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의 고고한 멋이 한껏 풍기는 ‘한옥’. 수백 년을 내려오며 조상들의 슬기가 고스란히 담겨 있는 한옥은 기왓장 하나하나, 층층이 쌓인 돌담도 모두가 문화재와 같은 비범함이 맴돈다. 위압감을 풍기며 치솟은 솟을대문은 더 높은 선비의 정신이 녹아 있으며, 넓지는 않지만 정성이 가득한 마당과 정원에는 소박함이 묻어난다. 손때가 묻어 반질반질 윤이 도는 대청마루는 그 하나만으로도 아늑함을 선사한다. 불편할 것 같은 방안은 나름대로의 편안함을 선사한다. 화려하지 않으면서도 남루하지 않은 멋이 있고, 비슷한 것 같아도 숨은 의미가 남다른 기와집이 바로 수백 년을 우리 민족과 함께해 온 한옥이다. 오랜 세월 우리의 DNA 속에는 향수로 자리 잡은 한옥은 불과 한 세기 사이에 자취를 감추고 사방이 꽉 막힌 콘크리트 건물에 갇히고 말았다. 그 옛날부터 마을을 차지했던 한옥은 언제부턴가 하나둘 사라지고 그 곳에는 콘크리트 더미가 차지했으며 한옥은 이제 ‘고택(古宅)’이라는 이름으로 관광지로 변했다. 오래된 것들은 사람을 편안케 한다. 하루 종일 눈으로 보는 것은 콘크리트 건물이거나 유리뿐인 환경을 벗어나 오래된 마을에 자리하고 있는 고택을 방문하면 마음이 그렇게 편할 수가 없다. 이번 기획취재는 고택의 재평가도 아니고 그렇다고 발전 방안을 마련하는 기사는 더욱 아니다. 어디에 내 놓아도 부끄럽지 않은 함양의 문화유산, 고택을 다시 한 번 되짚어보고 우리의 문화유산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되새겼으면 한다. <편집자 주>1. 고택의 향기를 품은 함양2. 일두 고택에 흐르는 기품3. 풍천노씨 대종가와 하동정씨 고가4. 오담 고택과 노참판댁5. 우명리 정씨고가와 허삼둘 가옥6. 과거로 현재를 만드는 전주 한옥마을7. 전통이 살아 숨 쉬는 경주 양동마을7. 전통이 살아 숨 쉬는 경주 양동마을고택 취재는 시간여행과 비슷한 경험을 가져다주었다. 고택 앞 돌담길은 시간여행을 떠나니 준비하라는 대기신호로, 고택의 웅장한 솟을 대문은 다른 세계로 연결된 문이었다. 고택은 그만큼 가지지 못했던 또 다른 울림을 주었다.고택 취재 마지막 편으로 안동 하회마을과 함께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경주 양동마을을 다녀왔다. 보통 경주 하면 신라라는 천년의 역사를 지닌 도시를 떠올리지만 조선을 대표하는 선비들이 많이 배출된 곳이 양동마을이다. 경주시 강동면에 위치한 양동마을은 조선시대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곳으로 지난 2010년 7월31일 안동 하회마을과 우리나라 10번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곳이기도 하다. 양동마을은 함양에서 88고속도로와 경부고속도로를 타고 약 2시간 30분가량 떨어져 있다. 이제 기획취재 대미를 장식할 경주 양동마을로 떠나 보려 한다.양동마을을 소개하다양동마을은 경주 손씨와 여강 이씨 두 가문이 약 500여 년간 대를 이어 현재까지 살고 있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마을이다. 양반마을을 반촌(班村)이라고 한다. 양동마을 자체가 엄청난 반촌으로 고택들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다. 양동마을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차량은 마을 어귀 주차장에 모셔 두어야 한다. 차량은 마을 내로 진입할 수 없다. 물론 마을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예외다. 양동마을 내로 향하는 입구에는 위용을 자랑하는 양동마을문화관이 버티고 있다. 문화관은 양동마을에서 내려오는 유물들을 모은 유물전시관과 은행, 그리고 청년회관, 매점 등 다양하게 활용된다. 유물전시관을 지나 매표소에서 표를 사면 작은 홍보물을 나눠 준다. 홍보물에는 양동마을의 대략적인 역사와 지도, 그리고 탐방을 할 수 있는 7개의 코스가 소개되어 있다. 짧게는 20분, 길게는 2시간 이상 걸리는 탐방길에 입맛에 맞춰 골라 보면 좋다. 전체적인 양동마을의 진면목을 보려면 한나절은 투자해야 한다. 시간을 잘 맞추면 오전 10시부터 30분 간격으로 문화관광해설사의 전문적인 설명을 들을 수도 있다.문화재의 보고 양동마을매표소를 지나 한옥과 같은 형태로 지어진 양동초등학교를 옆에 끼고 걸으면 멀리 양동마을의 전체적인 모습이 눈에 들어온다. 마을은 안계(안계)라는 시내를 경계로 동서로는 하촌(하촌)과 상촌(상촌), 남북으로는 남촌과 북촌의 4개 영역으로 나뉘어 있다. 양반가옥은 높은 지대에 위치하고 낮은 지대에는 하인들의 주택이 양반가옥을 에워싸고 있다. 마을에서 가장 대표적 고택인 향단과 서백당 등이 확연히 눈에 띄고 아래로는 초가집들이 한 가득이다. 양동마을은 조선 시대의 와가 고택을 비롯해 사람이 살지 않는 집을 포함하여 500여년이 넘는 전통의 향기를 품은 총150여 호의 고가옥과 초가집들이 우거진 숲과 함께 펼쳐져 있는 큰 마을이다. 양동마을 자체가 국가 지정 중요민속자료 189호로 지정을 받은 것은 물론 마을 내에는 국보 1점과 보물 4점, 중요민속자료 13점 등 국가지정 문화재만 18점이며, 도지정문화재 5점, 시지정문화재 9점 등 32점이 문화재로 등록되어 있다. 마을 내 서백당에 보관 중인 국보 제 283 호로 지정된 통감속편은 중국의 고대 역사를 기록한 책이다. 보물로는 제 411호 무첨당, 제 412호 향단, 보물 제 442호 관가정, 보물 제 1216호 손소 영정 등이 있다. 생생히 살아있는 문화재의 보고인 셈이다. 보이는 것은 모두가 문화재양동마을 100여채의 건물 중에서 빼 놓지 않고 가 봐야 할 곳이 바로 관가정과 향단, 서백당, 수운정 등이다. 마을 입구 좌측의 언덕에 동남향으로 자리 잡은 보물 제442호 관가정(觀稼亭)은 관광객에게 개방된 일부 건축물 중 하나다. ‘곡식이 자라는 모습을 보듯이 자손들이 커가는 모습을 본다’라는 뜻의 관가정은 우재(愚齎) 손중돈(孫仲暾 1463-1529)선생이 손소 공으로부터 분가하여 살던 집이나, 현재는 사람이 살지 않고 비어 있다. 누마루에 오르면 넓게 펼쳐진 형산강과 안강평야가 한눈에 들어오는 경관이 일품이다. 관가정은 중앙에 중문을 두고 사랑채와 안채가 ‘ㅁ’ 자형으로 배치되었는데 사랑채가 좌우로 더 길게 튀어나온 형태이다. 관가정 인근 조금은 낮은 언덕에 자리 잡은 보물 제412호 향단(香壇)은 건물로 앞쪽에 세워진 향나무 한 그루가 상징적으로 보여 진다. 특히 마당을 앞에 둔 사랑채는 두 개의 나란한 지붕을 연결하여 풍판을 정면으로 향하도록 한 독특한 구조를 하고 있다. 일반인들에게 공개가 되지 않아 더욱 궁금한 것도 있지만 멀리서 보는 향단은 또 다른 아름다움을 볼 수 있다. 안골 중심의 산중턱에 자리 잡은 규모와 격식을 갖춘 대가옥이 바로 중요민속자료 제23호 서백당(書百堂)으로 성종 15년(1454년)에 지은 월성(月城) 손씨(孫氏)의 종택이다. 종택에 걸맞은 규모와 격식을 갖춘 가옥으로 사랑채 뒤편 정원의 경치가 빼어나다. 서백당의 역사와 전통을 말해주는 상징물은 거대한 향나무. 나무의 수령은 무려 550여년. 일반 향나무와 달리 꾸불꾸불 꼬이고 사방으로 널리 퍼진 모습이 손씨 문중의 왕성함을 대변해 주는 듯하다. 서백당은 행랑채, 살림채, 사당으로 구분돼 있다. 행랑채가 가장 앞에 자리 잡았고 그 뒤로 한 단 높은 곳에 살림채가 ‘ㅁ’자 형으로 배치가 됐다. 또한 위쪽에는 사당이, 아래쪽에는 향나무가 서백당을 지키고 서 있다. 중요민속자료 제80호 수운정(水雲亭)은 손중돈의 증손자 손엽이 세운 정자로 양동마을의 여러 정자 중 조망하는 경치가 가장 뛰어나다. 16세기 후반 건축됐으며 임진왜란 당시 태조 이성계의 영정을 보존했다고 전해진다.경주 양동마을을 둘러보고양동마을은 조선시대 양반마을을 원형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고풍스러운 집들이 빼곡히 들어차 있다. 구석구석 양동마을을 걷다보면 500년 전 세계로의 시간여행을 떠난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마을을 거슬러 올랐다가 좁은 골목길로 내려오고, 초가집 사이를 지나고, 정신없이 거닐다보면 또 다시 고택과 초가들이 어우러진다. 아직까지도 많은 집들에 사람들이 거주한다. 과거와 현재가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것이다. 마을회관에서 놀다 해 지기 전 집으로 향하던 한 할머니는 “마을을 찾아주니 고맙지 뭐가 귀찮아.”라며 수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것에 대해 이야기했다. 그러나 양동마을 많은 고택의 대문은 잠겨 있다. 무분별한 관광객에 대한 피로감 때문이다. 양동마을은 지난 2013년부터 입장료를 받기 시작했다.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양동마을의 보존과 문화재 보수 예산 확보를 위해 조치다. 문화재를 감상하기 위해서는 그 만큼의 값을 치러야 하는 것이다. 마을 내 곳곳에는 찻집과 음식점, 그리고 일반 상점들이 들어섰다. 관광객 증가와 함께 조용하던 마을에 상점이 늘어나면서 관광객을 대상으로 수입을 올리려는 주민과 양반마을의 자존심을 지키고 싶어 하는 주민이 갈등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갑자기 관광지로 변하며 겪게 되는 이 같은 변화는 여느 관광지를 가나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이다. 그렇지만 마을 자체가 오래도록 보존되어 온 것에 대해서는 부러움도 많을 수밖에 없었다. 물론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우수한 콘텐츠가 있기에 지금의 모습을 갖출 수 있었겠지만 주민들의 노력 또한 거기에 발 맞췄을 것이다. 강대용 기자※이 취재는 경상남도 지역신문발전지원사업비를 지원받았습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