굳은 절개와 충절의 고장 함양. 예로부터 외세의 침입에 온몸으로 맞서며 우리나라를 지켜온 함양의 옛 조상들은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에도 당당히 맞서 싸웠다. 우리나라를 지킨 독립 운동가들이 있었기에 떳떳한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살아가고 있을 것이다.함양지역에서는 초기 의병항쟁부터 시작해 3.1운동, 그리고 신간회 등 민간 활동까지 일제강점기 전후에 수많은 의로운 이들이 앞장서 독립을 노래했었다.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이들 독립 운동가들을 재조명함으로서 광복 71주년, 3.1운동 97주년을 다시 한 번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이번 기획취재보도를 통해 함양의 역사를 바로 세우고 지역민 스스로 함양인의 자긍심을 갖는 계기로 삼고자하는 것이 이번 기획취재의 또 하나의 목적이다. 이 기사는 국가보훈처, 독립기념관 등 국가기관을 자료와 함양문화원에서 편찬한 ‘함양항일투사록’과 ‘함양역사인물록(咸陽歷史人物錄)’ ‘함양군사’ 등의 지료를 참조했다. <편집자 주><글 싣는 순서>1. 함양지역 항일 독립운동사2. 함양에 울려 퍼진 3.1만세운동3. 서부경남 대표 의병장 노응규 선생4. 덕유산 호랑이 문태서 장군5. 들불처럼 일어난 항일독립운동6. 뒤돌아 보는 함양지역 항일독립운동사올해로 광복 71주년을 맞는다. 광복이 되기까지 수많은 애국열사들이 목숨을 걸고 우리나라 독립을 위해 싸웠다. 그 흔적이 남아 있는 분들은 이후 국가에서 그에 걸맞은 대우를 하고 있지만 흔적조차 남지 않은 분들이 더욱 많아 안타까운 현실이다. 그 동안 노응규·문태서 장군을 비롯한 함양지역 대표 의병장들과 함양지역 3.1 운동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하지만 지역을 대표하는 의병장들 외에도 그 분들의 휘하에서 묵묵하게 우리나라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친 의병들은 수백 수천을 헤아릴 정도로 많을 것이다.이 분들의 희생을 값지게 하는 일은 공훈을 찾아내는 것이다. 이것이야 말로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 후손들의 해야 할 몫이다.최근 발굴된 항일 투사지난 2014년 함양지역 4분의 항일 독립투사들이 국가로부터 건국훈장 애국장을 전수 받았다. 모두 경남창의대 소속 의병장들로 김순오·김찬언·김홍대·이안옥 의병장이 그분들이다. 김순오(金順吾) 의병장은 마천면 창촌마을 출신으로 을사늑약 이후 지리산 인근 함양군과 산청군 일대에서 수십명의 의병장으로 활약하며 일본군에 맛서 결사 항전하다 체포되어 총살되었다. 김찬언(金贊彦) 의병장 역시 창촌마을 출신으로 마을 동장을 하면서 의병장으로 활약했으며 1908년 9월15일 김순오 의병장과 함께 격문을 돌리다 체포되어 총살되었다. 김홍대 의병장은 마천면 추성 출신으로 1907년부터 지리산과 덕유산 일대에서 의병 100여명을 지휘하며 일제에 항거했으며, 1908년 10월28일 함양군 북방 약 150리 부근 대곡동(大谷洞)에서 체포되어 총살되었다. 이안옥(李安玉) 의병장은 휴천면 목동 출신으로 1907년부터 지리산 일대에서 의병 80여명을 지휘하며 일본군과 수차례 격전을 벌였으며 1908년 8월31일 함양군 동남쪽 15리 목동(木洞) 부근에서 체포되어 총살되었다. 이 4분은 국가로부터 서훈을 받았으나 후손들이 나타나지 않아 국가에서 훈장을 보관하고 있다. 미 발굴 항일투사들의 기록 발굴 시급앞서 항일독립운동을 펼쳤던 함양지역 70여분을 간략하게나마 소개했었다. 경남을 넘어 전기 의병운동을 이끌었던 노응규 의병장, 일본군들의 간담을 서늘하게 만들었던 덕유산 호랑이 문태서 장군, 지리산을 중심으로 활약했던 비호장군 석상용 장군, 권석도 장군, 박화기·박수기·박민기 장군 등 대단한 활약을 했던 분들을 소개했다. 그 소개했던 분들은 수십에서 수백의 의병들이 가담한 의진을 구성해 활약했던 분들이다. 의병들이 본격적인 활동을 펼칠 당시 지리산권 일대는 의병들 1만여명이 활약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현대에도 1만여 군대라면 엄청난 군세로 인구가 적었던 예전에는 과히 무적에 가까운 규모였다. 지역 곳곳에서 흩어져 의병장 아래에서 싸운 의병들만 해도 그 수가 엄청났을 것이다. 이름을 더 높인 의병장들의 선양 사업도 중요하지만 나라를 위해 목숨을 내걸고 총칼을 들었던 민초 일반 의병들에 대한 선양사업도 게을리 해서는 안 될 것이다. 함양 3.1만세 운동 흔적만이라도매년 3.1절이 되면 전국적으로 만세 삼창이 울려 퍼진다. 가까운 진주의 경우 3월18일 3.1만세운동 재현행사가 열린다. 이 날은 진주지역 걸인과 기생들이 자발적으로 신분의 고하를 넘어 독립만세 운동에 참여한 날로 이를 기념하기 위해 진주지역 시민사회단체들과 학생들이 동참하는 큰 행사가 열린다. 합천군에서는 삼가 장날이었던 3월18일을 전후해 군민들이 참여하는 만세운동 재현행사를 갖고 순국선열의 위업과 3·1독립만세운동의 숭고한 정신을 계승 발전시켜 나가고, 애향심을 고취시켜 나가고 있다. 함양지역에서도 3.1만세운동이 전국적으로 퍼진 이후 함양장날과 안의장날을 맞아 각각 지역민들이 참여한 3.1만세운동이 펼쳐졌다. 함양지역 만세운동으로 인해 피 흘리며 숨진 이들도, 그리고 옥고를 치른 이들도 있었다. 그러나 그 날의 함성을 90여년이 지난 현재는 찾아볼 수조차 없다. 여타 지역에서는 그 날을 잊지 않기 위해 재현행사를 갖고 지역 화합과 호국영령에 대한 선양 사업을 펼치지만 함양지역에서는 3.1만세운동 자체가 잊혀진지 오래다.3.1만세운동이 펼쳐졌던 함양장터와 안의장터에 그날의 일을 기록한 자그마한 표지석이라도 세워 순국선열들의 숭고한 정신을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으면 한다.    방치되는 항일투사 기념물들지난 5월말부터 시작된 함양지역 항일투사들의 발자취를 쫓으며 가장 아쉬웠던 부분은 그분들을 기리는 사당이나 기념관 등이 방치되어 제대로 관리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노응규 장군을 기리기 위해 만든 항일 독립지사 사적공원 내 신암사 주변으로는 곳곳에 깨어진 술병이 뒹굴고 쓰레기들이 널려 있었다. 또 신암사 뒤편 그 분들의 공적을 기리는 사적비는 자라난 잡초로 인해 접근하기조차 어려웠다. 노응규 장군의 생가는 잘 정리되어 있지만 찾는 발길이 없어 너무나 썰렁한 모습이었다. 서상면 상남리 문태서 장군을 기리기 위해 조성된 생가와 사당 등도 관리 소홀로 방치되어 있었다. 순국선열을 선양한다는 의미로 만든 기념물들이 훼손되고 방치된다면 차라리 만들지 않는 것만 못하게 된다. <인터뷰>역사의 현장 잊혀지고 있다... 순국선열 예우 갖춰야정재상 경남독립운동연구소장“잊힌 독립 운동가들을 발굴함으로써 지역민들에게 자긍심과 민족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입니다”지난 20여 년 간 지리산권 항일투사들을 발굴해 온 정재상 경남독립운동연구소장. 그가 지금까지 발굴한 항일투사만도 600여명에 이르며 이중 130여명이 국가 서훈을 받았다. 그 만큼 정재상 소장이 발로 뛴 노력의 결과이다. 정 소장은 “우리나라가 아무리 외침을 많이 받았어도 당시는 나라가 있었고 군대가 있었다. 그러나 항일독립의병들은 나라도 없고 아무도 도와줄 수가 없는 상황에서 일본군과 싸워 나갔다. 최고로 어려운 싸움을 하신 분들이 항일의병이다. 이 같은 분들이 그 동안 묻혀 있었다. 더욱 노력해 그 분들의 이름이라도, 흔적이라도 남겨야 한다.”라고 강조했다.정재상 소장이 항일독립투사 발굴에 뛰어든 것은 지난 1993년부터다. 지역 신문에서 일하던 그는 하동지역 독립운동가를 취재하는 과정에서 독립을 위해 싸우다 돌아가신 분들이 서훈 조차 받지 못했다는 사실을 보고 이들의 행적을 쫓았다. 국가기록원을 뒤지다시피 한 끝에 마침내 ‘박인환 의병장’의 기록을 찾아 서훈을 받을 수 있게 했다. 그는 “지역의 80~90 어르신들이 손을 잡아주며 ‘존경하네’라는 말을 하실 때 뿌듯하고 보람된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독립 운동가를 발굴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노력, 그리고 끈기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그렇게 시작된 독립운동가 발굴은 시작은 하동지역 위주였지만 다음은 경남, 그리고 지리산권까지 넓어졌다. 2010년에는 경남창의대장인 박동의 의병대장을 발굴하기도 했으며 멀리 대구와 광주 등 전국에서 활동한 의병들을 발굴하기도 했다. 그는 “국가에서 당연히 해야 하는 것인데 못하는 것을 내가 하는 것이다. 나라를 위해 목숨을 걸고 희생 헌신하신 분들의 흔적이라도 찾아 그 분들의 높은 뜻을 후세에 전하는 것이 저의 역할이다”라고 당당하게 말했다. 현재까지 그는 600여명의 독립 운동가들을 발굴했으며, 현재 약 80% 정도의 잊혀졌던 독립 운동가들을 발굴했으며 앞으로 남은 20% 마저도 발굴해 나가는 것이 그가 해야 할 일이다. 그는 “문태서 장군을 비롯한 함양지역 의병장들과 함께 활약했던 일반 의병들에 대한 선양도 중요하다. 의병대장을 우뚝 세우기 위해서는 여타 의병들을 선양해야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선양사업을 해야 하는 이유는국권 회복을 위해 일제와 맞서 싸웠던 독립운동가의 사료발굴과 공훈을 기록으로 남겨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역 문화원, 지역 언론사, 향토사학자, 지방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 예산지원이 필요하다. 해방이 된지 70년이 넘었지만 아직까지 우리지역 독립운동가에 관한 기록 발굴이 제대로 되지 못했다. 우리지역에 구전으로 전해지는 독립운동가라 할지라도 빠짐없이 하나하나 찾아 기록으로 남기는 것도 후세가 해야 할 몫이다. 독립운동가는 단 하나밖에 없는 소중한 목숨을 국가와 민족을 위해 희생 헌신하신 분들이다.△선양사업은 어떻게 해야 하나독립운동가들이 활약했던 역사의 현장을 보존하고 적극 알려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항일투사들이 태어나고 자란 곳과 치열하게 활약했던 역사의 현장 곳곳에 그 내용을 명시한 표석이나 안내판, 이정표를 세워 역사의 산 교육장으로 활용해야 한다. 우리지역은 지리산을 끼고 있어 항일투사(의병)들이 활약하기에 최적의 장소였다. 을사늑약(1905년) 이후 지리산과 덕유산 일대에서는 1만 여명의 항일투사들이 10여년에 걸쳐 일제와 맞서 싸우다 수천의 항일투사들이 전사했다. 이러한 내용은 각 기록에도 나타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지리산 둘레길에는 이러한 사실을 알리는 곳이 손가락으로 꼽을 정도다. 지리산 격전지는 방치되고 잊혀지고 있다. 지금부터라도 작은 것부터 하나하나 시작해 이분들에 대한 예우를 갖춰야 한다.△지리산권 항일독립운동에 대한 선양 방법은이분들의 활약상을 알리는 다큐멘터리나 영화를 제작하는 것도 필요하다. 더 나아가 이들과 함께 활약한 지리산 항일투사 1만 명을 기념할 수 있는 ‘지리산 항일독립기념관’과 ‘평화공원’ 건립도 지리산 인근 지역민과 지방정부가 적극 추진해야 한다. 함양군을 중심으로 산청, 하동, 남원, 구례 등이 지리산을 끼고 있는 지자체들이 힘을 모아 지리산권 역사인물을 조명한다면 지리산 지역 역사문화 관광벨트가 형성되어 서로 상생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일련의 사업들이 진행된다면 함양군민을 비롯한 지리산권 주민들에게는 자긍심 고취와 민족정신 계승, 역사 관광자원 확보 등도 기할 수 있을 것이다.<연재 끝.>강대용·강민구 기자본 취재는 경상남도 지역신문발전지원사업비를 지원받았습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