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의 고고한 멋이 한껏 풍기는 ‘한옥’. 수백 년을 내려오며 조상들의 슬기가 고스란히 담겨 있는 한옥은 기왓장 하나하나, 층층이 쌓인 돌담도 모두가 문화재와 같은 비범함이 맴돈다. 위압감을 풍기며 치솟은 솟을대문은 더 높은 선비의 정신이 녹아 있으며, 넓지는 않지만 정성이 가득한 마당과 정원에는 소박함이 묻어난다. 손때가 묻어 반질반질 윤이 도는 대청마루는 그 하나만으로도 아늑함을 선사한다. 불편할 것 같은 방안은 나름대로의 편안함을 선사한다. 화려하지 않으면서도 남루하지 않은 멋이 있고, 비슷한 것 같아도 숨은 의미가 남다른 기와집이 바로 수백 년을 우리 민족과 함께해 온 한옥이다. 오랜 세월 우리의 DNA 속에는 향수로 자리 잡은 한옥은 불과 한 세기 사이에 자취를 감추고 사방이 꽉 막힌 콘크리트 건물에 갇히고 말았다. 그 옛날부터 마을을 차지했던 한옥은 언제부턴가 하나둘 사라지고 그 곳에는 콘크리트 더미가 차지했으며 한옥은 이제 ‘고택(古宅)’이라는 이름으로 관광지로 변했다. 오래된 것들은 사람을 편안케 한다. 하루 종일 눈으로 보는 것은 콘크리트 건물이거나 유리뿐인 환경을 벗어나 오래된 마을에 자리하고 있는 고택을 방문하면 마음이 그렇게 편할 수가 없다. 이번 기획취재는 고택의 재평가도 아니고 그렇다고 발전 방안을 마련하는 기사는 더욱 아니다. 어디에 내 놓아도 부끄럽지 않은 함양의 문화유산, 고택을 다시 한 번 되짚어보고 우리의 문화유산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되새겼으면 한다. <편집자 주>1. 고택의 향기를 품은 함양2. 일두 고택에 흐르는 기품3. 풍천노씨 대종가와 하동정씨 고가4. 오담 고택과 노참판댁5. 우명리 정씨고가와 허삼둘 가옥6. 과거로 현재를 만드는 전주 한옥마을7. 전통이 살아 숨쉬는 안동 양동마을5. 우명리 정씨고가와 허삼둘 가옥선비의 고장답게 함양지역에는 고색창연한 모습의 고택들을 곳곳에서 찾을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우명리 정씨고가와 허삼둘 가옥은 그 역사성이나 시대성을 볼 때 꼭 한번 찾아가야만 하는 곳이기도 하다. 함양지역 고택 하나하나에는 그 가문의 성격이 드러나 있고, 역사성을 감추고 있다. 조상들의 지혜가 엿보이고 자연에 순응하면서 그에 걸맞은 건축물을 만들어냈다. 우명리 정씨 고가수동면 우명리에 위치한 정씨 고가. 일두 정여창 선생의 후손이 분가하며 건립한 곳으로 인근에 남계서원과 청계서원, 그리고 마을 내에 구천서원 등과 함께 대표적인 건축물이기도 하다. 정씨고가는 지난 1985년 경남도문화재 민속자료 121호에 지정될 만큼 전통과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1400여 평의 대지 위에 대문간채와 바깥사랑채, 안채, 안사랑채, 사당 등 전통 사대부 가문의 형식을 보여주는 정씨고가는 최근 한옥체험을 할 수 있는 숙박시설로 활용되고 있다. 정씨고가는 정여창의 7대 손인 정희운(鄭熙運)이 효리마을에 정착 한 이후, 조선시대인 1723년(경종 3)에 그의 아들 정지헌(鄭志獻)이 분가하여 건립한 한옥이다. 원래 초가 4칸이었던 것을 1895년 희운의 4대 손인 환식(煥植)이 대문간채와 안채, 바깥 사랑채, 창고, 안 사랑채, 사당 등을 증축해 현재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앞에는 사랑채가, 뒤에는 안채가 ‘ㅡ’형으로 배치된 이곳은 조선 시대 시골 부농의 가옥답게 안채의 마당보다 바깥마당인 사랑채의 마당이 넓어 활용도를 높인 것이 특징이다. 정씨고가의 대문 앞에는 명품고택(名品故宅, korea noble house)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인증하는 우수 전통한옥문화체험 숙박시설 명패가 당당하게 맞는다. 최근 이름난 고택의 한옥체험을 위해 멀리서도 찾아오는 이들이 많다고 한다. 대문을 들어서면 넓은 마당과 함께 바깥사랑채가 보인다. 보통의 사대부집 한옥의 경우 안사랑채 마당이 넓은 것에 반해 이곳 정씨고가는 바깥사랑채의 마당이 훨씬 넓다. 예전 엄청난 부를 가지고 있었던 집안의 내력을 짐작케 했다. 곳곳에는 오래된 고택의 흔적들이 묻어 있다. 한옥체험을 위해 손님을 맞는 곳이라 내부는 조금은 현대적으로 바뀌었지만 주춧돌과 마루 등은 오랜 세월을 버틴 모습이 역역하다. 담장 또한 돌과 흙으로 쌓아올려 멋스러움을 더한다. 바깥사랑채 옆으로 난 중문은 사랑채와 안채의 공간을 확실히 구분해 남녀가 사는 공간을 나눠 엄격한 사대부가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현재 보수공사가 한창 진행 중인 정씨고가의 모습은 더 이상 볼 수 없어 아쉬웠지만 선조로부터 물려받은 고택을 단순 소유하지 않고 일반인들의 체험의 장으로 만들어 우리 선조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게 만드는 모습에 기대감을 갖게 한다. 여성 중심의 허삼둘 가옥지난 2003년 4월 안의면사무소 인근 오래된 고택에서 불길이 치솟았다. 조선시대 특유의 가옥구조를 가지고 있는 허삼둘 가옥에 난 불이었다. 그 불로 인해 안채가 소실되고 말았다. 3개월 이후 이곳에 비슷한 화재가 또 다시 발생했다. 이번에는 사랑채로 두 번의 방화로 추정되는 화재는 수십 년을 버텨온 고택의 모습은 제 모습을 잃을 수밖에 없었다. 1918년 건립된 허삼둘 가옥. 상량묵서명에 ‘세재무오구월상량(歲在戊午九月上樑)’이라 쓰여 있어 건립연도가 무오년(戊午:1918)임을 알 수 있다. 윤대홍이란 사람이 진양 갑부 허씨 문중 허삼둘에게 장가를 들어 부인 친정의 도움으로 함께 지은 집으로 알려졌다. 여성의 입김이 거세서일까 안채의 구성에서 특출함을 보이는 가옥으로, 당시의 시대상에서 과감히 탈피하여 여성 중심의 공간배치가 독특하다. 구조적으로 우리나라에 하나뿐이지 않을까. 그래서 인지 일반적인 고택의 경우 남성의 이름을 따서 부르는데 이곳은 여성 이름을 땄다. 두 번의 큰 화재 이후 올해 초 새롭게 단장된 허삼둘 가옥은 화재로 남은 부목들이 곳곳에 사용되었지만 옛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새것이 되었다. 예전의 허삼둘 가옥을 기억하는 이들에게는 차마 답사해보라고 권유를 하지 못할 것 같다. 2번의 화재 때문인지 허삼둘 가옥을 둘러보는 동안 곳곳에 놓여 있는 소화기와 CCTV에 눈길이 빼앗기는 것 같았다. 중요민속자료 207호로 지정된 허삼둘 가옥은 사랑채, 안채, 곡간, 행랑채, 바깥사랑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랑채의 규모도 여타의 고택과 비교해 상당한 규모다. 곳곳의 부재들에서 불에 탄 흔적이 보였지만 여전히 위압적인 모습이다. 처마가 처지는 것을 막기 위해 세운 보조 기둥은 땅에서 올라온 습기로 나무가 빨리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단부는 석조로 되어있다. 이는 일두고택에서도 보였던 건축양식이다. 이곳의 백미는 역시 안채. 안채로 드나드는 대문이 사랑채로 이어지는 대문과 별도로 마련돼 있고 ‘ㄱ’자 모양인 안채도 독특하다. 당시의 시대상에서 과감히 탈피해 여성중심의 공간배치와 부엌으로 출입하는 통로가 앞 툇마루를 열면 바로 밖으로 연결되는 등 특이한 구조를 갖추고 있어 학술적으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 가옥이다. 특히 `ㄱ`자의 꺾이는 모서리 부분을 안쪽으로 한번 접어 생긴 공간에 배치한 부엌은 매우 특이하다. 부엌은 거의 오방형인데 꺾인 부분에 선반과 시렁을 걸어 가사활동이 편리하도록 배려했다. 예전의 고고한 모습은 볼 수 없었지만 그 독특한 구조로 인해 아직도 많은 방문객들이 찾아 드는 허삼둘 가옥. 높은 문화재적 가치와 함께 우리 문화재의 소중함을 한 번 더 일깨워 준 허삼돌 가옥이다.강대용 기자※이 취재는 경상남도 지역신문발전지원사업비를 지원받았습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