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3장남의 약한 것을 공격하되 너무 엄격해서는 안된다. 중요한 것은 그가 그것을 받아서 감당할 수 있는가를 생각하는 것이다. 선으로써 사람을 가르치되 지나치게 높아서는 안되니 마땅히 그가 따를 수 있는 것으로 하여야 하느니라.<원문原文>攻人之惡(공인지악)에 毋太嚴(무태엄)하라, 要思其堪受(요사기감수)니라. 敎人以善(교인이선)에 毋過高(무과고)하라, 當使其可從(당사기가종)이니라.<해의解義>사람은 교묘함에 개별적 특성과 능력을 고려하여 각기 심도와 방법을 달리하는 것은 공자 당연부터의 중요한 교육방법의 하나였다. 남의 잘못을 꾸짖을 때에도 그 사람의 성품을 살펴서 그가 그 꾸지람을 받아 들여서 감당할 수 있는가 없는가를 고려하되 너무 심하게 해선 안되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더욱 심하게 비뚤어지거나 자포자기하지 않으면 반발을 사게 되어 오히려 역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선으로써 사람을 가르칠 때도 마찬가지이다. 너무 고상하고 능력 밖의 일을 강요하면 그는 좌절하고 말 것이다. 그의 능력의 범위 안에서 적당히 감당할 수 있어야 교육적 효과도 크게 나지 않겠는가.<주註>攻(공) : 공격함, 꾸짖음. 惡(악) : 허물이나 나쁜점. 毋(무) : ∼하지 말라. 금지사(禁止詞)이다. 太嚴(태엄) : 극도로 엄한 것. 要(요) : ∼함을 필요로 한다. 當(당) : ∼함이 마땅하다. 從(종) : 따르다. 실천할 수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