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은 전 민족이 봉기한 항일독립 3·1독립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이하는 뜻 깊은 해다. 대한민국의 근대사를 관통하며 오늘날 우리가 민족의 자부심을 안고 살아가는 현실적 토대를 마련해준 두 가지 역사적 사건의 흔적은 경남 함양군에서도 찾을 수 있다. 바로 ‘함양 백용성선사 화과원 유허지 (咸陽 白龍城禪師 華果院 遺墟址)’다. 진종 백용성(白龍城)대종사는 구한말의 승려이자 독립운동가로 3·1운동 때 만해 한용운과 함께 불교측 대표로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한 분이며 그가 1927년 함양군 백전면 백운산 8부 능선의 황무지와 임야를 개간하여 과수원을 조성,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자금조달을 위해 세운 국내 유일의 선승농장이 화과원이다. 함양의 역사를 넘어 대한민국의 근대사에 소중한 사료로 보존할 책임이 우리에게 있는 이유다. 본지는 ‘독립·개혁의 상징 함양 화과원의 재발견’ 기획 취재를 통해 상해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운동자금 지원과 참선하며 일하는 선농일치의 불교운동 진원지였던 화과원의 현재 모습과 위상을 고찰하고 미래의 위상을 정립해 국가사적지 지정을 위한 점검의 기회로 삼고자 한다. 아울러 화과원의 재발견을 통해 경남 함양이 독립운동의 산실이요 충절의 고장임을 밝혀 군민의 자긍심 고취와 우리 고장 함양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드높이고자 한다. / 편집자 <글 싣는 순서>1. 민족독립과 불교개혁의 진원지2. 민족과 전통불교를 지킨 백용성 3. 화과원의 중심 대각사상4. 만주 길림에서 함양 백전까지5. 함양 화과원의 2027년 민족독립과 불교개혁의 진원지 ‘함양 화과원’과 ‘용성선사’의 재조명<추모대상 : 일제강점기인 1927년부터 우리 독립군의 자금 조성을 위하여 독립유공자인 백용성선사께서 조성한 화과원으로 독립운동과 관련된 시설물임.><추모내용 : 화과원은 3·1독립만세운동 불교계 대표이자 독립유공가이신 백용성선사가 항일민족운동과 불교개혁운동을 실천한 주요 거점으로 일제의 탄압을 피해 독립운동자금을 마련하고 상해 임시정부와 중국 용정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임.> 지난 2017년 11월 23일 국가 현충시설 독립운동분야 지정 지역에 지정돼 국가보훈처의 국내현충시설 지정 안내문에 등재된 함양 화과원의 소개글이다. 함양 화과원의 국가 현충시설 독립운동분야 지정은 건립 91년만에 독립정신과 호국의지를 복원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이에 앞서 지난 2000년 8월 경상남도 기념물 제299호로 지정된 함양 화과원의 공식 명칭은 ‘함양 백용성 선사 화과원 유허지(咸陽 白龍城 禪師 花果院 遺墟址)’다. 함양 화과원은 근대 고승인 백용성(白龍城·1864~1940)선사의 불교개혁, 역경과 저술, 선농불교, 민족독립운동 등의 행적이 깃든 역사 유적지다. 일제강점기 조선독립을 열망했던 백용성 선사는 선농일치(禪農一致)의 가르침을 구현하기 위해 1927년 함양에 화과원(花果院)을 건립했다. 불가(佛家)의 수행이 산중에 머무는데 그치지 않고, 백성들의 삶의 현장에서 불법(佛法)을 구체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결단이었다. 대각교의 지부조직이며 불교혁신의 토대와 독립운동자금 마련을 위해 설립한 함양 화과원은 불교 수행자와 지역 농민들이 공동체 생활을 하는 과수원과 선원이 있었다. 2016년 11월14일 경남 함양군청에서 열린 ‘백용성 선사 화과원의 유허지 국가사적 승격지정을 위한 연구 용역사업 보고 및 자문회의’에서는 일제강점기 당시의 화과원 규모와 활동 상황 등이 소개됐다. 경남 함양군 백전면 백운리 50번지 백운산(白雲山)에 위치한 화과원의 규모는 약 29만7520㎡(약 9만평, 또는 약 30여 정보)의 임야와 황무지와 논밭, 대지, 잡종지 등 147만9864㎡(약 44만7659평) 규모라고 용역 결과를 보고했다. 장수 죽림정사에서 발간한 <3대대사연보(三代大師年譜)>에 따르면 백용성선사는 함양 화과원을 근거지로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다. 불가의 수행을 근간으로 농사 등 생활불교를 실천하는 한편 민족정신을 확산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일본불교의 영향에서 벗어나 조선불교의 정체성 유지를 위한 목적으로 불교개혁운동을 펼쳤다. 즉 화과원은 불교의 수행공동체인 동시에 민족정신을 고취시키는 중심기지였다. 더욱이 전국 불교계에서 모금한 자금을 함양 화과원으로 모두 모은 후에 뱃길과 산길로 상해 임시정부와 만주지역 독립운동가들에게 전달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민족독립과 불교개혁의 토대였던 화과원 건물(16동 추정)은 6.25한국전쟁 당시 전소되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위기에 놓여있었다. ‘화과원 복원불사’ 혜원의 외길 30여년 “자네가 화과원을 복원할 것이네, 자네가 화과원을 꼭 복원하소, 장차 노스님 제사 모실 곳으로 화과원만이 우리가 믿을 수 있네!”함양군 백전면 오천리 구천동이 고향인 정혜원스님은 어린 나이에 처음 출가하여 은사인 동헌완규 선사의 가르침을 받았는데 당시의 당부를 아직도 또렷이 기억하며 평생의 소명으로 여기고 있다. 백용성선사의 은법 제자 동헌스님의 제자인 혜원스님은 백용성선사의 손상좌로 1991년 11월 12일 재단법인 대각회 소속 화과원 원장에 부임했다. 1927년 화과원 건립 이후 1953년 소실되어 대중의 기억속에서 잊혀져 가던 화과원에 새로운 기운이 싹트기 시작했다. 혜원스님은 화과원 원장으로 발령을 받으며 화과원 재건불사의 의지를 갖고 복원사업에 매진했다. 혜원스님은 1992년 10월 백용성 선사가 거처하며 경전을 번역하고 참선하며 저술하던 봉유대 기공식을 시작으로 이듬해인 1993년 봉유대 상량식을 이끌고 1997년에는 신선암으로 통하는 대각교 교량과 전기 시설을 개통했다. 또한 이듬해 중국으로 건너가 연길의 용정과 명월촌 등 용성선사 유적지를 체계적으로 답사하고 세상에 알렸다. 이런 스님의 노력으로 화과원은 2000년 8월 경남도 기념물 229호로 지정되며 다시 빛을 보게 되었고 각고의 노력 끝에 2011년 10월 3일 석가모니 본존불과 후불탱화, 백용성 선사와 동현스님의 영정이 봉안된 봉유대(백용성선사가 거처하던 곳)복원불사와 점안식을 거행했다. 특히 봉유대 석가모니불상 복장 안에는 1992년 미얀마 우위난자 승정이 기증한 석가모니부처님 진신사리 2과를 봉안해 화과원은 적멸보궁으로써 항상 8부 신장들이 화과원을 옹호하고 있는 정법도량으로 사찰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더불어 2017년 11월 23일에는 국가의 현충시설 독립운동분야 지정지역으로 지정되어 화과원의 중요한 역할이었던 민족독립정신과 호국·애국 사상의 의지가 복원되는 전기를 마련해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 화과원 국가사적지 함양군민의 힘으로화과원에 대한 혜원스님의 노력과 함양군의 적극적인 지원은 백용성선사 유허지를 지역 문화유산을 넘어 대한민국의 역사유적지로 복원을 위해 함양군민의 마음을 모았다. “화과원의 역사적 기록을 바탕으로 국가사적지 추진을 위한 민·관의 노력은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2015년 5월 19일 민간을 중심으로 화과원 국가사적지 지정 추진위원회 발기인 대회를 시작으로 그해 7월 창립총회를 개최했습니다. 2016년에는 기본 연구용역과 발굴조사를 진행했고 2017년 8월 함양군추진위원회 창립 12월에는 학술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2018년 7월에는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연구용역으로 화과원 국가사적지지정 로드맵이 발표됐습니다. 국가사적지로 지정받기 위해서 필요한 요건들을 완벽하게 갖추기 위해서 경남도와 긴밀히 공조하고 있습니다.”박중경 함양군 문화관광과 문화재보존TF팀장은 국가사적지 지정을 위한 과정을 설명하며 “유허지라는 한계를 극복하기위해 추가로 지표면발굴조사 용역을 위해 이번 추경예산이 반영돼 조만간 진행됩니다. 군민의 역사문화적 자긍심 함양을 위해 반드시 화과원 국가사적지 지정을 받아 더 소중하게 문화유산을 후대에 물려줄 수 있도록 함양군은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박 팀장을 만나고 함양군청을 나올 때 휴대폰 벨소리가 울렸다.“화과원은 또 언제 오는가? 화과원 앞으로의 계획에 추가할 것이 있네. 조만간 시간나면 들리시게.” 전화기로 들려오는 힘찬 목소리는 백용성선사의 손상좌이자 화과원 복원의 산증인 혜원 큰스님이었다. 박민국·정세윤 기자이 취재는 경상남도 지역신문발전지원사업보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