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5장인정(人情)은 변하기 쉽고 세상길은 기구하다. 가기 어려운 곳에서는 모름지기 한 걸음 뒤로 물러서는 법을 알아야 하고 쉽게 갈 수 있는 곳에서는 힘 써 삼분을 사양하는 공덕을 더해야 하리라.<원문原文>人情(인정)은 反復(반복)하고 世路(세로)는 崎嶇(기구)니라. 行不去處(행불거처)엔 須知退一步之法(수지퇴일보지법)하고 行得去處(행득거처)엔 務加讓三分之功(무가양삼분지공)이니라.<해의解義>사람의 마음을 수시로 바뀌어 믿을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두보(杜甫)는 손바닥을 뒤집어 비를 오게 하고 손바닥을 덮어 구름을 만든다고 하지 않았는가. 또한 인생살이의 길은 멀고 험난하다. 그래서 백낙천(白樂天)은 인생행로가 산길보다 험하고 파도치는 물길보다 험하다고 말했다. 세상인심이 이러하고 세상살이가 이러하다면 어떻게 하여야 안락하고 즐겁게 한평생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인가.그것은 양보하는 마음보다 더 중요한 것이 없다. 성취하고 힘든 일을 할 때라도 남에게 한 발자국 양보하는 마음을 길러야하고 성취하기 쉬운 일을 할 때는 삼분의 일쯤은 양보해 줄 수 있어야 한다. 만일 그렇지 못하다면 험한 세상 좁은 길에서 서로 자기의 이익만 다투다가 급기야는 함께 굴러 떨어지는 참변을 당할 것이다.<주註>反復(반복) : 뒤집어짐, 변하기 쉬움. 崎嶇(기구) : 산길을 울퉁불퉁하고 험한 것. 行不去處(행불거처) : 가기 힘 든 곳, 갈 수 없는 곳. 須知(수지) : 모름지기 ~을 알다. 行得去處(행득거처) : 가기 쉬운 곳. 득(得)은 능(能)과 같음. 務加(무가) : 힘 써 보태다. 힘써 더하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