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국내 치매인구가 빠른 속도로 늘고 있어 종합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해 보인다.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강석진 의원(새누리당, 경남 산청·함양·거창·합천군)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작년 2015년 한해에 치매로 인해 진료받은 환자 수는 49만7천여 명으로 나타났다.치매 환자 성별로는 여자가 35만5천명으로 남자 14만1천명에 비해 2.5배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지역별로는 경기(86,680명), 서울(64,427명), 경북(39,785명) 순으로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80세이상~85세미만(124,710명), 75세이상~80세미만(106,947명), 85세이상~90세미만(94,201명) 순으로 많았다. 한편 치매로 인한 병원비 지출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2011년 대비 2015년 진료비는 1.8배 증가한 1조8천억여 원에 달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인 강석진 의원은 “기존 정책은 급속도로 늘고 있는 치매인구에 비해 사전적 예방보다는 사후적인 치료에 국한됐다는 점에서 실효성이 떨어진다”라며 “적극적인 치매 예방 조치와 조기치료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