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의 표는 필자가 사용하는 성명학이론을 통해 분석한 기존 이름의 길흉이다. 특히 개인적으로 한자 이름에 있어서는 ‘의미’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작명가마다 어떤 이론을 더 중시하느냐에 따라 작명 또는 개명의 결과가 다를 수 있다.1. 기존 이름의 분석① 발음오행: 서로 상생관계로 좋다.② 자원오행: 경금일간庚金日干에 필요한 수水의 기운을 가진 한자가 하나도 없다. ③ 획수음양: 음양 조화가 2 : 1의 비율로 좋다.④수리오행: 중년운이 매우 흉하다. ⑤ 의미: 이름에 담고 싶어 하는 의미는 적용하지 않았다.2. 기존 발음오행과 훈민정음 해례본의 오행의 비교훈민정음 해례본을 보면 입술소리는 궁음宮音이며 오행은 土에 속하고 목구멍소리는 우음羽音이며 오행은 水에 속한다고 되어있어 현재 사용하는 일반적인 한글 발음 오행과 훈민정음 해례본의 발음 오행은 土오행과 水오행에 해당하는 글자가 서로 바뀌어 있다. 이 훈민정음 해례본의 오행 구분법은 실제 한글을 만드는데 사용되었던 오행 구분법이다. 현재 대다수의 성명학자들은 취용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나, 필자는 오랫동안 연구한 음양오행陰陽五行에 근거해서 발음오행에는 ‘훈민정음 해례본’의 원리를 취용해서 작명 또는 개명함을 밝힌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