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 양민학살 희생자 67주기를 맞아 희생된 이들의 넋을 기리고 추모하는 제8회 위령제 및 추모행사가 8월30일 수동면 도북리에 위치한 양민학살 희생자 합동묘지에서 기관단체장과 유족회, 추모객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함양 양민학살 사건은 1948~1950년 지리산 인근에 활동하던 빨치산을 도왔다는 명분으로 9개 읍면에서 민간인 80여명을 포함해 보도연맹, 연고지가 밝혀지지 않은 이들까지 총 300여명이 넘는 인원이 희생된 민족역사의 비극적인 사건중 하나다. 이 사건을 통해 희생된 양민들은 사건 발생 60년이 지난 2009년이 되어서야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의 진실규명을 통해 국가의 사과를 받으며, 명예를 회복했다. 2009년 1회 합동위령제를 시작으로 매년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위령제를 현재까지 진행하고 있다. 함양군 181위 유족회(회장 차용현)의 주최로 열린 이날 위령제는 차상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사무국장의 사회로 진행되었다. 차용현 유족회 회장의 개제선언에 이어 임창호 군수를 초헌관, 임재구 의장을 아헌관, 유족대표 차정호 씨를 종헌관으로 181위에 대한 제례를 진행하여 억울하게 희생된 이들의 넋을 달랬다. 추모제는 차용현 유족회 회장의 인사말, 임춘택 부회장의 경과보고, 임창호 군수의 추모사로 진행됐다. 차용현 유족회 회장은 “시간이 지나며 계절은 돌고 도는데, 그 날 가신 우리들의 아버지, 가족들은 돌아오지 못했다.”며 “그 분들이 겪었을 고생을 생각하면 60여년이 지난 지금도 죄송스럽다.”고 전했다. 임창호 군수는 “민족사의 가장 처절한 6.25전쟁의 상황에서 영문도 모른 채로 운명을 달리하신 이들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이 자리에 모였다.”고 전하며 “그 날의 진실이 모두 밝혀지고 조금이나마 유가족분들의 가슴 속에 쌓여있던 울분이 씻겨 나갈 수 있도록 많은 분들이 관심과 애정을 가져주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강대용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