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군이 함양중·제일고등학교 주변 도로환경 개선사업으로 학교주변 회전교차로 설치를 추진해 학부모와 주민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군은 7월23일 오후 함양읍사무소 소회의실에서 ‘함양 중·고등학교 주변도로 환경 개선사업 주민설명회’를 열고 회전교차로 검토 및 계획안을 발표했다.
군에 따르면 함양읍 교산리 일대(국도 24호선~함양중학교 교차로)는 교통정체가 매우 심각한 ‘F등급’으로 분석됐으며 2020년 8월까지 회전교차로를 설치해 교통서비스 수준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군 관계자는 “함양 중학교 교차로 주변 웰가, 행복주택 등의 약 2000세대 아파트가 들어서게 되면서 차량정체 및 안전사고 위험이 가중 될 것이다”며 “차량 과속 및 통행량 증가로 학생 및 일반인 보행 시 우려되는 구간을 도로선형 개선과 함께 인도확보, 안전펜스 설치 등보행자 도로환경도 개선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군은 회전교차로 설치에 대한 3가지 계획안을 주민들에게 제시했으며, 건물과 토지의 보상비가 가장 적게 드는 제1안에 대한 동의를 구했다.
회전교차로는 신호체계가 없어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고 차량 대기시간 단축에 효과가 있어 설치 장소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러나 학생들이 등하교하는 도로의 경우 결과는 다르다. 회전교차로에서는 회전을 하는 차량의 시야 확보가 어려우며, 보행자를 위한 신호등 설치도 불가하다. 무엇보다 보행자 우선이라는 시민의식이 정착돼 있지 않은 상태에서 횡단보도 신호가 없는 회전교차로는 학생들의 교통사고 위험이 더욱 높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또한 주변 상인들은 회전교차로 설치로 인한 상권 침체를 우려하기도 했다.
이날 설명회에 참석한 위성초등학교 한 학부모는 “이 계획안 자체는 보행자를 무시하고 차량만을 위한 행정이다”면서 “학교 앞 회전교차로 설치 사례가 있는지, 차량증가·정체에 대한 다른 대안은 없는지, 찾아보지 않고 강행하는 것은 직무유기다”고 비난했다.
또 다른 학부모는 “아이들은 어디로 튈지 몰라 걸어 다니는 신호등이나 마찬가지이다. 차량이 신호에 의해 정지하지 않는다면 과속, 꼬리물기 등의 현상이 발생 한다”면서 “굳이 없는 예산을 들여 학교 앞에 설치한다는 것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 사고가 발생한 후에는 어떻게 책임질 거냐”고 질타했다.
이에 군관계자는 “전문기술자들이 판단했을 때 사고 발생률을 줄이는 방안으로 이 계획안을 모색하게 됐다”면서 “주민들이 반대하면 사업 추진은 불가하지만, 보행자 안전장치도 함께 설치돼 현재 보다는 교통사고율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 된다”고 말했다.
한편 함양중학교 관계자는 “군은 건물소유자 및 주민들이 회전교차로 설치에 얼마나 찬성하고 반대하는지 파악 조차하지 않은 상태다”면서 “주민들의 동의를 구한 후 계획안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어야 한다”며 일방통행식 행정에 아쉬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