굳은 절개와 충절의 고장 함양. 예로부터 외세의 침입에 온몸으로 맞서며 우리나라를 지켜온 함양의 옛 조상들은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에도 당당히 맞서 싸웠다. 우리나라를 지킨 독립 운동가들이 있었기에 떳떳한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살아가고 있을 것이다.함양지역에서는 초기 의병항쟁부터 시작해 3.1운동, 그리고 신간회 등 민간 활동까지 일제강점기 전후에 수많은 의로운 이들이 앞장서 독립을 노래했었다.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이들 독립 운동가들을 재조명함으로서 광복 71주년, 3.1운동 97주년을 다시 한 번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이번 기획취재보도를 통해 함양의 역사를 바로 세우고 지역민 스스로 함양인의 자긍심을 갖는 계기로 삼고자하는 것이 이번 기획취재의 또 하나의 목적이다. 이 기사는 국가보훈처, 독립기념관 등 국가기관의 자료와 함양문화원에서 편찬한 ‘함양항일투사록’과 ‘함양역사인물록(咸陽歷史人物錄)’ ‘함양군사’ 등의 자료를 참조했다. <편집자 주><글 싣는 순서>1. 함양지역 항일 독립운동사2. 함양에 울려 퍼진 3.1만세운동3. 서부경남 대표 의병장 노응규 선생4. 덕유산 호랑이 문태서 장군5. 들불처럼 일어난 항일독립운동6. 뒤돌아보는 함양지역 항일독립운동사함양에는 삼국시대부터 시작되어 왜구(일본)와 싸운 흔적이 많이 남아있다. 삼국시대 왜적과 맞서 싸웠던 사근산성, 정유재란 당시의 황석산성 등. 일본 제국주의의 야욕이 본격화된 구한말과 일제강점기에도 들불처럼 일어나 앞장서 싸운 우리의 선조들이 있다. 국가보훈처 자료에는 함양과 안의지역 출신 독립유공자로 25명의 이름이 올려졌다. 이는 공로가 인정되어 정부 포상이 이뤄진 경우로 아직 포상이 이뤄지지 않은 분들까지 합할 경우 100명이 넘는 독립유공자들이 일제강점기 독립을 위해 싸웠다. 또 공훈은 인정되어 포상이 확정되었지만 주소 등을 파악하지 못해 후손을 찾지 못하는 독립유공자까지 있을 정도다. 많은 이들이 독립을 위해 피 흘린 반면 일본에 협력한 이들도 있다. 민족문제연구소에서 발간한 친일인명사전에는 함양과 안의지역 14명이 친일 인사로 이름이 올려졌다. 민족문제연구소는 일제강점기 당시 지속적으로 친일을 하거나 군수, 경찰서장 이상 고위관료를 했던 인물 중 객관적 자료로 입증되는 인물에 한 해 친일파로 분류했다. 반일과 친일이 극명하게 갈릴 수밖에 없었던 시대적 상황으로 우리 민족의 아픔이다. 초기의 의병투쟁우리나라의 항일독립운동은 전기 의병운동과 중기 3.1만세운동, 그리고 후기의 국외 임시정부의 활동과 국내 단체의 활동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우리나라 항일 의병운동이 시작된 것은 1895년 을미사변(명성황후 시해 사건)과 단발령이 반포된 이후가 대부분이다. 강화도조약 체결 이후 일본 및 서구열강 등 외세의 침략이 노골화되면서 위정척사사상(爲政斥邪思想)을 가진 이들이 국모 시해에 이은 단발령 반포에 반발하며 국모의 원수를 갚고 성리학적 사회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대거 들고 일어났다. 이후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면서 일본의 통감부가 설치되어 조선의 외교권마저 박탈되자 의병운동이 확산되어졌다. 그리고 1907년 고종황제가 강제 퇴위되면서 전국적인 의병이 확대되고, 특히 강제 해산된 군인들이 합류하면서 규모화・정예화 된 의병진이 구축되어진다. 이런 가운데 의병의 서울진공작전이 펼쳐지기도 했지만 일본의 남한 대토벌작전으로 크게 위축되어 독립운동의 중심지가 한반도에서 중국과 러시아로 옮겨지게 된다. 함양지역에서는 유독 의병장을 비롯한 의병투쟁의 흔적이 많이 나타난다. 노응규 장군을 필두로 문태서・권석도 장군 등은 수많은 의병장들과 의병진에 가담해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쳤다. 공로가 인정되어 정부 포상을 받은 독립유공자 중 절반 이상이 이 시기 의병활동을 펼쳤다. 전국적으로 번진 3.1만세운동국내 의병활동이 어려워진 이후 독립에 대한 민중의 열망은 가슴 깊은 곳으로 내려갈 수밖에 없었다. 그 열망의 불을 지핀 것이 1919년 3.1 만세운동이다.한일병합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운동을 시작한 사건으로 대한제국 고종이 독살되었다는 고종 독살설이 소문으로 퍼진 것이 직접적 계기가 되었으며, 고종의 인산일인 1919년 3월 3일에 맞추어 한반도 전역에서 봉기한 독립운동이다.이 만세 운동을 주도한 인물들을 민족대표 33인 중 독립운동가이자 불교에서는 반농반선의 선농불교를 주창·실천하며 백전면에 화과원을 설립한 백룡성 선사도 포함되어 있다.함양지역에서도 함양읍과 안의면에서 3.1만세운동이 일어났다. 지역의 유력인사들이 직접 태극기를 그리려 함양읍 장날이었던 3월28일(음력 2월27일), 그리고 안의장날이었던 3월31일이었다. 수천명의 군민들이 태극기를 들고 대한독립만세를 외쳤으며 당시 수많은 이들이 총탄을 쓰러졌다.3·1 운동을 계기로 군사, 경찰에 의한 강경책을 펴던 조선총독부는 문화 통치로 정책을 바꾸게 된다.3.1운동 이후의 민족계몽운동3.1운동의 영향으로 지역 청년들의 자각이 일어나면서 다양한 단체들이 만들어졌다. 일제의 감시와 탄압이 거세지자 독립지사들이 해외로 나가거나 아니면 국내 음성적인 조직을 만들어 활동할 수밖에 없었다. 국내의 독립 운동 단체를 통합 신간회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독립 운동을 지원, 그리고 한글 보급을 통한 문맹퇴치운동, 경제적 자립을 위한 국산품 애용운동 등 국민들을 계몽해 독립을 이뤄낼 수 있다는 신념의 운동이 펼쳐졌다. 함양에서도 ‘함양청년회’ ‘함양노동회’ ‘함양신간회’ 등의 계몽단체들이 대표적인 활동을 펼쳤다. 그러나 일본의 강력한 탄압이 가해지면서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줄어들 수밖에 없었다. 강대용·강민구 기자본 취재는 경상남도 지역신문발전지원사업비를 지원받았습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