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 군민들에게 상림공원이란 휴식처이며 고향의 향수를 전하는 곳이다. 고운 최치원 선생에 의해 만들어진 상림공원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그의 업적이며 유산이기도 하다. 시대를 잘 못 만난 비운의 천재로 묘사되는 최치원 선생이 천년이 지난 현재 한중 양국을 잇는 문화 아이콘으로, 그의 학문과 사상, 그리고 정치이념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최치원 선생의 유물과 행적이 남아있는 지자체들이 앞 다퉈 ‘최치원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전국적으로는 최치원 선생 관련 유적이 300여 곳 이상 되는 것으로 파악될 정도로 수많은 지자체에 그의 흔적이 남아있다. 고운 최치원 선생의 발자취를 쫓으며 각 지자체들의 최치원 마케팅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글 싣는 순서>1. 최치원 그의 삶과 길2. 최치원 도시연합의 중심 경주시3. 최치원의 자취가 서린 곳 - 군산시·정읍시4. 최치원의 자취가 서린 곳 - 문경시·의성군5. 최치원의 자취가 서린 곳 - 합천군·창원시6. 함양 상림공원과 최치원 역사공원최치원 선생의 행적은 우리나라 곳곳에 남아 있다. 6두품의 한계에 좌절하며 지역 각지 목민관으로 선정을 베풀었던 곳. 그리고 시대를 한탄하며 은둔의 삶을 살았던 곳 등이다.경북의 문경시와 의성군 역시 최치원 선생의 흔적이 남은 곳이다. 유학자이면서도 유불선 모두를 통달한 최치원 선생은 사찰과 유독 연관이 깊다.문경의 봉암사, 그리고 의성의 고운사는 경북지역에서 최치원 선생의 흔적을 볼 수 있는 곳이다. 이들 지역 모두 최치원 마케팅을 준비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문경시 그리고 지증대사적조탑비경북 문경시는 최치원 선생이 풍류를 즐기던 곳이기도 하다. 최치원은 문경선유동에서 풍류를 즐기며 아홉 절경을 꼽아 선유구곡을 정했다고 전해진다. 문경8경의 하나인 문경선유동은 칼로 두부를 자른 듯한 바위와 온갖 형태의 기암괴석, 아름드리 노송과 울창한 숲이 어우러져 비경을 펼친다. 하류부터 상류 쪽으로 길이 1.8㎞의 계곡을 따라 제1곡~제9곡이 차례로 이어진다. 선유구곡의 1곡은 옥 같은 안개가 드리운다는 옥하대, 2곡은 뗏목 모양의 바위인 영사석, 3곡은 활기차게 흐르는 맑은 웅덩이인 활청담, 4곡은 어지러운 마음을 씻어낸다는 세심대, 5곡은 여울목을 본다는 관란담, 6곡은 심신을 맑게 씻는다는 탁청대다. 7곡~9곡은 서로 이웃해 있는데다 자동차로 다가가기 쉬워 찾는 이들이 많다. 노래하며 돌아온다는 뜻의 제7곡 영귀암과 제8곡 난생뢰는 신선의 세계를 나타낸다. 난생(鸞笙)은 선계에서 연주되는 대나무 악기로 만물이 소생하는 소리를 낸다고 한다. 제9곡 옥석대는 선인들이 이곳에서 도를 깨우쳤다는 의미가 크다.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희양산 기슭에 자리한 봉암사. 봉암사를 비롯해 희양산 일대는 경관이 수려하여 고운 최치원 선생의 유적이 여러 곳에 전한다. 봉암사는 신라 헌강왕5년 (서기 879년)에 지증대사가 창건한 고찰이다. 지증대사가 심충이란 사람의 권유로 현봉암사 자리를 결정하고 그 자리에 있던 큰 못을 매몰하려 하는데 큰 용이 서식하고 있는지라 지증 대사는 신통력으로 그 용을 구룡봉으로 쫓고 매몰하여 그 자리에 봉암사를 세웠다고 한다. 천년 고찰 봉암사에는 여러 중요 문화재들이 많이 남아 있지만 국보 315호로 지정된 ‘지증대사적조탑비(智證大師寂照塔碑)’는 최치원 사산비 중 하나로 우리나라 최고의 금석문으로 손꼽힌다. 고운 최치원 선생이 남긴 명문의 금석문을 일컬어 ‘최치원 사산비’라 하는데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 대공 탑비(국보 47호)’, 경주 대승복사 비 쌍거북 귀부,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적조탑비(국보 315호)’, 보령 성주사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국보 8호)’ 등 4개가 전한다. 사산비문은 고승의 행적이나 신라왕가의 능원(陵園)과 사찰에 관해 기록한 것으로 그분의 빼어난 글 솜씨와 함께 당대 고승들의 행적을 자세하게 알 수 있는 우리나라 최고봉의 금석문으로 알려지고 있다. 최치원 사산비 중 하나가 바로 희양산 기슭 봉암사에 있다. ‘지증대사적조탑비’는 진성왕 7년(서기 893년) 무렵 최치원이 글을 짓고 당시 경주 분황사 노스님이었던 혜강(慧江)이 글을 쓰고 새긴 것으로 봉암사를 창건한 지증대사의 생애와 신라불교 선종사(禪宗史)가 기록되어 있다. 비의 높이는 무려 2.73m, 너비 1.64m로 비문에 새겨진 글자만 무려 1만3500자가 넘는다. 귀부(돌거북 모양의 커다란 받침돌)와 이수(비석 윗면의 덮개돌)를 완전히 갖추고, 귀두(龜頭)는 한 개의 뿔을 장식한 용두형(龍頭形)으로 돼 있다. 앙련(仰蓮·연꽃이 위로 향한 모양을 새긴 대좌)과 8마리의 용이 서로 얽혀 싸우듯 장식한, 매우 섬세하고 특이한 이수를 비신(碑身) 위에 갖추고 있는 통일신라의 최성기(最盛期)의 석비다.석재는 점판암이며 남해에서 운반해 온 해중석(海中石)으로 조각된 우리나라 유일의 것으로 당시 후삼국시대의 혼란기와 교통여건을 감안하면 이러한 대형 석재를 천리길 봉암사까지 운반하는 불사에 참여한 사람들의 노력과 의지에 경이로움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비문 들머리를 보면 ‘입조하정(入朝賀正) 겸(兼) 연봉황화등사(延奉皇花等使) 조청대부(朝請大夫) 전수병부시랑(前守兵部侍郞) 충서서원학사(忠瑞書院學士)이며 자금어대(紫金魚袋)를 하사(下賜)받은 신(臣) 최치원(崔致遠)이 교(敎)를 받들어 지음’ 이라고 정확하게 최치원 선생이 글을 지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이 비에는 비문을 세운 정확한 연대가 밝혀져 있을 뿐만 아니라 비문을 각자(刻字)한 이를 밝힌 것은 물로 신라 불교사를 모두 3기로 시기를 구분하고, 도헌국사의 법계를 구체적으로 기록하는 등 신라 후기 불교사 연구의 중요한 사료이다. 또 비문은 지증대사의 일생 행적을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또한 신라 후기의 지명이나 인물, 제도나 풍습 등 많은 정보를 담고 있어 신라사 연구의 귀한 자료이기도 하다. 의성군의 고운사대한불교 조계종 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 경북 의성군 단촌면 등운산 아래 위치한 고운사는 최치원 선생의 호를 그대로 사용할 정도로 많은 인연이 있는 곳이다. 고운사는 신라 신문왕 원년(서기 681년)에 해동 화엄종의 시조인 의상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풍수지리적으로 부용반개형상(연꽃이 반쯤 핀 형국)의 천하명당에 위치한 사찰이다. 고운사는 경북지역 안동과 예천, 영주, 영양, 청송 등지 60여개 대소사찰을 거느릴 정도로 본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곳이다. 원래 ‘高雲寺’였던 것이 최치원과의 인연으로 그의 호를 따 ‘孤雲寺’로 바뀌었다. 특히 고운사 경내에는 신라말 불교와 유교와 도교에 모두 통달해 신선이 되었다는 최치원이 여지·여사 양 대사와 함께 세운 가운루와 우화루가 있다. 가운루(駕雲樓)는 경북 유형문화재 제15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길이가 16.2m에 최고 높이가 13m에 달하는 대규모 누각이다. 3쌍의 가늘고 긴 기둥이 계곡 밑에서부터 이 거대한 몸체를 떠받치고 있다. 마치 양쪽 언덕에 걸친 다리 같고, 계곡 위에 둥실 떠 있는 배와 같다. 특이하게도 고운사 가운루는 불이문(不二門·불교 일반 사찰에서 본당에 들어서는 마지막 문)을 대신하는 건물로 이곳을 지나야만 비로소 경내로 들어서는 것이다. 가운루 아래로는 맑은 계곡이 흐른다. 먼 옛날 최치원 선생이 가운루라는 구름 가마에 앉아 모든 번뇌를 등운산 너머로 띄워 보내지 않았을까. 가운루의 옛 기록에는 ‘누각에 서면 아래로는 계류가 흐르고, 뒤로는 찬란한 산들과 구름의 바다를 접하는 신선의 세계’라고 극찬했다. 계곡으로 나눠진 땅이 가운루로 인해 연결되는 어우러짐의 세상을 생각해서 만들지 않았을까 한다. 우화루(羽化樓)는 극락전 아래에서 법당의 보조적인 역할을 하였다. 꽃비가 내리는 누각으로 환생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현재는 도서 등이 구비된 조용한 찻집으로 활용하고 있다. 고운사 입구에는 현재 한창 공사가 진행 중인 최치원 문학관이 거의 제 모습을 갖춰 가고 있다.문경시와 의성군의 최치원 마케팅문경시와 의성군 역시 최치원 선생을 주테마로 하는 관광 마케팅을 준비 중이다. 최치원이 직접 쓴 국보 ‘사산비명’이 있는 봉암사의 ‘지증대사적조탑비명’ 일대를 재조명할 방침이다. 아울러 봉암사 일대 가은읍 원북리 376-2 외 38필지 2만여㎡ 규모에 150억~200억원 투입, 역사공원을 건립하기로 했다. 문경시는 최치원 유적 개발을 통해 중국 관광객들을 유인한다는 전략이다. 의성군 역시 최치원 마케팅에 뛰어 들었다. 2018년 완공 목표인 최치원 문학관 및 전시관과 이와 연계한 최치원 선생 기념사업을 바탕으로 역사와 정신문화가 살아있는 의성군을 만드는 작업에 착수했다. 또한 최근 중국 양주시와의 상호 우호교류 의향서 체결을 통해 최치원 마케팅에 가세했다. 아울러 고운사 권역에 최치원문학관과 전시관을 만드는 사업에 들어갔다. 양 도시는 최치원 기념사업을 매개로 문화관광 인프라 구축 및 상호 관광객 유치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최근 최치원 관련 기획기사를 보고 독자가 궁금한 것을 물어왔다. 독자는 “최치원 선생의 기록을 살펴보면 말년에 가족과 함께 가야산으로 들어간 이후 흔적이 묘연하다고 되어 있다. 가족들이 함께 들어갔으면, 그 이후 핏줄이 연결되지 않는 것인데 어떻게 시조가 될 수 있느냐”라고 물었다. 경주최씨 대종회에 이를 확인한 결과 답변을 들었다. 최씨의 대종(大宗)인 경주 최씨는 신라의 전신인 사로(斯盧) 6촌 중 돌산 고허촌(突山高墟村) 촌장 소벌도리(蘇伐都利)로 최치원은 그의 24세손(世孫)이다. 일반적으로 시대의 유명 인물을 시조로 내세우는 경향이 있어 최치원을 시조로 하고 있다. 가족을 모두 데리고 가야산으로 들어간 것이 아니라 서산과 정읍, 함양 등지 외직으로 나간 것이다. 경주최씨의 시조 최치원 할아버지 이후 손자 은함(殷含), 그리고 시무28조를 만든 증손 승로(承老)로 이어진다. 이후 경주최씨는 27개 계파로 분파되어 전해지고 있다. 강대용 기자이 취재는 경상남도 지역신문발전지원 사업비를 지원받았습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