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립보행을 시도한 오스탈로피테구스에게 길은 운명이다. 서사적이지만 걷는 길은 우리에게 운명이다. ‘느림의 미학’이라 일컫는 걷기는 현대인에게 버릴 수 없는 화두다. 저 멀리 가지 않아도 우리에게는 그 길이 있다. 2018년 10월은 10주년을 맞이한 지리산둘레길의 역사다. 제주 올레길도 뒤지지 않는 역사를 자랑한다. 그 후로 오랫동안 수많은 길이 세상에 나타났다. 그곳에 있어야 할 길 들에 우린 찬사와 갈채를 보냈다. 걷기 열풍의 10주년을 회상하고 우리가 또 걸어야 할, 아니 걸어야만 되는 길은 무엇인지 지면으로 옮기고자한다.아장아장 걷기에 첫 발을 띤 아가부터 지팡이로 하루를 넘기는 어르신까지 걸음의 의미를 되새기며 공감하며 걷는 길 하나는 백 개의 공장 굴뚝 보다 우선함을 찾아보고자 한다.왜 걸어야하는지 아니 걷기 위해 있었던 길, 소통의 길을 통해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고자한다. 무엇보다 2020함양산삼항노화엑스포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함양이 간직한 소중한 걷는 길을 세상에 비추고자한다./ 편집자 <글 싣는 순서>1. 지리산둘레실 11년을 돌아보다2. 도보길의 탄생 제주 올레길3. 김광석, 대구의 길로 돌아오다4. 바다위의 정동진, 부채길을 걷다5. 함양엔 없는 안동 선비순례길6. 베트남을 알린 사파길의 매력7. 함양의 미래를 지리산둘레길에서 묻다 선비의 발자취를 따라 걸으며 道를 통하다 천만 관광객을 이끌 선비순례길 경북 안동시의 길을 걷다 흔하게 마주하는 문구는 ‘정신문화의 수도 안동’ 이란 슬로건이다. 조선왕조 500년 역사의 근간이 된 유교의 본고장 안동이다. 안동시는 유교문화를 통해 도시의 활력을 불어 넣고 있다. 바로 유교문화권 사업이다. 이 사업은 경상북도가 2008년부터 추진해 온 경북 3대문화권(유교문화‧가야문화‧신라문화)사업 중 하나다. 안동시의 유교문화유산을 바탕으로 문화와 생태, 관광을 접목한 관광진흥사업이다. 이 사업은 2008년 정부의 광역경제권 선도 프로젝트사업에 선정됐다.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총사업비 3908억 원이 투입돼 안동을 한·중·일의 유교문화 거점도시로 육성하는 대단위 프로젝트다. 안동시는 경북 도내 신라·가야·유교 등 3대 문화를 활용한 세계적인 역사·문화 관광지로 거듭나고 있다. 북 안동시 관광지도를 바꿀 최대 프로젝트인 ‘3대 문화권사업’이 시작하며 안동 선비순례길도 만들어졌다. 안동시는 3대문화권 관광 활성화 대책 일환으로 2017년 11월 선비순례길 탐방로를 개설했다. 안동호의 절경과 다양한 유교문화유적을 함께 즐길 수 있는 길이 91km, 9개 코스의 자연친화적인 탐방로이다. 코스 내에 물 위를 걸을 수 있는 선성수상길과 함께 도산서원과 이육사문학관을 비롯하여 고택 등 다양한 볼거리가 있어 천천히 걸으며 힐링관광을 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이다. 특히 안동시는 역사 문화와 인문적, 생태적 특성을 살려 안동지역 고유의 전통적 가치에 맞는 스토리텔링을 발굴해 ‘세계유교선비문화공원 탐방로’를 ‘안동선비순례길’로 통합 명칭 브랜드로 명명했다. 탐방로는 와룡면 오천유적지를 시작으로 청량산 일대까지 이어지는 코스이다. 기존 등산로를 정비하고 새로운 구간을 개설하는 등 총 346억 원을 들여 9개 코스에 걸쳐 수변·수림 탐방로를 조성했다.길에서 만나는 스토리텔링안동시는 지난해 4월 안동 선비순례길 종합안내소를 개소했다. 선비순례길 아홉 코스마다 옛 선비의 발자취와 이야기가 남아 있다. 코스마다 하루 평균 200여 명 탐방객의 인기 몰이가 계속되자 종합안내소를 설치한 것이다. 이곳에 첫 번째로 부임한 이규식 소장은 선비순례길 살아있는 이야기꾼이다. 그는 “아기자기한 이야기를 떠 올리며 걸어야 길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습니다”라며 “9코스를 완주하면 걷는이가 곧 퇴계 이황 선생님이죠”라고 아홉코스 각 코스 이야기를 전해주었다. 먼저 고고한 선비정신을 지키며 살았던 군자의 흔적이 남아있는 선성현길은 1코스다. 1코스는 도산구곡 중 첫번째 물굽이인 운암곡 주변을 둘러보는 길이다. 흔히 안동을 한국정신문화의 수도라고 하는데, 선성현길에는 고고한 선비정신을 지키며 살았던 군자들의 흔적이 남아 있다. 선성현길에서는 수많은 선인들이 우리 앞을 걸어가며 길을 안내한다.퇴계선생의 숨결이 깃든 도산서원길은 2코스다.도산서원 길은 스승과 제자가 만나는 사제의 길로 퇴계 선생이 만년에 고향으로 돌아와 학문을 연구하고 제자들을 가르치던 도산서원부터 생을 마감하고 깊은 잠에 든 묘소를 지나 도산구곡길 어느 구간보다도 퇴계의 숨결이 살아 있는 길이다.3코스는 ‘광야’, ‘청포도’를 노래한 이육사의 고향 원촌마을을 지니는 청포도길이다.이육사가 태어난 원촌은 남향터에 마을 뒤로는 산이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으며 앞으로는 멀리 내다볼 수 있는 기름진 들판과 그 너머로 느리지도 급하지도 않은 강물이 흘러가는 전형적인 배산임수의 명당이다. 마을 입구에는 원촌이 배출한 대표적 인물 이육사를 기념하는 문학관이 세워져 있다.4코스는 퇴계가 청량산을 향해 걷던 그림같은 장관의 퇴계예던길이다. 올미재는 그야말로 안동 최고의 풍광을 자랑하는 곳이다. 이곳을 한번이라도 와 본 사람은 고산정과 농암종택과 월명담을 전국 최고의 정자와 종택과 소로 손꼽는데 주저하지 않는다.5코스는 공민왕의 어머니가 이곳으로 피난하여 이름 붙여진 왕모산성길.청량산에서 흘러온 물은 산을 넘지 못해 왕모산성을 휘돌아나가고 산은 물을 침범 못해 내살미와 백운지라는 한 폭의 그림 같은 강 풍경을 만들어냈다. 6코스는 안동 최초의 서원 ‘역동서원’이 있었던 역동길이다. 강물은 적벽가를 부를만큼 융융하게 흘러간다. 부포에는 우리나라 이학의 조종인 우탁의 역동서원과 기름진 들과 더불어 천년세월을 견딘 부라원루가 있다. 한국학 전문 연구기관 국학진흥원부터 도산온천으로 이어지는 산림문학길이 7코스다.송곡고택과 선성아문, 호계서원과 예안향교가 있으며 한국국학 진흥원은 목판을 수집 보존하고 국역을 통해 안동정신을 외부로 송출하는 총 본산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길의 35번 국도를 따라 도산으로 올라가는 길목에는 산림박물관이 있다. 8코스는 신라의 국권회복을 그리던 마의태자의 꿈을 찾아가는 여정 마의태자길이다.이곳은 신라가 망하자 태자였던 김일이 고려로의 귀부를 거부하는 세력을 이끌고 끝까지 신라부흥을 일으켰던 흔적이 용두산과 태자산 일대에 지명유래와 전설로 남아 있다.퇴계 문하생들이 수운정과 건지산을 오가며 서도를 익혔던 서도길이 마지막 9코스다.선비길의 가치를 더하다“안동 선비순례길 1코스가 시작되는 이곳에 선성현 문화단지가 오는 12월께 문을 열면 안동시 문화관광산업의 새로운 바람이 불 것입니다.”안동시 3대문화사업 주무부서인 유교신도시진흥과 김상진 주무관은 선비순례길과 선성현문화단지가 만나면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라 힘주어 이야기했다. 안동시는 3대(유교와 가야, 신라) 문화권 사업 하나로 2015년부터 337억원을 들여 도산면 서부리 터 5만600㎡에 선성현 문화단지를 만들고 있다. 선성현 옛 관아를 복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객사, 동헌, 역사관 등을 짓는 사업이다. 이곳 문화단지가 들어서는 선성현은 예안현 옛 이름으로 고려 왕건 때 이름 붙여졌다.선비순례길과 선성현문화단지 설명을 이어가던 김 주무관은 “선성현 문화단지 인근에는 안동호는 물론 물 위의 산책길로 명성을 얻고 있는 선성수상길, 한국국학진흥원, 예안향교, 산림과학박물관, 도산서원, 이육사 문학관 등 관광자원이 넘친다”며 “순례길과 문화단지가 만나 새로운 관광산업의 축으로 안동 경제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고 말했다.박민국·정세윤 기자이 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