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작명 또는 개명을 할 때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는데, 대략적인 이름을 선택한 뒤 추가적으로 점검해보는 체크포인트가 될 수 있겠다. 1) 작명 이론들을 완벽하게 충족시키는 이름이라 하더라도 발음상에 느낌이 나쁘거나 부정적인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이름 등은 좋은 이름이라고 할 수 없다. 특히 신생아의 이름을 선택할 때에는 학교 생활동안 친구들의 놀림감이 될 만한 이름은 아닌지를 검토해야 한다. 왜냐하면 당사자에게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주게 되며 심하면 자신감이 위축되거나 자신의 능력을 백분 발휘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김치국(金治國)’, ‘임신중(林信中)’, ‘변태성(卞泰聖)’, ‘김창녀(金昌女)’ 등의 이름은 한자의 뜻은 좋으나 연상되는 이미지가 있어 놀림감이 될 수 있는 이름이다. 2) 최근 한글이름 짓기가 유행하면서 귀엽고 예쁜 이름들이 많지만, 아동기에는 어울리는 이름이었으나 성인이 되어 사용하기에는 어울리지 않은 이름들도 있다. 예를 들어 ‘박초롱’ 이라는 남자 이름의 경우 초등학교시절에는 외모와 어울리고 귀여운 느낌을 주는 이름이어서 사용하기에 무리가 없다고 할 수 있으나, 성인이 된 후 군대에서 사용하기에는 거북함이 있고, 직장에서 사용하기에도 거북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3) 첫째, 둘째 자녀에게 구분하여 서열에 맞는 한자를 사용해야 한다. 아이가 맏이라면 장(長), 선(先), 태(太), 동(東) 등을 쓸 수 있지만 이런 글자를 차남에게 쓰면 어울리지 않게 된다. 가령 동생이 큰 대(大)를 사용하게 되면 동생의 이름은 좋을 수 있으나, 동생이 첫째를 앞질러서 첫째가 상대적으로 뒤쳐질 수 있으므로 자녀의 이름을 지을 때는 자녀간의 서열에 따른 적합한 한자를 써야 한다는 것이다. 4) 동자이음어는 사용에 주의한다. 동자이음어는 하나의 한자에 두 가지 발음이 되는 것을 말하는데, 발음상에 혼돈을 주기 때문에 주의해서 선택해야 한다. 인명용 한자 중 동자이음어는, 樂(즐길 락, 좋아할 요), 易(바꿀 역, 이), 率(거느릴 솔, 장수 수), 度(법도 도, 헤아릴 탁), 車(수레 거, 차) 등이 있다. 5) 항렬자란 같은 대에 태어난 사람들이 똑같은 글자를 쓰는 것을 말하는데, 이것은 그 집안의 몇 대 자손인가를 알려 주는 것으로 서로 같은 조상의 뿌리임을 알고 서로 일체감이나 핏줄임을 이름을 통하여 표시한 것이다. 현대에는 항렬자의 쓰임이 줄어든 추세이지만, 여전히 작명 시에 주요 부분으로 고려해야 할 때가 많다. 이처럼 항렬자는 정해져있으므로, 작명 이론에 근거한 기법들을 사용할 수 없게 되며, 심지어는 작명 이론에 위배되는 흉한 글자로 분류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에 자원오행 상에라도 필요한 오행 기운을 넣어주며 항렬자와의 관계에서 최대한 길한 배합을 선택해야 한다. 6) 불용(不用) 한자는 예로부터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이름에 쓰지 말아야 할 한자를 말하는 것으로, 뜻이 나쁘고 흉해서 이름에 피해야 하는 경우와 한자가 나쁘지는 않지만 이름자에 넣어서 사용하면 흉한 작용이 생긴다는 이론 때문에 불용(不用)으로 취급된 한자가 있다. 가령 자의(字意)가 너무 원대하고 거창한 글자, 뜻이 불길한 글자, 불길한 의미를 연상시킬 수 있는 글자, 정신세계의 높은 경지를 의미하는 글자, 양쪽으로 갈라지는 파열자, 천간 지지에 해당하는 글자 등이 해당되는데, 불용(不用) 한자라도 사주와의 조화를 이루고 성명의 구성에서 꼭 필요한 경우이거나, 성명의 조합이 매우 길하여 흉조를 상쇄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면, 작명가의 판단 하에 주의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로 지금까지 독자 분들에게 설명하고 있는 내용의 핵심은 여러 참고문헌들 중 필자가 옛날에 졸업했던 동양학과에서 재미나게 공부했던 서소옥 교수의 ‘성명학 연구’에서 참고했음을 밝힌다. 다음 주부터는 실제 필자의 작명 또는 개명 사례를 통해 일반 사람들도 매우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자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