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있지 않으면 8월 15일 광복절이 다가온다. 광복절은 우리나라가 일제강점기로부터 해방된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광복절이 되면 태극기를 다는데 태극기에 대한 의미를 잘 알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그래서 우리나라 국기인 ‘태극기’의 의미와 역사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한다. 먼저 태극기는 흰색바탕 가운데 태극문양과 모서리에 건곤감리 4괘로 구성되어있다. 태극기의 흰색바탕은 밝음과 순수, 전통적으로 평화를 사랑하는 우리의 민족성을 나타낸다. 가운데의 태극문양은 파랑, 빨강이 각각 음과 양의 조화를 상징한다. 그렇기 때문에 우주만물이 음과 양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전한다는 대자연의 진리를 형상화한 것이다. 네 모서리의 4괘는 음과 양이 서로 변화하고 발전하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건괘는 우주 만물 중에서 하늘을, 곤괘는 땅을, 감괘는 물을, 이괘는 불을 상징한다. 이들 4괘는 태극을 중심으로 통일의 조화를 이루고 있다. 우리나라는 예전부터 순수함을 사랑하는 백의민족으로 불렸는데 그러한 특징을 살려 태극기에 담아냈다는 게 대단하다. 또, 자연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조화와 통일을 이루려는 마음이 나타나, 많은 의미가 담겨있다는 생각이 든다. 다음으로 태극기의 역사는, 우리나라의 국기 제정은 1882년 미국과 체결된 조미수호통상조약이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그해 박영효가 고종의 명을 받아 수신사로 일본을 가면서 태극 문양과 그 둘레에 건곤감리 4괘를 그려 넣은 ‘태극·4괘 도안’의 기를 만들어 사용하였던 것이 현대 태극기의 처음 모습이라고 한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국기가 제대로 정해지지 않아 배 위에서 국기를 만들었다는 박영효의 마음을 생각하니 안타까움이 컸다. 나라에 힘이 있었다면 국기가 제대로 정해져있었을 테니 말이다. 그래도 박영효가 우리민족의 기본 정신이 잘 들어나게 태극기를 정비했다는 것에 존경하는 마음이 들었다. 이후 국기 제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은 탓에 이후 다양한 형태의 국기가 사용되었지만 2007년 ‘대한민국 국기법’을 제정함에 따라 국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게 되었다고 한다.나는 솔직히 태극기에 이렇게나 많은 의미가 담겨있었는지 알지 못했다. 그런데 이번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의 국기 태극기에 민족이 서로 발전하고 자연과 조화하는 등의 좋은 의미가 담겨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태극기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또한 태극기의 역사에 대해 알게 되어 우리 국기를 더 소중히 여겨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다가오는 광복절에 국기를 반드시 게양하리라 다짐해 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