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토피는 ‘이상한’ 또는 ‘부적절’한 뜻의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음식물이나 흡입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유전적으로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아토피 질환에는 대표적인 증상인 아토피 피부염 외에도 천식, 알레르기 비염, 알레르기 결막염도 포함된다.◇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다.그러나 임상 증상에서는 피부건조증, 습진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발병 원인이 어느 한 가지로만 설명될 수는 없지만, 환경적인 요인과 유전적인 소인, 면역학적 반응 및 피부보호막의 이상 등이 주요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일차적인 요인으로 볼 수 있는 유전적인 요인의 경우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대부분은 가족력이 있었다. 환경적인 요인으로는 산업화로 인한 매연 등 환경 공해, 식품첨가물 사용의 증가, 서구식 주거 형태로 인한 카펫, 침대, 소파의 사용 증가, 실내 온도 상승으로 인한 집먼지 진드기 등의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알레르겐)의 증가 등이 있다.◇ 아토피 피부염 증상아토피 피부염의 대표적인 증상은 심한 가려움증이다. 이 때문에 피부를 긁거나 문질러서 피부 병변이 심해지고, 심한 병변으로 인해 다시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악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특히 가려움증은 보통 밤에 심해지는데, 이 때문에 수면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다.◇ 연령에 따라 3단계로 나뉘는 아토피 피부염아토피 피부염은 가려움을 동반한 만성 재발성 습진 질환으로 연령에 따라 3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단계별로 임상 양상과 피부 병변의분포가 다르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생후 2달~2세 사이의 유아기는 보통 생후 2~3개월 이후에 급성병변으로 시작한다. 양 볼에 가려운 홍반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인데, 두피와 사지의 살이 접히는 부분 쪽에도 병변이 나타나며 삼출이심한 경우도 있고 감염을 일으켜 딱지, 농포 등을 보이기도 한다. 이때는 감기나 예방 주사가 습진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 2~10세 사이의 소아기는 팔꿈치 앞 부위나 오금부위에 피부염이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엉덩이, 눈꺼풀, 손목, 발목 등에도 습진이 생기며 입술 병변도 흔하게 나타난다. 유아기 보다는 급성 병변이 적고, 급성과 만성이 동시에 나타나는 아급성 병변이 많다. 성인기에 들어서도 아토피 피부염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소아기와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 단단하고 거친 잔주름들이 커져서 더 뚜렷이 나타나는 피부병인 태선화 같은 만성병변이 많고, 손에 만성 습진도 흔하게 나타난다. 여성의 경우 유두습진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눈 주위가 검어지고, 주름이 생기며, 백내장이 발생할 수도 있고, 여러 종류의 피부 감염도 증가한다. ◇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법과 치료법아토피 피부염의 치료는 건조한 피부에 적절한 수분 공급과 악화 요인의 제거, 가려움증과 피부염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진행한다. 피부 보습을 위해서는 적절한 보습제를 규칙적으로 사용하고, 수영이나 목욕 후에 3분 이내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아토피 피부염의 대표적인 증상은 심한 가려움증이다. 이 때문에 피부를 긁거나 문질러서 피부 병변이 심해지고, 심한 병변으로 인해 다시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악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특히 가려움증은 보통 밤에 심해지는데, 이 때문에 수면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다. 비누, 세제, 모직과 나일론 의류, 기온이나 습도의 급격한 변화 등이 피부에 자극을 주어 피부염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집먼지 진드기, 꽃가루, 바퀴벌레, 애완동물의 털 등을 흡입하면 아토피 피부염을 악화시킨다는 보고가 있기 때문에 이런 원인 물질들을 제거하는 것이 아토피 피부염 완화에 도움이 된다. 아토피 피부염 원인 물질 중 음식물의 경우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우유, 계란, 땅콩 등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니, 음식물섭취에 대해서도 고려해 본다. 이 밖에도 피부 감염의 치료와 예방, 정서적인 안정도 아토피 피부염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하기 위해 피부 관리를 했음에도 호전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테로이드 국소 도포나 국소 도포 면역 조절제, 항히스타민제, 감마 리놀레익산(달맞이유) 등으로 치료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치료로도 반응을 하지 않는 심한 아토피 피부염의 경우에는 자외선 치료나 전신 스테로이드, 전신 면역억제제, 인터페론이나 면역 글로불린을 써서 치료하기도 한다. 출처 :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소식 2016년 4월호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