꿈꾸었던 화과원은 선교률(禪敎律)을 겸수(兼修)하는 청정한 수행도량으로 실제로 이곳에 선원(禪院)이 개설되어 운영되었다. 조선불교선종총림 종주 백용성이 1938년에 발급한 안거증서(安居證書)가 남아있다. 이러한 증거을 통해 볼 때 화과원은 외부와 차단된 ‘수도원’과 같은 역할을 담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백용성이 입적한 이후에도 화과원은 그 제자들이 치열하게 수행하고 불학(佛學)을 연찬했던 수행도량이었다.백용성이 만년에 저술한 세 가지 종류의 책을 통해 그의 불교관을 엿볼 수 있다. 그는 청공원일(晴空圓日)에서 자신이 창립한 대각교의 핵심교리를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그리고 오도(吾道)의 진리(眞理)와 오도(吾道)는 도(道)라는 소책자는 대각교에서 말하는 대각大覺의 의미가 무엇인가를 보다 쉽게 서술한 것이다. 이를 통해 백용성이 비록 당시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인해 대각교의 문을 닫을 수밖에 없었지만, 끝까지 대각사상에 대한 신념을 버리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대각교와 화과원은 백용성 대종상의 대각사상이 흐른다는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화과원’의 국가사적지 지정 미래진행형대각사상의 함양 ‘화과원(華果院)’은 독립자금을 마련한 농장이 아니라 항일독립운동과 불교개혁의 역사·문화적 거점공간으로 체계적인 발굴·연구·학술작업을 거쳐 국가사적지로 지정해야한다는 움직임은 지난 2017년 6월 26일 함양군과 동국대학교 그리고 (재)대한불교 조계종 대각회가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협약을 통해 함양군과 동국대학교는 화과원을 국가사적지로 지정하기 위한 각종 학술연구와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한걸음 더 나아가 화과원을 함양군의 대표 문화관광상품으로 활성화하기 위해 관광개발을 위한 연구 및 정책자문도 이어가기로 했다. 이후 함양군은 그해 12월 8일 오후 1시 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화과원 역사와 문화의 종합적 고찰’이라는 주제로 학술 세미나를 진행했다.이날 학술세미나는 함양군과 화과원(원장 혜원 큰스님)이 주최하고 화과원 국가사적지지정추진위원회와 대한불교조계종대각회 대각사상연구원(원장 한보광 스님)이 주관했다. 이날 학술회의에선 김광식 동국대 특임교수가 ‘화과원의 역사와 성격’, 이수창(마성) 팔리문헌연구소장이 ‘백용성의 사상과 화과원에서 저술활동’, 한동민 수원화성박물관장이 ‘백용성의 독립운동 자금 지원과 화과원’, 이재수 동국대 불교학술원 교수가 ‘화과원의 문화관광 콘텐츠 개발과 활용 방향’에 대해 각각 발표했다. 화과원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를 통한 학술대회가 처음 열린 것이다. 이후 함양군은 2018년 7월 24일 ‘백용성 대종사 화과원 국가사적지 지정 신청을 위한 연구용역보고회’를 개최했다. 화과원 국가사적지 지정 추진위원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주관으로 열린 이날 보고회는 화과원의 역사·문화적 위상과 가치 재발견, 화과원 관련 기록문화유산 집성, 화과원 국가사적지지정 로드맵과 화과원의 역사·문화적 활용방안 등이 제시됐다. 그 후 함양군은 연구용역을 바탕으로 경남도와 국가사적지 지정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였고 2019년 11월 현재 추가 자료 첨부를 위해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함양 화과원이 국가사적지인 까닭은?2017년 6월 함양군과 동국대학교의 ‘화과원 국가사적지 지정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이후 계속해서 학술연구를 이어가는 불교 학자들을 지난 10월 28일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에 위치한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에서 만났다. 먼저 2017년 함양에서 열린 ‘화과원 역사와 문화의 종합적 고찰’ 학술 세미나에서 주제 발표를 한 이재수 동국대 교수는 “화과원은 항일운동의 산실이며 독립운동 자금 마련의 배후였던 것이 각종 문헌과 증언을 통해 규명이 완료됐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함양 화과원은 역사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상당히 중요한 곳이며 이를 통해 함양군의 새로운 랜드마크가 될 수 있는 중요한 자산이라고 봅니다. 무엇보다 충절의 고장을 표방하는 함양군의 이미지와는 딱 들어맞는 곳이죠. 이런 소중한 자산을 어떻게 활용하냐가 함양군의 책무라고 봅니다”라고 그동안 화과원 연구에 대한 소회를 밝혔다.함께 자리한 한상길 동국대 교수는 2018년 ‘백용성 대종사 화과원 국가사적지 지정 신청을 위한 연구용역’을 수행하며 이후 과정을 지켜본 소감을 다음과 같이 전했다.“화과원을 국가사적지로 지정하기 위한 연구용역이 2018년도 7월에 마쳤습니다. 그 후로 1년 하고도 4개월이 지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국가사적지 지정을 위한 신청서는 접수가 되지 않았습니다. 이제라도 하루 빨리 국가사적지 지정 신청을 해야 합니다. 역사적 사실이 다 공개돼 있는데 뭐가 더 필요하겠습니까? 완벽한 역사적 진실은 화과원이 항일독립운동과 불교 개혁의 진원지였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죠. 하루 빨리 화과원 국가사적지로 지정 받아 더 많은 국민에게 알려지기를 희망할 뿐입니다,” 박민국·정세윤 기자이 취재는 경상남도 지역신문발전지원사업보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