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포자’ 일명 수학을 포기한 사람 이라는 뜻의 신조어 이다. 다른 나라도 그렇지만 특히 대한민국의 수포자들의 비율이 매우 높은 편이다. 그렇다면 왜 학생들이 수학을 포기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 것일까? 우선 다른 나라와 비교를 해보았을 때 수학이란 과목을 적은시간에 많이 배워야 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개념이해가 잘되어서 수학에 흥미를 가지고 문제를 풀어야 하는데 무조건 적인 암기식 수학 풀이법이 많은 학생들이 수학에 흥미를 잃고 포기하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이유로는 나이에 비해 너무 빨리 배운단 것인데 실제로 대부분의 중학생들이 사교육을 하면서 고등학교 과정의 수학을 예습한다. 이렇게 교과서를 따라가며 수업하는 학생들은 점점 더 많아지는 수학 개념들에 지치게 되어 더 이상 따라가지 못하고 포기하게 되는 것이다. 실제로 10명중 6명 거의 2명중 1명이 수학을 포기한다고 말했다. 수학 선생님들도 대부분의 선생님들이 학생수의 50% 이하만 수업을 따라온다고 말하였다. 안의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한 학생은 “중학생 땐 그래도 간간히 수학문제를 풀면서 성취감도 들고 뿌듯하기도 했었는데 점점 진도가 나갈수록 외워야 할 개념들이 너무 많고, 친구들의 수업에 따라가지 못하니 나도 모르는 사이에 수학을 거의 포기하게 되었다. 다시 시작하고 싶어도 어디서부터 다시 시작해야 될지 모르겠어서 막막할 뿐이다 난 아직 고등학교 1학년 이지만 2학년 또 3학년이 되면 얼마나 수학이 무서워질지 정말 답답하다“라고 말했다. 이렇듯 대한민국 학생들의 수학 흥미도 는 바닥을 향해있고, 수포자는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입식 교육이 아닌 학생들이 수학에 흥미를 가질 수 있게 수업량을 줄이고 직접 손으로 할 수 있는 체험활동이 많아졌으면 하고 토론형식의 교육이나 눈높이를 맞추는 교육으로 나아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