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기금의 규모가 국내시장 규모에 비해 빠르게 증대되면서 기금의 국내시장에 대한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국내시장에서 기금을 운용함에 있어서 투자기관, 투자시점 등에 있어 제약이 발생될 우려가 제기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강석진 의원(새누리당, 경남 산청·함양·거창·합천군)이 국민연금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 국내주식 투자 금액은 95조원(국내시장의 비중 1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국내주식시장 시가총액 및 국민연금 주식투자현황을 보면 시가총액 평균 상승률은 5.95%에 불과한 반면, 국민연금 주시투자액 평균 상승률 11.5%으로 2배 가까운 수치를 보였다.
현재 국내 주식시장이 세계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 이하인 상황에서, 국민연금의 투자는 글로벌 포트폴리오에서 많이 벗어나 있어 분산투자를 극대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한편 2014년도 각국 연기금의 홈바이어스 수준은 한국(0.60), 일본(0.51), 캐나다(0.15), 스웨덴(0.43)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국민연금의 경우는 다른 해외 주요 연기금에 비해 홈바이어스(Home bias, 모국투자편향) 수준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인 강석진 의원은 “큰 고래가 연못에 있는 격이다. 국내시장에서의 자산운용 제약, 수익성 제고 및 위험분산을 위한 투자 다변화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해외투자 확대 필요하다”며 “특히 2030년 이후 연금급여로 지급되는 재원이 보험료 수입을 초과하여 점차 자산을 매각‧처분해야 하는 경우 국내 시장에 미칠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서도 해외분산 투자 확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