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도에서 전라도로 넘어가는 육십령의 길목에 위치한 황석산성. 지리적 요충지의 황석산성은 7년 전쟁으로 불리는 임진왜란 당시 수많은 민초들이 숨져간 역사의 아픈 현장이기도 하다. 그러나 의(義)와 충(忠)의 고장 함양에서 민과 관이 합심해서 이룩했던 황석산성 전투는 관련 사학자나 해당 지역민이 아니고서는 잘 알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황석산성 전투는 제대로 기록되어지지 않은 전투로 남아있다. 정사에서는 수백의 관군만이 싸웠다고 전하지만 야사에는 7천의 민관이 7만의 왜구를 맞아 수일 동안 임전했다고 전한다. 비슷한 시기에 있었던 황석산성 전투와 남원전투나 성웅 이순신이 활약한 명량해전에 비해서는 너무나도 초라한 모습이다. 황석산성에서 숨져간 이들은 아직까지도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하고 검증되지 않은 역사의 파편으로만 남아있다. 이번 기획취재를 통해 함양군민만이라도 황석산성 전투와 그 속에서 숨져간 이들을 기렸으면 한다. <편집자 주>1. 정유재란과 황석산성 전투의 시작 2. 민초들의 이뤄낸 황석산성 전투 3. 남원산성 전투와 만인의총4. 7만 민관군 처절했던 진주성전투5. 황석산성 전투 역사의 전면에 서야4. 7만 민관의 처절했던 진주성전투충절의 고장 진주. 이 같은 성스러운 이름으로 불리는 것은 오랜 역사 속 수많은 사건들 중에서 진주성전투로 인해 붙여진 것이다. 임진왜란 3대 대첩인 한산대첩과 행주대첩, 그리고 진주대첩을 꼽는다. 그만큼 진주성 전투가 가진 이름의 크기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임진왜란 당시 2차례에 걸쳐 벌어졌던 진주성 전투는 한번은 대승으로, 그리고 한번은 대패로 마무리됐다. 임진왜란이 발발한 1592년의 진주성 1차 전투는 김시민이라는 걸출한 장수와 민관이 함께 만들어낸 완벽한 승리였다면 이듬해인 1593년 2차 전투는 의기 논개와 함께 7만 민관이 순국한 아픔의 전투이기도 하다. 진주성전투를 둘러보고 황석산성 전투의 의미를 되새겨보자.  진주성 2차례의 전투진주성전투는 2회에 걸쳐 진행된다. 첫 전투는 1592년(선조 25) 10월 5일 진주에 이른 일본군 약 3만 명에 맞서 진주목사 김시민 장군이 지휘한 3,800명의 조선군과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졌다. 조선군은 성문을 굳게 닫고 화약을 장치한 대기전(大岐箭)을 쏘아 죽제를 파괴하고, 마른 갈대에 화약을 싸서 던지거나 끓는 물과 큰 돌을 던지는 등 필사적으로 싸운 끝에 10배에 이르는 왜군의 공세를 막아냈다. 왜군은 10월 10일에 6일간의 대접전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고 패주할 수밖에 없었다. 이 싸움에서는 주성 바깥에서는 의병대장 곽재우가 이끄는 경상도 의병과 임계영·최경회가 이끄는 전라도 의병이 기습 공격 같은 유격전을 펼쳐 적과 아군에게 심리적으로 큰 역할을 했다. 이 싸움의 승리로 다른 경상도 지역을 보존하였을 뿐만 아니라, 적으로 하여금 호남지방을 넘보지 못하게 했다. 이 전투로 진주대첩은 행주대첩 한산대첩과 더불어 임진왜란 3대 대첩으로 꼽힌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진주성전투의 주역 김시민 장군은 10월 9일 왜적 총알을 이마에 맞아 18일 서른아홉 나이로 순국했다. 1차 진주성전투에서 참패를 당하며 위신이 추락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이듬해인 1593년 6월 복수전을 하도록 특별 명령을 내렸다. 왜군은 6월 15일부터 작전을 개시해 18일까지 진주성 인근의 함안과 반성, 의령을 점령해 의병의 활약을 최대한 억제시켰다. 그리고 19일 10만여 명의 병력이 진주성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이 당시 진주성에는 창의사 김천일, 경상우병사 최경회, 충청병사 황진, 사천현감 장윤, 의병장 고종후·이계련·민여운·강희열, 김해부사 이종인 등이 이끄는 3000여명의 관군과 6만여 명의 일반민이 왜군들의 막았다. 일본군의 막대한 병력에 놀란 명나라군은 지원병을 보내기를 거부했으며, 조선 조정 또한 진주성 수성을 포기를 명으로 내려진 상황이었다. 싸움은 6월 22일부터 본격적으로 전개되어 왜군은 파상공격을 거듭하고, 일진일퇴의 치열한 공방 끝에 거의 모든 장병이 죽고, 29일에 진주성은 함락되었다. 성이 함락되자 왜군은 성안에 남은 군·관·민 6만 명을 사창(司倉)의 창고에 몰아넣고 모두 불태워 학살하였을 뿐만 아니라 가축도 모두 도살하였다. 이 싸움은 임진왜란 중에 벌어진 전투 가운데 최대의 격전으로 꼽히는데, 비록 싸움에는 패하였으나 왜군도 막대한 손상을 입고 전라도지역으로 진격하지 못했다. 진주성전투로 인해 전라도지역이 무사할 수 있었으며, 이순신 장군이 해전에서 승승장구 할 수 있는 동력을 잃지 않을 수 있었다. 진주성의 역사진주성은 1963년 1월 21일 사적 제118호로 지정됐으며 16만8944㎡, 둘레는 약 4000m에 이른다. 촉석성(矗石城)으로도 불리는 진주성은 백제시대 거열성(居列城)이라고 불리었으며 당시부터 경남의 중심지 역할을 했을 정도로 역사가 깊은 곳이다. 오랜 기간 군과 행정의 중심이었던 진주성은 일제와 6·25 전쟁 등을 거치면서 많은 부분이 훼손될 수밖에 없었다. 진주성이 정비된 것은 1972년으로 이때 촉석문이 복원되었으며 1975년에는 일제강점기에 허물어졌던 서쪽 외성의 일부와 내성의 성곽을 복원했다. 1979년부터는 성 안팎의 민가를 모두 철거하는 등 진주성 정화사업을 시작해 2002년 공북문 복원 공사를 마지막으로 현재의 모습을 갖췄다. 진주성전투의 아픈 역사를 되돌아 볼 수 있는 축제가 ‘진주유등축제’다. 올해도 10월1일부터 12일까지 열리는 진주유등축제는 하나의 볼거리를 넘어 역사적인 의미도 되새겼으면 한다. 진주성전투가 벌어지고 성 외곽의 지원군에게 군사신호를 보내기 위해 하늘에는 풍등을 띄우고, 남강을 건너려는 왜군을 저지하고자 강물에는 유등을 띄우는 군사전술로 활용되었다. 또한 진주성 내의 병사 및 백성들이 성 밖의 가족들에게 안부를 전하는 통신수단으로 쓰이기도 했다. 그만큼 유등에는 당시의 절박함이 담겨 있다. 그래서 진주유등축제에서 환하게 불을 밝힌 유등은 우리들의 아픈 역사이기도 하다. 진주 남강에 유등을 띄우고 400여 년 전, 진주성 싸움에서 왜군에 맞서 싸우다 순국한 7만 선조들의 넋을 기린다.진주성 둘러보기진주성내에는 지방유형문화재로 김시민장군 전공비(도 문화재 1호)·촉석정충단비(도 문화재 2호)·쌍충사적비(도 문화재 3호)·의암사적비(도 문화재 353호)·김해김씨비각(도 문화재 155호) 등 5점이 있다. 문화재 자료로는 영남포정사(도 문화재 자료 3호)·북장대(도 문화재 자료 4호)·창렬사(도 문화재 자료 5호)·서장대(도 문화재 자료 6호)·의기사(도 문화재 자료 7호)·촉석루(도 문화재 자료 8호) 등 6점이 소재하고 있다. 또 기념물로는 의암(도 기념물 235호)이, 기타시설물로는 공북문·김시민장군상·진주성 관리사무소(구 모의당)·청계서원·진주성비석군·진주성임진대첩계사순의단·촉석문·경절사·포루·호국의종각·국립진주박물관·호국사(전통사찰 70호) 등이 있다. 진주성 내부로 들어가는 촉석문을 통과하면 바로 앞에 촉석루가 위용을 뽐낸다. 촉석루(矗石樓)는 영남 제일루로 진주성 남쪽 성벽에 우뚝 솟아 남강을 굽어본다. 촉석루는 당초 진주성을 지키는 지휘본부였으며 국보 제 276호로 지정되었으나, 한국전쟁 당시 불에 탄 것을 국비와 도비, 그리고 진주시민들의 자발적인 성금 등으로 1960년에 옛 모습을 되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옛 모습 그대로가 아니라는 이유로 국보가 취소되어 최근에 다시 국보로 지정해야 한다는 운동이 일고 있다. 촉석루 옆으로는 왜장을 껴안고 남강에 투신해 순국한 논개의 넋을 기리기 위한 의기사(義妓祠)가 보인다. 의기사에는 논개의 영정과 위패를 모셨다. 촉석루에서 계단을 내려가면 성 바깥 남강과 만나는 부분에 논개가 순국한 바위 의암(義巖)을 만나다. 촉석루와 마주보고 있는 임진대첩계사순의단은 2차 진주성전투에서 순국한 7만 민·관·군의 충혼을 위령하기 위한 것으로 1987년 국란극복의 표상으로 건립됐다. 순의단 오른편으로는 진주대첩을 이끈 주인공 김시민 장군의 공로를 새긴 전공비와 함께 2차 전투에서 당시 순국한 이들의 충정과 전공을 세긴 ‘촉석정충단비’가 서 있다. 진주성의 서쪽 끝 서장대 아래로는 창렬사와 호국사 등 순국한 이들을 기리는 사찰이 있다. 2차 진주성 전투 때 순절한 분들의 신위를 모신 창렬사와 고려 말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세웠다가 진주성싸움에서 전사한 승려들의 넋을 기리는 호국사도 볼 수 있다. 진주성 한가운데는 옛 경남도청 정문에 해당하는 영남포정사 문루가 있고 1984년 개관한 임진왜란 전문역사박물관인 국립진주박물관이 있다. 약 2시간에 걸쳐 둘러본 진주성. 진주성 2차 전투가 끝난 지 422년 만에 다시 찾은 진주성은 2주 앞으로 다가온 유등축제 준비에 한창이었다. 강대용 기자*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아 취재 작성됐습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