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우울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부쩍 많아진다. 요즘 같은 환절기가 그 시 점이다. 정말 ‘가을을 타는 것’일까. 흔히 마음의 감기라고도 불리는 이 우울증을 그저 계절 탓으로, 기분 탓으로 치부해도 좋을까. 한국건강관리협회 경남지부 가정의학과 전문의(조현진)를 통해 알아보자.가을이 되면 우울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부쩍 는다. 우울한 기분은 겨울을 지나 고 봄이 되면 대부분 나아지는데, 이 같은 증상을 정신의학에서는 계절성 우울증 (SAD·Seasonal Affective Disorder)이라고 명명한다. 계절성 우울증은 일조량의 변화와 연관이 깊다. 여름에서 가을로, 가을에서 겨 울로 접어들면서 일조량이 점점 줄게 되는데, 일조량이 줄면 우리 뇌는 세로토닌이 라는 신경전달물질을 적게 생산한다. 사람의 감정이나 성욕과 같은 정서를 관장하 는 세로토닌이 부족하면 수면이나 진정작용에 이상을 일으켜 우울증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계절성 우울증을 앓는 사람들을 살펴보면, 외부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뇌의 시상하부 능력이 떨어진 경우가 대부분이다. 계절의 변화에 그만큼 더 민감하다는 얘기다. 대개 100명 중 15명 정도가 가을이나 겨울에 기분 이 우울해지는 것을 경험하고, 그 중 2~3명이 계절성 우울증으로 진단을 받는다. 우울한 기분이 2주 이상 지속되면 계절성 우울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아픈 곳 도 없는데 무슨 큰 병이라도 든 것처럼 나른하고 집중력이 떨어진다든지, 초조하고 긴장하는 일이 잦아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특히 계절성 우울증은 특이하게도 식욕이 왕성해지고 잠이 부쩍 느는 증상을 동반한다. 일반적인 우울증이 식욕이 떨어지고 불면을 동반하는 것과 구별되는 점이기도 하다. 계절성 우울증은 일조량의 변화와 연관이 깊다. 계절성 우울증을 앓는 사람들을 살펴보면, 외부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뇌의 시상하부 능력이 떨어진 경우가 대부분이다. 계절의 변화에 그만큼 더 민감하다는 얘기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