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읍 인근에 대규모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군민들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또 함양군이 최근 예정부지 인근 주민들의 ‘반대 입장’을 허가기관인 산업통산자원부에 전달했지만, 발전소 건립 강행을 우려하는 군민들의 목소리는 오히려 높아지고 있다.
(주)함양그린에너지가 최근 도축장 예정부지였던 함양읍 신관리 산101-7번지 일대 1만7448㎡(5200여평)에 사업비 5600여억원을 들여 국내 최대 규모인 설비용량 80MW의 수소연료전지발전소(이하 수소발전소) 설립 허가신청서를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소연료전지 발전은 도시가스에서 추출한 수소와 공기 중 산소의 화학반응으로 전기를 만드는 것으로 전국 20여 곳에서 추진되고 있지만 안정성이 검증되지 않아 주민들의 거센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전기위원회의 심의를 앞두고 수용성 여부에 대한 주민 의견을 파악해 달라는 공문을 지난달 말 함양군에 보냈다.
이에 따라 함양군은 지난 8월13일 발전소가 들어설 부지 인근 기동, 평촌, 삼천 등 3개 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마을회의를 열었다. 주민들은 이 자리에서 사업자가 사전 설명 없이 정부에 허가신청을 한 것에 대한 불쾌감과 불만을 나타내고 국내 운영 사례가 없는 대규모 발전사업장 건립에 강하게 반발했다. 또 수소가스 연료 사용에 따른 위험성에 대한 불안감을 드러내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군은 이같은 주민들의 반대 의견을 8월21일 산자부에 전달했다. 산자부 전기위원회가 이번 허가 건에 대해 어떤 결정을 내릴지 군민들은 여전히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8월22일 열린 함양군의회 정기간담회에서도 수소발전소 설립과 관련한 문제가 제기됐다.
이영재 의원은 “한 사업자가 우리지역에 대규모 수소연료전지발전소 건립을 추진하고 있는데 집행부에서는 아직 의회나 군민들에게 알려야할 단계가 아니라고 생각해서 보고를 안했는지는 모르겠지만, 민원이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듣고 있다”며 “이 사업은 5600억원 정도 투자되는 대형 사업으로 많은 일자리가 창출되는 것처럼 보이나 실제 20여명 밖에 인력이 필요치 않고 위험성에 대한 우려도 높다. 그리고 시가지와도 불과 몇 킬로미터 떨어져 있지 않다. 그런 곳에 위험성이 검증되지 않은 시설이 과연 적합한지 군에서도 잘 판단해야 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서점용 일자리경제과장은 “군에서 주민들의 의견을 파악한 결과 반대 의견이 많아 집단민원 발생이 우려되는 것으로 산자부에 검토의견서를 보냈다”며 “산자부에서 허가가 나더라도 주민들이 반대하면 사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사례가 많다”고 대답했다.
정현철 의원은 “발전소 예정부지가 현재 군이 산업단지를 조성하고자하는 인근지역이다”면서 “안전성에 대한 검증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전소가 들어서면 다른 기업들이 들어오려 하지 않을 것이다. 이미 입주하기로 한 쿠팡도 협약을 파기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서필상 함양군노동자연대 위원장도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과 ‘함양을 바꿀 새로운 힘’이라는 밴드를 통해 수소발전소 건립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서 위원장은 “파산 위기에 몰린 58.8MW 규모의 경기그린에너지가 세계 최대라는 언론자료를 보면 함양에 들어설 발전소(80MW 규모)가 기록을 깰 전망이다. 어느 정도 인지 과히 상상이 가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읍 근처에 세계 최대 규모의 전기 발전소가 들어선다는데 인근 주민은 물론 함양군민 대부분이 전혀 모르고 있다는 게 문제다. 함양군의 태도는 무사안일하다”고 꼬집고 “지난 5월 수소탱크 폭발로 2명이 사망하고 6명이 중경상을 입은 강원테크노파크 사고가 있었다”며 위험성을 경고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