굳은 절개와 충절의 고장 함양. 예로부터 외세의 침입에 온몸으로 맞서며 우리나라를 지켜온 함양의 옛 조상들은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에도 당당히 맞서 싸웠다. 우리나라를 지킨 독립 운동가들이 있었기에 떳떳한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살아가고 있을 것이다.함양지역에서는 초기 의병항쟁부터 시작해 3.1운동, 그리고 신간회 등 민간 활동까지 일제강점기 전후에 수많은 의로운 이들이 앞장서 독립을 노래했었다.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이들 독립 운동가들을 재조명함으로서 광복 71주년, 3.1운동 97주년을 다시 한 번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이번 기획취재보도를 통해 함양의 역사를 바로 세우고 지역민 스스로 함양인의 자긍심을 갖는 계기로 삼고자하는 것이 이번 기획취재의 또 하나의 목적이다. 이 기사는 국가보훈처, 독립기념관 등 국가기관을 자료와 함양문화원에서 편찬한 ‘함양항일투사록’과 ‘함양역사인물록(咸陽歷史人物錄)’ ‘함양군사’ 등의 지료를 참조했다. <편집자 주><글 싣는 순서>1. 함양지역 항일 독립운동사2. 함양에 울려 퍼진 3.1만세운동3. 서부경남 대표 의병장 노응규 선생4. 덕유산 호랑이 문태서 장군5. 들불처럼 일어난 항일독립운동6. 되돌아보는 함양지역 항일독립운동사1919년(기미년) 3월 1일 3.1운동 그날의 함성3.1운동에는 유관순 열사만 있었던 것이 아니었다. 전국에 들불처럼 일어났던 3.1운동에 발맞춰 우리고장 곳곳에서도 독립과 자주를 강렬히 열망했던 주민들의 열기가 자발적으로 피어올랐다. 함양과 안의 장날에 맞춰 일어난 우리지역 3.1운동은 현재는 많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아직도 그 흔적은 남아 있다. 상림공원 내 사운정 인근에는 ‘만세기념비’와 함께 3.1운동 당시 의기를 떨쳤던 하승현 선생과 김한익 선생을 기리는 사적비가 서 있다. 숲 가운데에 위치해 조금은 관리가 되지 않은 모양새지만 3.1운동 당시 총칼에 맞서 우리나라의 자주와 독립을 외쳤던 이들을 기리는 만세기념비. 기념비의 뒷면에는 아래와 같은 글귀가 쓰여 있다. 일천구백십구년 삼월 이십 팔일. 함양 읍내 장터에서 외친 대한 독립 만세의 함성은 대관림과 한들을 누비며 맴 돌다가 왜경의 총소리에 묻혀 사라졌다.빼앗긴 주권과 글과 노래와 풍습을 되찾고 자주 독립을 쟁취코자 분연히 일어선 기미독립만세에 뒤따라 이 고장에서도 총검에 맞서 귀중한 목숨을 초개와 같이 버리고 만세의 대열에 뛰어 들었던 민중이 천명을 넘어섰다는 일은 우리의 자랑이다. 오늘을 사는 우리는 그 날 만세 운동에 앞장섰던 선인의 높은 뜻을 영원히 기리고 그 함성이 대관림과 한들에서 우렁찬 메아리 되어 번영과 통일로 치닫는 활력소가 되기를 소망하면서 군민의 정성을 담아 위천변 숲 안에 큰 돌 하나를 세운다. -1985년 12월- 함양읍 장날의 만세운동일본의 탄압이 날로 심해지고 그에 따라 독립투쟁은 끈질기게 이어졌다. 1919년 2월 28일 일본 도쿄 유학생들이 독립만세를 외친 후 3월1일 고종황제의 장례식을 계기로 파고다공원에서 민족대표들이 독립만세를 제창하며 전국으로 만세운동이 확산되었다. 전국적으로 일어난 만세운동에 함양에서도 가세했다. 함양군에서는 정순길(鄭淳吉)·윤보현(尹普鉉)·정순귀(鄭淳貴)·노경식(盧璟植) 선생 등이 은밀히 모여 함양에서도 독립만세 시위를 펼치기로 뜻을 모았다. 거사일을 3월28일(음력 2월27일) 함양읍 장날로 정하고 동지들의 규합에 나섰다.이들은 밤낮으로 만든 태극기를 숨겨 3월28일 일찍 함양읍 장터로 잠입했다. 전국 곳곳에서 만세운동이 급속하게 번지고 있는 이때 함양장날에는 유달리 많은 장꾼들이 모여들자 일경은 삼엄한 경계망을 펴고 이들을 감시했다. 거사 시간을 조율하던 이들은 경찰의 감시가 조금은 소홀해지자 준비한 대형 태극기를 장터 한복판에 세운 후 작은 태극기들을 군민들에게 나눠 주었다. 독립만세를 외쳤다. 이들이 독립만세를 선창하자 군중들이 일제히 호응해 ‘대한독립만세’의 우렁찬 외침이 함양을 뒤흔들었다. 일본 경찰은 총검을 휘두르면서 달려들어 군중들을 해산시키고 주동했던 이들을 연행했다. 이에 분노한 군중들이 재집결해 독립만세운동을 외치며 주동 인물들이 끌려간 헌병분견소로 몰려갔으나 헌병들의 제지로 구출하지 못했다. 이 일로 병곡면 연덕리 김한익(金漢益) 선생은 통분을 참지 못해 다음 장날 재차 의거하기로 결심하고 집에서 밤낮으로 독립선언서와 태극기를 만들고 동지들을 규합하면서 다음 기회를 준비했다. 다음 장날이었던 4월2일 아침 큰 태극기를 가슴에 숨겨 동지들과 함께 장터로 향한 후 정오께 쌓여있는 소금 가마니에 올라 한국이 독립국임을 선언하고 태극기를 흔들면서 독립만세를 선창해 운집된 삼천 군중이 일제히 이에 호응했다. 그리고 장터를 누비면서 만세를 부르며 시위행진을 하니 놀란 일군 헌병이 몰려와서 김한익 선생을 검거하자 성난 군중들은 헌병분견소를 몰려가 이곳을 포위하고 다시 만세를 불렀다. 이때 군중 대열에서 뛰쳐나온 하승현(河昇鉉) 선생이 헌병에게 “검거한 우리 애국인사를 즉각 석방하라”고 요구했으며, 윤영하(尹榮夏) 선생은 가로막은 헌병을 밀치고 돌진하자 헌병이 발포해 그 자리에서 숨졌다. 이 흉보를 듣고 달려온 하승현 선생의 아버지 하재연(河在衍) 선생과 숙부 하재익(河在翼) 선생도 모두 총탄에 쓰러졌다. 만세운동에 참여한 이들은 부자와 형제, 숙질이 모두 피를 흘리고 쓰러진 광경을 바라볼 수밖에 없었으며 아픈 가슴을 안고 뿔뿔이 흩어졌다. 만세운동을 주도한 김한익 선생은 1년6개월의 형을 언도 받았으며, 윤보현 선생은 8개월, 정순길·정순귀 선생은 태형 90을 언도 받았다. 그리고 노경심·조주섭 선생은 석방되었다.안의장날 만세운동함양읍 만세운동과 비슷한 시기에 안의에서도 만세운동이 일어났다. 지역의 유지 전병창(全炳昌)·임채상(林采尙)·정순완(鄭淳完)·전재식(全栽植)·조제헌(趙濟憲) 선생 등 애국인사들은 보산리 급천서당(汲泉書堂)의 청년 학생 김채호(金采鎬) 선생과 금천리 최석룡(崔碩龍) 선생 등과 안의시장에서의 만세운동 날짜를 3월31일 장날로 정하고 준비를 서둘렀다. 이에 앞서 수동면 상백리 고재경(高哉景)·정재원(鄭在元) 선생은 3월 25일 안의장날에 의거를 꾀하여 ‘3월25일 안의시장에서 대한독립만세를 부를 터이니 찬성하는 자는 집합하라’라는 전단을 곳곳에 붙여 관심을 모았으나 이날 의거는 단행되지 못했다. 이처럼 만세운동 모의까지 발생하자 일본 군경의 경계는 더욱 삼업해질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때에 주동 인물들은 비밀리에 동지를 규합하고 독립선언서와 태극기를 만드는 등 안의거사를 서둘렀다. 마침내 3월31일 안의 장날. 미리 준비해간 독립선언서와 태극기를 나눠주던 주동인물 5명이 경찰에 붙들리면서 거사가 시작도 전에 끝나는 듯했다. 오후 2시 최석룡 선생은 만들어 온 10여개의 태극기를 군중들에게 나누어 준 후 ‘대한독립만세(大韓獨立萬歲)’라고 쓴 기치를 높이 들고 대한독립만세를 선창하자 장에 모인 1000여명의 군중들이 일제히 호응했다. 이들은 오후 7시까지 시장을 누비며 독립만세를 부르고 주동 인물들의 석방을 요구했다. 그러나 일본군 수비대가 급파되면서 시위 군중은 해산할 수밖에 없었으며, 붙잡힌 주동인물들은 혹독한 고문을 받았다.  3.1운동 33인 중 1인 백용성 선사3.1운동을 이야기하면서 빼 놓을 수 없는 인물이 바로 백용성(白龍城) 선사이다. 백 선사는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 중의 한 사람으로 불교계를 대표하여 독립선언서에 서명하였다는 이유로 옥고를 치루기도 했다. 백용성 선사는 이후 독립자금 마련과 선농일치 사상을 펴기 위해 백운산 8부 능선에 화과원을 설립했다. 1929년에 황무지와 임야를 개간하여 과수원을 조성하여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자금조달을 위해 세운 농장으로 이곳을 거점으로 일제의 억압을 피해 독립운동을 전개한 곳으로 한국 근대 불교의 대중화와 국민 계도를 위한 선농사상과 승려의 반농반선(半農半禪) 실천의 진원지이다. 이곳을 거점으로 일제의 억압을 피해 뒷산으로 넘어 다니며 독립운동을 하였다고 전한다. 현재 이곳에는 법당터, 선방터 등 9개소의 건물터와 축대, 석조물, 가마터 등이 남아 있고 고목이 된 배나무 등의 과일나무가 주변에 많이 남아 있다. 강대용·강민구 기자본 취재는 경상남도 지역신문발전지원사업비를 지원받았습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