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18세기 조선후기 붕당정치의 변질로 서인들의 장기집권이 계속되었다. 이에 몇몇 가문의 권력독점으로 세도정치가 극에 달하고 사회가 혼탁해지고 백성들의 생활은 피폐해져 갔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고 농촌이 피폐해지면서 젊은 학자들을 중심으로 이론과 형식에 치우친 기존의 성리학적 사회에 대한 비판이 일기 시작했다. 현실문제의 해결책을 강구하고 사회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실천적이고 근대지향적인 실용적 학문에 관심이 높아졌다. 중국에서 서양의 과학기술이 전파되고 고증학과 양명학 소개되고 사회를 개혁해야 한다는 실사구시의 학문인 실학이 점점 힘을 받게 되었다. 한국 최초의 백과사전인 이수광의 『지봉유설』이 소개되고 김육은 대동법을 확대 실시하며 동전사용을 주장했다. 실학은 당면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백성 대부분이 농민이므로 농업과 토지개혁 없이는 민생안정과 부국강병을 이룰 수 없다고 주장하는 중농학파와 상공업의 발달과 청나라의 선진 과학기술의 수용과 상품화폐 경제를 통해 사회를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중상학파로 나누어져 열띤 논쟁을 벌였다. 중농학파 학자들은 성호학파라 부르는 유형원 이익 정약용 등이고 중상학파는 유수원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와 같은 북학파 중심이었다. 이황 이이 등 성리학 학자들: 직업의 정석 사농공상(士農工商)을 모르시오? 양반 선비가 있어야 나라가 바로 서는 것이지 농사꾼, 대장장이, 장사꾼이 선비 사(士) 위에 있으면 나라가 망하는 것이오. 태양 아래 별이 있는 법도를 가르친 성리학을 배우시오. 중농학파 윤형원: 좋아요. 국가가 소유하여 백성들에게 토지를 신분에 맞게 차등을 두어 나누어 줍시다. 양반은 많이, 농민은 조금 적게 이렇게 신분별로 땅을 평등하게 정하여 나누어 주면 불평불만이 없어요(차등 균전제). 중농학파 성호 이익: 토지소유의 최소한의 한도를 지정하여 영업전으로 지정된 땅은 절대로 팔수도 살수도 없게 금지해 놓고, 그 외의 토지는 매매를 가능하도록 하여 아무리 가난한 농민이라도 최소한 영업전만은 소유하여 자신들의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해요 (한전론과 영업전). 또 사회를 좀먹는 6가지 좀비가 있어요. ① 노비 제도 ②과거 제도 ③양반 제도 ④미신 ⑤승려 ⑥나태 이 좀비들을 빨리 없애야 사회가 발전해요. 중농학파 다산 정약용: 나는 마을 단위로 토지를 공동으로 경작해서 노동량에 따른 수확물을 공동으로 배분하도록 하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여전론). 사회주의 국가나 북한을 보세요. 공동작업 공동배분을 해요. 내 말이 맞다는 것을 보여주는 확실한 증거에요. 실학을 『경세유표』 책에 집대성 했으니 참고하기 바래요. 중상학파 유수원: 농업보다도 상공업을 발전시켜야 먹고 살아요. 토지도 없는 나라에서 장사를 해야지요. 청나라를 보세요. 과학 기술을 도입하는 게 우선입니다. 이용후생(利用厚生) 실사구시(實事求是)해야 합니다. 중상학파 담헌 홍대용과 김석문: 좁은 땅덩어리에서 땅 땅 토지 토지 하지 말고 청의 발달된 문물을 받아들여요. 와, 나 머리 돌아가네. 지금이 어느 시대입니까? 지구가 하루에 한번씩 돌고 있어요(지전론). 우주는 상대적으로 돌아가지요. 중국 중심적 세계관이 아니라 우리 조선도 하나의 주체로 돌아가야 하니까 과학기술을 빨리 받아들여 나라를 발전시켜야 합니다(의산문답). 중상학파 연암 박지원: 맞아요. 수레와 선박, 화폐를 이용하여 상품들을 빨리 유통시키고 상공업을 발전시켜야 합니다. 위선과 허세로 가득 찬 무능한 양반들 좀 보세요. 『허생전』 『양반전』에 사회의 타락상이 잘 나타나 있어요. 『열하일기』에서 이용후생의 기술을 썼어요. 화폐도 사용해야 상공업이 잘 돌아 가지요. 중상학파 초정 박제가: 재물은 샘과 같아요. 소비를 해야 갱제가 살아나요. 물을 퍼내야 샘물이 썩지 않고 솟아나듯 소비를 권장해야 생산이 활발해 집니다. 내가 쓴 `북학의`를 읽고 제발 `우물론`을 공부하세요. 다행히도 모내기법의 새로운 농사기술이 개발되고 전파됨으로서 농촌사회는 커다란 변혁을 가져오고 있었다. 전에는 직파법이라 하여 논과 밭에 그냥 씨를 뿌려 농사를 지었다. 그러나 모판에 볍씨를 뿌려 일정 크기가 되도록 벼를 자라게 하여 논에 옮겨 심는 지금의 모내기법인 이앙법을 개발한 것이었다. 이것은 벼를 일찍 심어 2모작이 가능토록 했으니 두 배의 수확량을 확보하게 된 것이었다. 또한 줄을 지어 옮겨 심음으로써 잡풀을 뽑는 노동력을 절감하여 10분의 1로 줄어들었으므로 또 다른 농사를 지을 수 있게 한 실로 획기적인 농업기술의 대개혁이 아닐 수 없었다. 또한 퇴비나 비료와 같은 시비법의 발달로 수확량이 더욱 늘어났다. 가뭄이나 장마 흉년으로 기근이 심할 때 주식으로 대용할 수 있는 구황 작물이 재배되기 시작하였다. 구황 작물인 고구마는 일본에서, 감자는 청에서 각각 도입되었다. 이로써 농작물 수확이 늘자 대지주 부호가 생겨났고 농산물을 파는 대상인이 나타났고 상업과 수공업이 발달하여 장시(오일장)가 전국에 대대적으로 늘어나 점점 사회는 농민과 상민 중심사회로 전환되고 있었다. 부자는 부자가 되고 가난한 자는 더 가난해지는 양극현상도 일어났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